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지휘자겸 성악가 강경원입니다

지휘자겸 성악가 강경원입니다

강경원 전문가
부산진구남성합창단
미술
미술 이미지
Q.  문학 비평은 문학 작품과 현상을 해석, 감상, 평가하는 일체 활동을 말합니다. 그러면 비평 종류인 내재적과 외재적 비평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외재적 비평:작품을 작품 외부 세계와 연결시켜 연구함.① 표현론적 관점㉠ 작가의 체험, 사상, 감정 등을 표현한 것으로 보는 관점㉡ 작품을 창작한 작가의 의도, 작가의 전기, 작가의 심리 등에 관한 연구(예) '무정'은 이광수의 생애의 투영임② 반영론적 관점㉠ '작품은 현실 세계의 반영이다.'라는 관점㉡ 작품이 대상으로 삼은 현실 세계에 대한 연구, 작품에 반영된 세계와 대상 세계를 비교 검토, 작품의 대상 세계의 진실한 모습과 전형적인 모습을 반영했는가를 검토(예) '흥부전'은 신분 체계의 변동, 빈부간의 갈등 등 조선 후기 사회상 반영③ 효용론적 관점㉠ 작품이 독자에게 어떤 효과를 어느 정도 주었느냐에 따라 작품의 가치를 평가하려는 관점㉡ 독자의 감동이 무엇이며, 그것이 구체적으로 작품의 어떤 점에서 촉발 되는가를 검토(예) '춘향가'의 희극적 장면은 독자에게 비극적 상황으로부터 희극적 구제, 낭만적 희극성에의 몰입 등의 효과를 줌●내재적 관점:작품 자체만을 연구함① 절대주의적 관점㉠ 작품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자료는 작품밖에 없으며, 작품 속에 모든 것이 갖추어져 있다는 관점㉡ 작품을 작가나 시대·환경으로부터 독립시켜 이해, 작품의 언어를 중시, 부분들을 통합하고 있는 작품의 구조를 분석 (예) '운수 좋은 날'의 '겨울비'는 아내의 죽음과 하층민의 삶을 암시함.
역사
역사 이미지
Q.  연어의 회귀본능은 어떻게 해서 생기는 걸까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아직까지 연어의 회귀본능을 과학적으로 증명한 설은 없습니다. 다만 사람이 성장하여 치열하게 살다가 60이 넘어 퇴임하고 어릴적 고향의 향수를 기억하며 그곳에 돌아가려는 현상하고 비슷한데... 연어는 그 현상이 더 강하고 그 목적이 산란과 번성을 위해 한다는 거죠~민물에서 산란하고 치어가 바다가 나가 살다가 다시 태어난 곳으로 돌아와 산란하는~~~ 정말 자연의 신비는 대단한것 같습니다!~
음악
음악 이미지
Q.  부채춤은 우리나라의 전통 무용인가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많은 사람들은 부채춤을 우리나라 전통무용의 대명사로 알고 있지만사실은 1950년대에 김백봉 선생님으로부터 창작된역사가 그리 오래되지 않은한국창작무용입니다.​전통과 민속을 재해석하여 많은 사람들로부터 사랑받았기 떄문에 부채춤은 우리나라 전통예술무용의 대표 자리에 서게 되었지요.
역사
역사 이미지
Q.  우리나라의 비빔밥 역사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의 독상(외상) 문화에 기인을 했을 수 있다. 지금처럼 겸상을 하는 문화는 일제강점기때 생긴 것으로, 조선시대에는 각자 개인상을 차려서 밥과 반찬을 제공했다.출처 그런데, 농사를 짓다가 점심을 먹을 때, 집에 와서 먹지 않고 밥상을 경작지로 들고 나갔던 조선시대에는 이런 부분이 커다란 부담이 되었을 수 있다. 결국 커다란 밥그릇에 반찬을 모두 부어서 한 번에 들고 나가는 방식이 자연스럽게 생겼을 수 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영조의 균역법에 대해 궁금해서 문의드려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750,영조)백성들의 부담을 덜어주고자 영조가 시행한 균역법의 구체적인 내용은 크게 두가지입니다첫째는 군포 부담을 경감하라는 항목입니다.기존에 16개월마다 2필을 납부하던 것을 12개월에 1필을수납하는 것으로 바꾸었습니다.둘째는 군포를 감액하면서 줄어든 재원을 마련하기 위한 구체적 방안입니다.일단 기존의 병력을 대폭감소시켜 군역을 지던 이들이 군포를 납부하도록 바꾸었습니다.지출은 줄이고 수입을 늘리고자 한 것이죠나머지 부분은 대부분 다른 관청에서 보유한 재원을 옮겨오거나,어염세(魚鹽稅)나 선세(船稅)등을 균역청에서 거두도록 하여 재정에 보탬이 되도록 하였습니다.또한 부유한 양인의 자제들이 양반으로신분을 위조하여 군포를 기피하고 있었는데,이들을 일일이 적발해 내는 대신 선무군관(選武軍官)이라는칭호를 주고 그 대가로 포 1필씩을 징수하도록 하였습니다.
