Q. 문학 비평은 문학 작품과 현상을 해석, 감상, 평가하는 일체 활동을 말합니다. 그러면 비평 종류인 내재적과 외재적 비평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외재적 비평:작품을 작품 외부 세계와 연결시켜 연구함.① 표현론적 관점㉠ 작가의 체험, 사상, 감정 등을 표현한 것으로 보는 관점㉡ 작품을 창작한 작가의 의도, 작가의 전기, 작가의 심리 등에 관한 연구(예) '무정'은 이광수의 생애의 투영임② 반영론적 관점㉠ '작품은 현실 세계의 반영이다.'라는 관점㉡ 작품이 대상으로 삼은 현실 세계에 대한 연구, 작품에 반영된 세계와 대상 세계를 비교 검토, 작품의 대상 세계의 진실한 모습과 전형적인 모습을 반영했는가를 검토(예) '흥부전'은 신분 체계의 변동, 빈부간의 갈등 등 조선 후기 사회상 반영③ 효용론적 관점㉠ 작품이 독자에게 어떤 효과를 어느 정도 주었느냐에 따라 작품의 가치를 평가하려는 관점㉡ 독자의 감동이 무엇이며, 그것이 구체적으로 작품의 어떤 점에서 촉발 되는가를 검토(예) '춘향가'의 희극적 장면은 독자에게 비극적 상황으로부터 희극적 구제, 낭만적 희극성에의 몰입 등의 효과를 줌●내재적 관점:작품 자체만을 연구함① 절대주의적 관점㉠ 작품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자료는 작품밖에 없으며, 작품 속에 모든 것이 갖추어져 있다는 관점㉡ 작품을 작가나 시대·환경으로부터 독립시켜 이해, 작품의 언어를 중시, 부분들을 통합하고 있는 작품의 구조를 분석 (예) '운수 좋은 날'의 '겨울비'는 아내의 죽음과 하층민의 삶을 암시함.
Q. 영조의 균역법에 대해 궁금해서 문의드려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750,영조)백성들의 부담을 덜어주고자 영조가 시행한 균역법의 구체적인 내용은 크게 두가지입니다첫째는 군포 부담을 경감하라는 항목입니다.기존에 16개월마다 2필을 납부하던 것을 12개월에 1필을수납하는 것으로 바꾸었습니다.둘째는 군포를 감액하면서 줄어든 재원을 마련하기 위한 구체적 방안입니다.일단 기존의 병력을 대폭감소시켜 군역을 지던 이들이 군포를 납부하도록 바꾸었습니다.지출은 줄이고 수입을 늘리고자 한 것이죠나머지 부분은 대부분 다른 관청에서 보유한 재원을 옮겨오거나,어염세(魚鹽稅)나 선세(船稅)등을 균역청에서 거두도록 하여 재정에 보탬이 되도록 하였습니다.또한 부유한 양인의 자제들이 양반으로신분을 위조하여 군포를 기피하고 있었는데,이들을 일일이 적발해 내는 대신 선무군관(選武軍官)이라는칭호를 주고 그 대가로 포 1필씩을 징수하도록 하였습니다.
Q. 렘브란트의 대표작은 무엇이고 작품의 특징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니콜라스 튈프 박사의 해부학 강의 ,황금투구를 쓴 남자,야경,자화상 등이 대표작품입니다.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1. 조명과 그림자: 렘브란트는 조명과 그림자를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깊이와 현실감을 더하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작품에서 중심인물이나 주요 사물을 밝은 조명으로 강조하면서 그 주변의 인물이나 배경은 어둡게 그림자로 처리합니다.2. 감성적인 표현: 렘브란트는 감성적인 표현을 잘 다루어 작품에 생동감과 감동을 더합니다. 특히 인물들의 표정과 표현은 매우 섬세하고 자세합니다3. 채색: 렘브란트의 작품은 대부분 어두운 톤의 채색으로, 짙은 갈색, 검정, 녹색 등의 색상이 많이 사용됩니다. 이러 환 어두운 톤의 채색은 조명과 그림자 표현에 적합하며, 작품의 분위기를 조성합니다.4. 소재와 주제: 렘브란트의 작품은 종교적인 소재나 사람들의 일상생활 등을 다루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이러한 소재와 주제는 그 당시 네덜란드에서 매우 인기 있었으며 렘브란트는 이를 자신만의 독특한 방식으로 표현했습니다.5. 무게감: 렘브란트의 작품은 인물들이 묵직하고 무거운 느낌을 줍니다. 이는 인물들의 자세와 표현, 그리고 그들이 착용한 옷감 등에서 나타납니다6. 군더더기 없는 단순한 구도: 렘브란트의 작품은 군더더기 없이 단순한 구도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는 작품의 주요 내용과 표현에 집중하고자 하는 렘브란트의 의도가 반영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