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LFP(리튬인산철) 셀의 충전전압이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강세훈 전문가입니다.LFP 셀의 최대 충전 전압은 3.65V로, 3.9V로 충전하면 과충전 위험이 있습니다. 과충전은 셀 손상, 수명 단축, 발열 또는 폭발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충전기에 BMS(배터리 관리 시스템)가 탑재된 경우 3.65V 이상에서 충전을 차단할 수 있지만, 보호 회로가 없다면 3.9V로 계속 충전되어 셀이 손상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LFP 셀을 충전할 때는 반드시 권장 전압 범위(3.65V 이하)를 준수해야 하며, 제조사의 지침과 충전기 호환성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안전을 위해 적절한 충전기를 사용하세요.
Q. 스타링크같은 우주 인터넷 기술이 지구 전체를 연결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강세훈 전문가입니다.스타링크 같은 우주 인터넷 기술은 저궤도(LEO) 위성을 활용해 지구 전역에 인터넷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기존 지상 네트워크가 닿지 않는 지역에서도 인터넷 접속이 가능합니다. 위성 간 레이저 링크와 지상 기지국을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사용자 단말기(안테나)를 통해 신호를 수신합니다. 하지만 날씨, 장애물, 사용자 밀집도 등에 따라 속도가 변동될 수 있으며, 완전한 안정성을 위해서는 더 많은 위성 배치와 지속적인 기술 개선이 필요합니다. 이론적으로는 지구 전체를 연결할 수 있지만, 고속·저지연 인터넷을 보장하려면 추가적인 발전이 필요합니다.
Q. convolution layer 의 정의는 무엇인지요?
안녕하세요. 강세훈 전문가입니다.Convolution Layer는 딥러닝 신경망에서 중요한 특징을 추출하는 계층으로, 특히 이미지나 신호 처리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입력 데이터에 필터(커널)를 적용하여 특정 패턴을 감지하고, 이를 통해 특징 맵(feature map)을 생성합니다. 합성곱 연산을 통해 지역적인 정보를 효과적으로 추출할 수 있으며, 데이터의 차원을 줄이면서 중요한 요소만을 남기는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과정은 이미지 분류, 객체 탐지, 얼굴 인식 등 다양한 컴퓨터 비전 및 자연어 처리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Q. compute bound가 무엇인지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강세훈 전문가입니다.Compute bound는 시스템의 성능이 연산 처리 능력에 의해 제한되는 상황을 의미합니다. 즉, 프로그램의 실행 속도가 CPU나 GPU와 같은 연산 장치의 성능에 의존하여 결정될 때 발생합니다. 이 경우 메모리 대역폭이나 입출력 속도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주로 연산량이 많거나 복잡한 계산을 필요로 하는 작업에서 나타납니다. 과학 계산, 그래픽 렌더링, AI 모델 학습 등에서 주로 발생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더 강력한 연산 장치나 병렬 처리 기술을 사용하는 방법이 필요합니다.
Q. R,L,C 병렬 회로는 어떻게 합성 임피던스를 구하나요?
안녕하세요. 강세훈 전문가입니다.R, L, C 병렬 회로에서 합성 임피던스를 구할 때는 각 구성 요소의 임피던스를 병렬로 계산합니다. 각 요소의 임피던스를 Z_R, Z_L, Z_C로 나타낼 수 있으며, 이들의 병렬 합성 임피던스는 1/Z = 1/Z_R 1/Z_L 1/Z_C로 계산됩니다. 여기서 Z_R은 R, Z_L은 jωL, Z_C는 1/jωC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계산 후, 이 값을 다시 역수로 취해 합성 임피던스를 구할 수 있습니다. 병렬 회로의 경우 임피던스가 작을수록 더 많은 전류가 흐르게 되므로, 전체 회로의 특성을 이해하고 설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Q. 전기 공학에서 파형율은 어떤 의미인가요? 공식은 책에서 나와서 외우기는 하겠는데, 그 의미하는 바를 모르고 외우면 오래 가지 않을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강세훈 전문가입니다.파형율은 주로 신호의 형태와 관련된 특성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주로 신호가 사인파와 얼마나 비슷한지, 혹은 왜곡이 얼마나 심한지를 측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일반적으로 파형율이 낮을수록 신호의 왜곡이 적고, 신호의 품질이 우수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전기 회로에서는 이 값을 통해 신호의 왜곡을 줄이는 설계를 할 수 있으며, 특히 통신 및 제어 시스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공식은 신호의 최대 값과 RMS(실효값)의 비율로 정의되며, 파형율이 높으면 신호의 품질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Q. 구형파는 단위 계단 함수 처럼 직사각형으로 구성되어 있던데, 왜 구형파라고 부르나요?
