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가렴주구라는 고사성어의 의미는 무엇이고 어디에서 유래하였나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관청에서 백성에게 세금을 가혹하게 거두어들이고 무리하게 재물을 빼앗는다는 뜻.무리한 세금을 가혹하게 징수로 인한 임금의 혹독한 정치를 뜻함.공자가 제자들과 함께 걸을때 어느 여인이 슬피우는데이유를 물으니 시아버지, 남편,아들이 연달아ㅜ호랑이에 물려죽었다는.... 그런데 왜 이마을을 떠나지 않느냐는 공자의 질문에 여인왈, 이마을이 세금이 싸서...ㅋㅋ그리하여 공자왈 호랑이보다 세금을 가혹하게 내게하는 정치가 더무섭다하여 생긴말~~
Q. 이앙법은 언제 전파됐고 언제 정착 확산됐나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이앙법이란 벼농사에서 못자리의 모를 논에 옮겨 재배하는 방법으로 중국의 한(漢)대부터 시작되었으며, 우리나라에는 고려 후기에 도입되어 남부 지방 일부에서부터 점차 보급되기 시작하였다. 이앙법은 무엇보다 관개와 물이 필수적이다. 원래 작물을 생육지에서 다른 장소로 자리를 바꾸어 심어 가꾸는 일을 이식 재배라고 하는데, 못자리의 모를 논에 옮겨 심는 일을 모내기 또는 이앙이라고 한다.벼는 이앙으로 입지와 생육 환경에 변경이 있게 되며, 이식 작업에 따르는 뿌리의 절단으로 일시나마 생육 작용이 정지되기 때문에, 벼의 성장이 직접 씨를 뿌리는 직파법에 비하여 다소 지연된다. 그러나 이앙법은 벼를 쉽게 이식할 수 있으며, 적당한 시기에 새 입지를 마련하여 주면 경작 기간을 단축시킨다. 또한 경작 기회가 늘어나 윤작이 가능하고 경지의 이용도를 올리는데 유리하므로 집약 재배에 알맞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