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강남선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강남선 전문가입니다.

강남선 전문가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지구에서 가장 깊은 바다는 어느 정도 수심을 가지고 있나요?
안녕하세요. 강남선 과학전문가입니다.Q: 지구에서 가장 깊은 바다는 어느 정도 수심을 가지고 있나요?A: 지구에서 가장 깊은 바다는 태평양에 위치한 마리아나 제도 동쪽에 있는 해구입니다. 평균 수심 7000~8000m에 이르는 마리아나 해구 중에서도 가장 깊은 부분인 챌린저 심연의 깊이는 1만 1033m에 달하는 것으로 전해집니다Q: 제가 알기로 가장 깊은 바다가 가장 높은 산보다 훨씬 더 수심이 깊다고 하던데 이것이 사실인가요?A: 계산을 해보면 바다가 육상에 가장 높은 산보다 깊습니다. 해발 8848m인 에베레스트 산을 심연의 바닥에 놓으면 산 정상에서 물 표면까지 2.5㎞가 남을 정도의 깊이다.지금까지 동아닷컴 기사보고 적었습니다참고 자료: https://www.donga.com/news/Inter/article/all/20140411/62459518/1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바닷물에 몸이 뜨는 원리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강남선 과학전문가입니다.우리가 물에 뜨는 것은 체중보다 부력이 더 크기 때문입니다. 바닷물에서 우리 몸이 더 잘 뜨는 까닭은 바닷물에는 소금이 녹아 있기 때문입니다. 바닷물은 녹아 있는 소금의 무게만큼 더 무겁기 때문에 부력도 크게 작용하는 이유로 더 잘뜨게 되는것입니다
기계공학
기계공학 이미지
Q.  반도체 파운드리가 무슨뜻인가요
안녕하세요. 강남선 과학전문가입니다.파운드리 의미에 대해 찾아본 자료를 공유해드립니다.파운드리(영어: fab 또는 foundry, semiconductor fabrication plant)란 반도체산업에서 외부 업체가 설계한 반도체 제품을 위탁받아 생산·공급하는, 공장을 가진 전문 생산 업체를 지칭한다이상 위키백과 파운드리 였습니다.자료 인용: https://ko.wikipedia.org/wiki/%ED%8C%8C%EC%9A%B4%EB%93%9C%EB%A6%AC
화학
화학 이미지
Q.  사람의 머리카락은 하루에 수치로 얼마나 자라나요?
안녕하세요. 강남선 과학전문가입니다.저도 궁금했던 질문인데덕분에 자료를 찾아보게되었네요..자료 찾아본 결과는 아래와 같습니다.하루평균 0.3mm 자란다고 합니다.한 달에 약 1cm가량 자라구요.. 1년 동안은 약 12cm가 자라는 셈이라고 합니다.물론 성별,나이,계절, 개인의 신체상태 등에 따라 머리카락이 자라는 속도는 사람마다 다르다고 합니다.지금까지 임다은 헬스조선 기자님 기사를 인용했습니다.즐거운 하루 되세요인용 기사: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9/04/2017090401965.html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녹조나 적조가 발생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강남선 과학전문가입니다.Q1:겨울철에는 녹조나 적조 발생량이 적은 이유가 무엇인가요?A1: 겨울철에 녹조와 적조 발생량이 적은 이유는아래 질문 답변 내용에 기재하였으나, 이들이 대번식하기 좋은 환경(수온이 낮거나, 광량이 적은 이유)이 아니기 때문입니다.Q2: 녹조나 적조가 발생하는 이유?A2: 적조와 녹조는 공통적으로 조류(주로 미세조류이고 일부 해조류도 있음)가 대번식을 통해서 수색을 변화되는 현상이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습니다.즉 대량 번식이 이루어졌다는 사실인데요대량 번식이 이루어지는데는 일반적으로 수온, 염분, 광량, 영양염류, 포식자 풍도(=밀도), 탁도, 해수의 흐름 등 매우 복합적으로작용되는데요그중 영향을 많이 주는 요인인 수온, 일조량, 영양염류 등이 있습니다.일반적으로- 수온은 25도 이상을 유지하게 되고- 일조량이 많아지면서- 수중으로 영양분이 과다공급되는 조건이 녹조와 적조 발생 요인이라 볼 수 있습니다Q3: 이들의 단점이 무엇인가요?1. 녹조와 적조 원인종들중에 그들이 가지고 있는 독소로 인한 물고기 폐사 사례2. 원인 종들에 끈적끈적한 물질을 분비하는데 이게 물고기 아가미에 붙어서 결국 물고기가 폐사되는 사례3. 녹조와 적조 대번식(대발생)후 사멸 시기에 원인종들이 죽게되어 저층으로 가라앉고이걸 박테리아가 분해하면서 산소를 이용하게되면서 일시적으로 저층은 무산소층이 됩니다.무산소층으로 인한 저층에 살고 있는 생물들 피해4. 녹조나 적조가 심하게 되면 일단 냄새도 나고, 시각적으로 불쾌하겠죠.. 그럼 관광객 유치라든지..지역적으로는 이런 관광산업에 피해를 입을수 있음... 쉽게 생각해서 옆에서 적조 녹조가 나있는데횟집에서 회를 먹고 싶은 맘이 떨어질것 같아요 ^^5. 녹조와 적조 원인종이 가지고 있는 독소로 인한 인류 보건 문제 등다양한 피해 사례를 들수 있습니다.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시구요...녹조나 적조 생물로 인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 우리나라 해양수산부나 환경부, 대학교 등에서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그 분들에 노고에 감사를 표하면서...이상 바다생물을 연구하는 연구원이였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광합성으로 에너지를 얻는 플랑크톤이 심해에도 있나요?