안녕하세요. 강세훈 전문가입니다.구형파는 이름 때문에 구형(球形)과 연관이 있을 것 같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습니다. 구형파는 신호의 파형이 직사각형으로 나타나는 파형을 의미하며, 시간에 따라 주기적으로 높고 낮은 값으로 변하는 특성을 가집니다. 주어진 주파수에서 일정한 주기를 가지고 높은 값과 낮은 값을 번갈아 가며 유지하기 때문에 그래프 상에서 직사각형 형태로 보입니다. 하지만 왜 "구형파"라고 부르는지에 대한 이유는 주파수가 낮을 때 이상적인 직사각형에 가깝지만, 주파수가 높아지면 고조파 성분의 영향을 받아 부드럽게 둥근 모양처럼 변하는 특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특히 이상적인 구형파는 무한한 고조파 성분을 포함하는데, 현실에서는 대역폭이 제한되므로 고주파 성분이 점차 약해지면서 둥근 형태로 왜곡될 수 있습니다. 이런 이유로 구형파라는 명칭이 붙었으며, 신호 처리 및 전자 회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Q. 핸드폰에서도 전자파가 발생하나요?
안녕하세요. 강세훈 전문가입니다.휴대폰에서도 전자파가 발생합니다. 전자파는 전기가 흐르는 모든 전자기기에서 방출되며, 휴대폰도 배터리를 사용해 전력을 공급받기 때문에 예외가 아닙니다. 특히 통신을 위해 기지국과 전파를 주고받는 과정에서 전자파가 발생하며, 신호가 약할수록 더 강한 전파를 방출하게 됩니다. 또한, 휴대폰에서 발생하는 전자파는 비전리 방사선으로 분류되며, 이는 X선이나 감마선처럼 DNA를 직접적으로 손상시키지는 않지만 장기간 노출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습니다. 세계보건기구(WHO)와 국제암연구소(IARC)는 휴대폰 전자파를 잠재적 발암물질(2B군)로 분류하며, 전자파 노출을 줄이기 위해 이어폰 사용, 통화 시간 단축, 약한 신호 환경에서의 사용 자제 등을 권장합니다. 따라서 휴대폰도 전자파를 방출하며, 이를 최소화하는 사용 습관이 필요합니다.
Q. 2차전지에 스크래치가 나면 자연발화하여 화재가 발생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강세훈 전문가입니다.2차전지에 스크래치가 나면 내부 단락(쇼트)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며, 이로 인해 자연발화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2차전지는 양극, 음극, 분리막, 전해질로 구성되며, 스크래치로 인해 분리막이 손상되면 양극과 음극이 직접 접촉하면서 내부 단락이 발생합니다. 내부 단락이 발생하면 급격한 발열과 함께 전해질이 분해되면서 가스가 발생하고, 일정 온도 이상으로 상승하면 열폭주 현상이 일어나며 자연발화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특히 폐기된 2차전지는 외부 충격이나 스크래치, 누액 등의 요인으로 열적 불안정성이 증가하여 화재 위험이 높아집니다. 폐기물 창고에서 전소된 것은 내부 단락으로 인한 열폭주가 연쇄적으로 진행되면서 주변의 다른 배터리까지 발화했을 가능성이 큽니다. 따라서 2차전지는 보관 및 취급 시 스크래치를 방지하고, 폐기 시에도 안전하게 절연 처리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