미술
미술 이미지
Q.  관상학적인 관점에서 얼굴의 점을 어떻게 보나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관상학적으로 얼굴에 있는 점은 좋은게 별로 없습니다.인중중앙에 있는 점은 단명점이나, 이혼, 이별점입니다. 임산부의 경우 난산이 의심되구요...ㅠ인중 양옆의 점은 색점입니다. 바람피우는 점 ㅋㅋ
미술
미술 이미지
Q.  렘브란트의 대표작은 무엇이고 작품의 특징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니콜라스 튈프 박사의 해부학 강의 ,황금투구를 쓴 남자,야경,자화상 등이 대표작품입니다.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1. 조명과 그림자: 렘브란트는 조명과 그림자를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깊이와 현실감을 더하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작품에서 중심인물이나 주요 사물을 밝은 조명으로 강조하면서 그 주변의 인물이나 배경은 어둡게 그림자로 처리합니다.2. 감성적인 표현: 렘브란트는 감성적인 표현을 잘 다루어 작품에 생동감과 감동을 더합니다. 특히 인물들의 표정과 표현은 매우 섬세하고 자세합니다3. 채색: 렘브란트의 작품은 대부분 어두운 톤의 채색으로, 짙은 갈색, 검정, 녹색 등의 색상이 많이 사용됩니다. 이러 환 어두운 톤의 채색은 조명과 그림자 표현에 적합하며, 작품의 분위기를 조성합니다.4. 소재와 주제: 렘브란트의 작품은 종교적인 소재나 사람들의 일상생활 등을 다루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이러한 소재와 주제는 그 당시 네덜란드에서 매우 인기 있었으며 렘브란트는 이를 자신만의 독특한 방식으로 표현했습니다.5. 무게감: 렘브란트의 작품은 인물들이 묵직하고 무거운 느낌을 줍니다. 이는 인물들의 자세와 표현, 그리고 그들이 착용한 옷감 등에서 나타납니다6. 군더더기 없는 단순한 구도: 렘브란트의 작품은 군더더기 없이 단순한 구도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는 작품의 주요 내용과 표현에 집중하고자 하는 렘브란트의 의도가 반영된 것입니다.
미술
미술 이미지
Q.  인문학의 미래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앞으로 문학과 예술계는 지속적으로 AI와의 싸움을 할것입니다. 엄청난 데이터와 기술을 갖고있는 ai에 인간은 처음부터 상대가 되지않지요~ 그러나 문학과 예술에 중요한 핵심은 기술과 데이터가 아닌 영혼, 즉 스피릿이겠지요~ ai가 갖고 있는 단 하나의 단점. 그것을 캐취하는게 앞으로의 과제가 될것 같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미국에서 가장 인기 많았던 메이저리그를 대표하는 홈런선수는 누구인가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위는 통산 홈런(762개)과 단일 시즌 최다 홈런(73개)를 모두 가지고 있는 홈런왕 배리 본즈입니다.7번의 MVP수상과 8번의 골든글러브 등 많은 기록을 가지고 있습니다.성적만 보면 역대 최고의 선수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정도이지만 금지약물 복용으로 인해 명예의 전당 입성은 실패했습니다.2위는 통산 홈런 755개와 동시에 통산 2,297타점(역대 1위) 통산 6,856루타(역대 1위)를기록하고 있는 행크 애런입니다.그 기록도 라이브볼 시대 이후 최악의 투고타저 시기에 세운 기록이기에 더욱 대단합니다. 또한 700홈런과 3500안타를 기록한 유일한 선수이며 본인의 이름을 딴 행크 애런 상이양 리그 최고의 타자에게 매년 수여되고 있습니다.3위는 말이 필요 없는 야구의 전설 베이브 루스입니다.야구 역사 상 최고의 선수이자 가장 위대한 선수로 평가받는 선수이며 미국 스포츠 역사에서도 가장 위대한 선수로 꼽히고 있는 선수입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번아웃 증후군의 정의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번아웃(Burn-out)'은 '타버리다, 소진하다'라는 뜻으로, '번아웃 증후군(Burn-out Syndrome)'은 정신적·신체적 피로로 인해 무기력해지는 증상을 뜻하는 심리학 용어이다. 다른 말로는 탈진 증후군 또는 연소 증후군, 소진 증후군 등으로 불린다. 번아웃 증후군의 증상은 우울증과 자기혐오 등 다양하게 나타난다. 한 가지 일에 몰두하던 사람이 갑자기 모든 에너지가 소진되면서 극도의 무기력증에 시달리다 업무에 적응하지 못하는 경우 번아웃 증후군으로 볼 수 있다. 우울증과 증상이 매우 비슷하며, 번아웃 증후군으로 판정된 사람들이 우울증 진단 기준을 충족하는 경우도 많다.
12112212312412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