안녕하세요. 강남선 과학전문가입니다.Q:빛이 들지 않은 깊은 심해에 플랑크톤이나 광합성으로 에너지를 얻는 생물이 존재하나요?A: 먼저 광합성이란? 식물 몸속에 존재하는 엽록체에서 빛에너지를 이용하여 물과 이산화탄소로부터 포도당을 합성하는 과정을 광합성이라고 합니다. 즉 빛에너지를 화학 에너지로 바꾸는 역할이죠.. 따라서 빛이 들지 않는 심해에는 광합성을 할 수 있는 조건이 될 수 없는 관계로 광합성으로 에너지를 얻는 생물은 존재하지 않겠죠...Q: 어떻게 에너지를 얻고 살아가나요?A: 하지만 심해에 열수 분출공에 있는 박테리아가 화학 합성을 통해 영양분을 합성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심해에는 황화수소를 산화시켜 나오는 화학에너지를 이용해 탄수화물을 만드는 박테리아들이 많이 살고 있습니다.심해 열수분출공에 살고 있는 황화수소 박테리아들은, 식물이 태양에너지를 이용해 광합성을 해서 생태계를 부양하는 것처럼화학 합성을 해서 심해의 열수 분출공 근처에 생태계를 유지 시키고 있습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바닷물은 몇도부터 얼기 시작하나요?
안녕하세요. 강남선 과학전문가입니다.Q:바닷물은 몇도부터 얼기 시작하나요?A: 바닷물에 어는점은 -2도 어는데 이유는 바닷물 속에 염분이 녹아 있기 때문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바다의 색 투명도가 다른 이유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강남선 과학전문가입니다.Q: 왜 바닷물 색깔이 다를까요?A: 일반적으로 물 색깔은 모두 무색입니다... 그런데 왜 색깔 차이가 나느냐는 바닷물 속에 플랑크톤이나 부유물과 같은 작은 입자들이 포함되어 있어서 빛을 반사하기때문에 색깔이 차이가 나는것입니다. 그 물속에 뻘 같은 진흙들이 많이 있으면 황색에 바닷물을 보일꺼고, 우점하고 있는 식물플랑크톤의 엽록소때문에 에메랄드 빛을 띄는 바닷물을 보이기도 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바닷물은 기온이 몇도까지 떨어져야지 얼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강남선 과학전문가입니다.Q: 바닷물은 기온이 몇도까지 떨어져야지 얼 수 있나요?A: 바닷물에 어는 점은 -1.91도로 알려져 있습니다. 먼저 빙점이란? 액체가 고체로 변화할 때 방출된 열에너지가 모두 응고열로 쓰이기 시작할 때 온도로 순수한 물의 어는점은 0도이지만, 바닷물에는 염분이 높아 있기 때문에 밀도가 높은 물이되서 순수한 물의 어는점보다 낮아집니다.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적조현상이 일어날 때 바다에 진흙을 뿌리는 이유
안녕하세요. 강남선 과학전문가입니다.Q1: 적조가 왜 생기는 것일까요?A1: 먼저 적조 정의를 설명드리자면 식물플랑크톤의 대량번식으로 바닷물의 색깔이 변색되는 자연 현상을 적조라고 일반적으로 정의 내리고 있습니다. 적조가 발생하는 이유는 적조를 일으키는 원인종도 생물이고 자가 분열을 하기 때문에 그들이 성장하는데 도움이 되는 적당한 일조량, 수온, 염분, 영양염류 등 적조 생물의 대량번식에 알맞은 해양환경이 조성되어 적조가 발생되는 것입니다.Q2: 진흙을 뿌리면 어떤 효과가 있어서 뿌리는건지 궁금하네요?A2: 일단 진흙이라고 말씀하시것은 황토라고 생각됩니다. 황토는 모래를 구성하는 석영 및 점토 광물 등 다양한 광물들이 혼합되어 있습니다. 황토가 바다에 뿌려지게 되면 적조생물에 흡착(=붙게)되고 황토와 함께 흡착된 생물이 침전과정을 거치면서 사멸하게 됩니다. 적조생물은 일반적으로 광합성을 하는 생물들인데.. 빛이 없는 바닥으로 침전되면 광합성을 못하게 되어 죽게 되는 상황이 발생되겠죠 단점은 일부 논문에서도 언급되고 있지만, 적조생물을 없애고자 황토를 뿌린게 오히려 저층에 서식하는 생물에 악영향을 끼치는 경우도 있으니 아쉽게도 황토 살포가 만능은 아닌것 같습니다.* 저는 국립수산과학원 소속된 연구자는 아니지만 밤낮없이 우리나라 적조 피해를 줄이고자 국립수산과학원분들이 많은 연구와 노력을 기울리고 있는데 비슷한 연구를 하고 있는 연구자로서 감사함을 느끼고 있습니다.더욱 상세한 설명 자료는 링크를 걸어놓을테니 보시면 매우 도움될 듯 싶어요... 이 자료도 국립수산과학원 관계자분들께서 만드신것 같네요...https://www.nifs.go.kr/red/manual/redtide.pdf
67891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