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지휘자겸 성악가 강경원입니다

지휘자겸 성악가 강경원입니다

강경원 전문가
부산진구남성합창단
미술
미술 이미지
Q.  올해가 불기2567년 부처님오신날이라고하던데 불기의 기준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불교의 기원은 석가모니가 타계한 연도, 즉 입멸(佛滅) 연도로부터 시작되므로 불기는 석가모니가 입멸한 이후부터 경과된 햇수를 가리킨다.여기에는 여러 가지 설이 있으나, 현재 신앙의 차원에서 공식적으로 통용되고 있는 불기는 남방불교권에서 전설적으로 통용되어온 전통을 채택한 것이다. 남방의 불교국가들은 1956년이 불멸 2,500년이라 하여 대대적인 행사를 개최했는데, 이를 계기로 남방불교의 불기가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한국 불교는 1967년부터 세계불교도우의회(WFB)의 결의에 따라 이 불기를 따르고 있다. 이에 의하면 입멸 연도는 BC 544년이며 석가모니의 생존 기간은 80년이므로 출생 연도는 BC 624년이 된다. 그러나 역사적 사실로서의 연대 추정은 그 자료의 선택에 따라 크게 양분되는데, 남방불교의 자료를 채택할 경우가 북방불교의 자료를 채택할 경우보다 100여 년이 앞선다.입멸 이후 매년 안거가 끝날 때마다 율장에 점을 찍어 표시했다는 중성점기설(衆聖點記說)이나 스리랑카의 사료를 근거로 하는 남방설의 경우, 입멸 연도는 BC 480년대가 된다. 인도 최초의 통일국가를 건설한 아소카 왕의 즉위 연도가 입멸 후부터 100~160년이 경과된 후라는 논서들의 기록을 근거로 하는 북방설의 경우, BC 380년대를 입멸 연도로 보는 설이 유력하다. 이러한 견해 차이는 아소카 왕의 즉위 연도가 다르게 전하는 데 기인한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아편전쟁이 무슨 사건인가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학계에서는 이를 제 1차 중·영전쟁으로 부른다. 전쟁의 빌미가 된 것은 아편문제였으므로 일반적으로는 아편전쟁이라고 부른다. 영국에 대한 중국의 최대수출품은 차였고, 영국의 주요수출품은 모직물과 인도 면화였다. 영국은 차 수입을 결제할 은이 부족해지자, 인도에서 재배한 아편을 지방무역상인을 통해 청에 밀수출하여 벌어들인 은으로 차를 수입했다. 이는 청의 농촌경제 파탄과 국가 기능의 마비, 은 유출로 인한 재정 궁핍을 초래했다. 이에 황제는 임칙서를 광둥에 파견했고, 그가 아편을 모두 몰수·파기하는 단호한 조치를 취하자 전쟁이 일어났다. 전쟁은 영국의 승리로 끝나며 중국은 최초의 불평등 조약인 난징 조약을 체결했고, 이는 중국에 대한 서구 열강의 제국주의적 침략의 발판이 되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을지문덕의 살수대첩은 실제 있었던 일인가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아닙니다. 실제 있었던 우리나라 3대 대첩중 하나입니다.612년(영양왕 23년), 제2차 고구려-수 전쟁의 대표적인 전투. 살수에서 고구려의 을지문덕의 주도 아래 이루어낸 대첩이자 한국전쟁사 중 가장 인지도가 높은 승전 중 하나이다. 흔히 강감찬의 귀주 대첩, 이순신의 한산도 대첩과 함께 한국사 3대 대첩이라 불립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고려시대 토지제도중 시정 전시과와 개정전시과, 경정전시과는 어떤 차이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개정전시과의 특징은 첫째, 전지의 지급기준에서 인품이 빠지고 관직의 높낮이가 기준이 되었다는 점이다.이때는 모두 18등급으로 나누어 등급별로 해당관직과 전지지급애액을 규정했다.무반직과 문반직을 차별했다. 일례로 무반 정3품 상장군은 5과의 대우를 받는 데 반해, 문반 정3품은 4과의 대우를 받았다. 산직(散職)인 경우는 격차가 더욱 심했다. 셋째, 시정전시과에서는 한외과(限外科)로 분류되었던 잡색원리·유외잡직이 16과와 18과 사이로 편입되었다. 넷째, 마군(馬軍)과 보군(步軍)이 수급대상에 포함되었다. 이는 고려의 병제가 정비된 결과를 반영한 것이다. 다섯째, 시정전시과에서는 모든 품등에 전지와 시지가 지급되었으나 개정전시과에서는 16이하에는 전지만을 지급했다.경정전시과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과별로 전지의 지급액을 축소했는데, 특히 시지가 현저히 감소했다. 둘째, 무반의 등급이 상승했는데, 등급별 지급액이 축소되어 실제 지급액에는 큰 차이가 없다. 셋째, 산직이 제외되었다. 넷째, 개정전시과에서 빠졌던 향직이 포함되었는데, 지급대상은 대상(大相:4품)·원윤(元尹:6품)뿐이고 나머지는 제외되어 있어 이 점이 의문으로 남아 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흥선대원군이 서원을 정리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 고종 때 서원이 당파싸움의 뿌리라는 이유로 흥선대원군이 내린 서원철폐령의 실체가 처음 확인됐다.고종실록에 따르면, 대원군은 서원철폐령(1868ㆍ1871년)을 내려 전국의 미사액ㆍ사액서원(약 1700여곳)을 47개소(사액서원)만 남기고 모두 철폐를 명했다.이번 사액(1711년, 숙종37) 관산서원 사당터 조사에서는 온전히 확인된 매납시설을 통해 서원을 철폐하고 신주를 묻은 역사적 사실이 처음으로 확인됐다.관산서원은 창녕에서 유일한 사액서원이자 영남5현(嶺南五賢, 김굉필ㆍ 정여창ㆍ이언적ㆍ이황ㆍ정구)의 한 분으로 숭앙(崇仰)된 영의정(추증) 문목공 (文穆公) 정구(鄭逑, 1543~1620년)를 기려 그가 사망하자 세운(1620년, 광해군12) 서원이다.
20620720820921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