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지휘자겸 성악가 강경원입니다

지휘자겸 성악가 강경원입니다

강경원 전문가
부산진구남성합창단
역사
역사 이미지
Q.  친일파를 척결하지 못한 이유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친일파가 다시 미군과 협정하여 나라의 주요직책을 송두리째 차지하고 친일파 척결에 대한 헌법적 근거나 제시를 못하도록 이끌고 친일이라는 단어자체를 엄두도 못내게 했으며 친일이라고 말하는 사람을 오히려 공산주의 빨갱이라고 역으로 처벌해버리는 만행을 저질렀기 때문입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불교는 인도에서 시작되어 전세계로 퍼졌다는데 왜 나라마다 불교가 다른가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소승불교.대승불교 크게 두가지로 나누어지는데, 각 나라에 전파되어 그 나라의 실정에 맞게 흡수되고 발전 되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학교역사에서 교복자율화는 몇년도에 하였나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983년도 자율화시행!-양복 정장형 교복이 도입된 지 얼마 되지 않아, 제5공화국 출범과 이에 따른 정권의 유화 정책에 따라 두발 자율화는 1982년부터, 교복 자율화는 1년 유예를 두어 1983년도부터 시행하였다. 즉, 교복 자율화 세대는 좁게 잡으면 1970~1974년생, 넓게 잡아 교복을 입긴 입었으나 그 기간이 3년이 안 되는 경우면 1968~1976년생이 된다. 다시 말해, 영화 써니의 배경이었던 시절에 교복 자율화를 시행했다는 것. 무한도전에서도 OB로 분류되는 박명수, 정준하, 유재석 3인방은 각각 1970년 생, 1971년 생, 1972년 생인데 학창 시절 교복을 입고 찍은 사진이 단 1장도 없다. 반면에 막내들인 1979년 생 하하와 노홍철 등은 중고교 시절에 교복을 입고 찍은 사진이 있다. 한국사능력검정시험 강의로 유명한 최태성 역시 1971년생이라 교복을 입지 못한 대신 교련복을 교복처럼 입고 다녔다고 한다. 전한길은 1970년 8월 21일생이라, 김병지는 1970년 5월 12일 (음력으로는 부처님오신날)생이라 교복을 입지 못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고려 말기 만들어진 화통도감은 어떠한 성격의 기관이었는지 궁금합니다
1377년(우왕 3)에 판사(判事) 최무선(崔茂宣)의 건의로 설치되었다. 일찍이 그는 중국 강남의 상인 이원(李元)을 자신의 집에 모셔두고 집요하게 설득하여 수십 일에 걸쳐 염초자취술(焰硝煮取術: 화약의 제조법)을 배웠다. 이후 그가 화약의 주원료인 염초의 제조에 성공한 뒤 그 효력을 시험하고 여러 차례 조정에 건의하여 비로소 화통도감(火筒都監)이 설치된 것이다.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영락제가 궁녀와 환관을 숙청한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누명 씌워 죽이고 말못한다고 죽이고 각봉 이유를 다 갔다 붙여 자금성 안에서 환관과 궁녀들을 너무 죽여서 어여의난 이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신라의 화랑 집단은 무슨 역할을 했나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진흥왕은 전쟁에 필요한 군사로 쓰기 위해 유능한 인재들을 모아 화랑도를 조직했어. 주로 용모와 품행이 단정한 15 ~ 18세 정도의 사내아이들이었지. 이렇게 모인 화랑들은 산 높고 물 맑은 곳을 돌아다니며 몸과 마음을 바르게 수련했단다. 화랑들이 꼭 지켜야 하는 ‘세속오계’가 있었다.화랑의 총지도자는 국국선이다. 그 아래에 화랑이 있고, 각 화랑들은 수백 명에서 천 명 정도 되는 낭도들을 거느렸어. 우리가 잘 알고 있는 화랑 김유신은 ‘용화향도’라는 낭도들을 이끌었지. 낭도는 귀족이나 평민 누구나 될 수 있었지만 화랑은 진골 귀족만 될 수 있었다.화랑은 화장을 했는데화랑이 여자처럼 곱게 화장을 한 것을 ‘낭장결의’라고 해. 여자처럼 예뻐 보이기 위해서가 아니라 정의가 아닌 것을 바로잡기 위해서는 목숨도 버릴 수 있다는 의지를 드러내는 것이었지.
