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이앙법은 언제 전파됐고 언제 정착 확산됐나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이앙법이란 벼농사에서 못자리의 모를 논에 옮겨 재배하는 방법으로 중국의 한(漢)대부터 시작되었으며, 우리나라에는 고려 후기에 도입되어 남부 지방 일부에서부터 점차 보급되기 시작하였다. 이앙법은 무엇보다 관개와 물이 필수적이다. 원래 작물을 생육지에서 다른 장소로 자리를 바꾸어 심어 가꾸는 일을 이식 재배라고 하는데, 못자리의 모를 논에 옮겨 심는 일을 모내기 또는 이앙이라고 한다.벼는 이앙으로 입지와 생육 환경에 변경이 있게 되며, 이식 작업에 따르는 뿌리의 절단으로 일시나마 생육 작용이 정지되기 때문에, 벼의 성장이 직접 씨를 뿌리는 직파법에 비하여 다소 지연된다. 그러나 이앙법은 벼를 쉽게 이식할 수 있으며, 적당한 시기에 새 입지를 마련하여 주면 경작 기간을 단축시킨다. 또한 경작 기회가 늘어나 윤작이 가능하고 경지의 이용도를 올리는데 유리하므로 집약 재배에 알맞다.
Q. 부활절에 계란을 나누어 주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부활절의 상징물은 크게 어린양, 백합, 달걀을 뽑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한국에서는 달걀이 가장 대표적인 부활절의 상징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부활절에 예쁘게 꾸민 달걀을 주고받는 행위의 유래에 대한 썰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첫 번째는 에수 그리스도가 십자가를 지고 골고타 언덕을 오를 때 잠시 십자가를 대신 져준 구레네 시몬이 계란 장수였다는 것입니다. 두 번째는 십자군 전쟁 때로 올라갑니다. 로자린드 부인은 남편이 십자가 전쟁에 나간 뒤 집을 빼앗기고 산골마을로 피해 도망가게 되었습니다. 산골마을 주민들은 이런 로자린드 부인에게 따뜻하게 대해 주었고, 로자린드 부인은 고마움을 표현하고자 아이들에게 예쁘게 꾸미고, '하나님의 사랑을 믿자'는 가훈을 적어 나누어 주었습니다. 그리고 부활절 날 로자린드 부인은 병든 어머니를 찾아간다는 어린 소년에게 그 달걀을 나누어 주었고, 소년은 산골에서 병든 군인에게 달걀을 나누어 주었습니다. 그런데 그 군인은 로자린드 부인의 남편이었고, 가훈을 보고 놀란 군인은 소년에게 물어 아내를 만날 수 있었습니다. 그 후에도 로자린드 부인은 부활절마다 예쁘게 꾸민 달걀을 나누어 주었고, 이것이 부활절의 상징이 되어 지금까지 이어져 내려오고 있다는 이야기도 있지만 정확한 증거는 없습니다. 세 번째로 페터 제발트는 10세기 이집트의 그리스도교 신자들 사이에 부활절 계란을 주고받는 풍습이 있었으며, 모든 문화와 종교에서 계란은 다산과 부활을 상징한다고 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