역사
역사 이미지
Q.  일제강점기 시대 우리나라 사람은 왜 일본식으로 이름을 바꿨나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일본은 우리나라 사람들의 이름을 일본식으로 고쳐서 우리의 의식을 일본화 하려했던거지요...ㅠ 이름도 없애고 나아가서 한글도 없애고 문화도 없애서 모든걸 일본화하려는 강제적 조치였습니다
철학
철학 이미지
Q.  철학에서 현상학이란 정확하게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에드문트 후설에서 시작한 현대철학. 세계가 의식에 나타나는 그 자체를 '현상'이라고 하고, 이렇게 주어진 현상의 보편적인 특징과 조건들을 탐구하는 철학.'사태 자체로!' 이것이 현상학의 모토이다. 선입견이나 이론적 세계관적 설명으로 감춰진, 사태 그 자체를 말하는 것이다. 따라서 현상학은 의식과 세계에 관해 사유되고 말해지는 기존의 모든 것을 도외시하기를 요구한다. 그리하여 사물들을 기존 지식으로 덮어 버리지 않으면서 사물들 자체에 접근하는 새로운 방식을 추구한다. 즉, 현실의 것에도 스스로를 "보여 줄" 기회를 주어야만 한다는 것이다. 그럴 때 나타나는 것, 그리고 그것이 자발적으로 나타나는 양태를 '현상(Phänomen)'이라고 부른다.이런 연구는 의식을 해석하거나 설명하는 대신, 현상들이 어떻게 '나의 의식으로부터' 존재하고 나타나는지를 서술하려고 한다. 이때까지의 형이상학이 주장했던 것처럼 본질은 현상 '배후에' 숨겨진 무엇이 아니다. 내가 본질을 사유하는 한, 본질 자체도 하나의 현상에 불과하다. 그것 역시 사유되는 그 무엇이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외부 세계는 없고 오로지 의식만 있다는 유아론을 말하는 것도 아니다. 다만 우리의 의식은 무엇인가에 연관되어 있음을 말하고자 하는 것이다. 의식은 언제나 어떤 무엇의 의식이다. 의식이란 '내부'에 있지 않고, 의식 대상이 되는 '외부'의 무엇 곁에 있다. 현상학은 의식 대상이 (의식에 대해) 어떻게 그리고 무엇으로서 주어지는지에 주목한다. 달리 말해 의식이 그 대상에 어떻게 관계하는가에 주목한다.
철학
철학 이미지
Q.  플라톤이 정의한 이데아라는 개념은 어떤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플라톤 철학의 핵심은 이데아론이다. 그의 이데아론에 의하면 세계는 현상의 세계와 이데아의 세계로 구분된다. 현상의 세계는 감각으로 지각되는 불완전한 세계로 이데아의 그림자에 불과하다. 반면 이데아의 세계는 이성에 의해서만 인식될 수 있는 완전하고 불변하는 세계이다. 예컨대 현실에 있는 삼각형이나 아름다운 꽃들은 모두 불완전하지만, 이데아의 세계에는 완전한 삼각형의 이데아와 아름다움의 이데아가 존재한다는 것이다. 이 세상의 모든 사물마다 그 본질인 이데아가 있으며, 그 가운데 최고의 이데아는 선의 이데아이다
미술
미술 이미지
Q.  미켈란 젤로가 설계한 건축물은 무엇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캄피돌리오 광장은 1536년 미켈란젤로가 설계한 광장으로르네상스시대의 안정된 아름다움을 볼 수 있다.
767778798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