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전기 전자 관련해서 자격증 종류에 대해서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강세훈 전문가입니다.전기전자 분야에서 취득 가능한 자격증은 다양한 종류가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전기기사, 전기공사기사, 전자기사, 정보통신기사, 전기안전관리자, 전기철도기사 등이 있으며, 각 자격증은 특정 분야에 따라 다릅니다. 또한, 전자기기 기술자나 반도체설계기사, 무선설비기사도 있습니다. 국제적으로는 PE(Power Engineer), IECEx, CISSP, BICSI, CCNA 등도 존재합니다. 이들 자격증은 기술적인 전문성을 높이고, 해당 분야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Q. 슈퍼 컴퓨터로 관측 이전에는 기상청은 어떻게 예보를 준비했나요?
안녕하세요. 강세훈 전문가입니다.컴퓨터와 현대적인 관측 장비가 도입되기 전, 기상청은 기압계, 온도계, 풍향계, 습도계 등 아날로그 장비로 데이터를 수집했습니다. 이 정보들은 수기 방식으로 일기도에 기록되었고, 과거 기상 데이터를 바탕으로 기상 패턴을 분석해 예보를 했습니다. 태풍 예측은 기압 분포와 바람의 방향을 분석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졌으며, 해상 선박과 기상관측소에서 제공한 정보를 기반으로 예측 정확도를 높였습니다. 또한, 전신망을 이용해 지역 간 기상 정보를 공유하고, 이를 바탕으로 예보를 했습니다.
Q. 가압모터 선이 잘렸는데 테이프로 감아놓은 상태
안녕하세요. 강세훈 전문가입니다.선이 잘린 상태에서 임시로 절연테이프를 감아 사용한 것은 일시적인 해결책일 뿐, 장기적으로 안전하지 않으며 전기적 손상이나 합선, 화재의 위험이 있습니다. 절연테이프는 시간이 지나면서 접착력이 약해져 제대로 된 절연이 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제대로 수리하거나 선을 교체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또한, 모터가 작동하지 않는 문제는 전선 연결이 불완전해 발생한 것으로 보이며, 이 문제를 해결하려면 전문가에게 의뢰하여 안전하고 확실한 수리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Q. 전력 계통에서 부하 분류와 특성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강세훈 전문가입니다.전력 계통에서 부하는 저항성, 유도성, 용량성 부하로 나눠집니다. 저항성 부하는 전력을 완전히 소비하며, 유도성 부하는 리액티브 전력을 소모하여 효율성에 영향을 미칩니다. 용량성 부하는 리액티브 전력을 공급해 전압 안정에 기여하지만 과도하면 전력 품질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또한 부하를 시간적 변동성에 따라 정적, 동적, 간헐적 부하로도 분류할 수 있으며, 각 부하 유형은 전력망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므로 이를 잘 관리하는 것이 전력 시스템의 안정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데 중요합니다.
Q. 전기차 물로 불을 끄기가 어려운데요. 그래서 화재가 나면 주위가 모두 불로 전소해야지만 불이 거지는데요. 그런데 요즘 이런 불을 끄는 새로운 장치를 개발했다고 하는데 뭔가요??
안녕하세요. 강세훈 전문가입니다.전기차의 화재는 리튬이온 배터리에서 발생한 열폭주로 인해 기존의 소화 방식으로는 진압이 어렵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습니다. 그 중 하나는 'EV드릴 렌스'라는 장치로, 이 장치는 전기차 배터리팩을 드릴로 뚫어 물을 직접 분사하여 화재를 진압합니다. 또 다른 기술로는 "Cold Fire"라는 장치가 있으며, 이는 물과 특수 화학 물질을 혼합해 배터리 화재를 빠르게 진압합니다. 또한 전기차를 덮는 특수 소화 담요도 사용되며, 이 방법은 산소를 차단해 화재 확산을 막는 데 효과적입니다. 이런 기술들이 전기차의 화재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Q. 대규모 태양광 사업을 진행할 때 한전 계통 포화라는 뜻은 변전소 용량과 송배전선로 용량이 꽉찼다는 뜻인가요?
안녕하세요. 강세훈 전문가입니다.대규모 태양광 사업에서 한전 계통 포화는 변전소와 송배전선로 용량이 모두 부족한 상태를 의미합니다. 계통 연계를 위해서는 변전소 용량과 송배전선로 용량을 모두 고려해야 하며, 변전소 용량이 부족할 경우 사설 변전소를 설치해 승압하고, 이를 개폐소를 통해 송전망에 연계할 수 있습니다. 개폐소 연계는 변전소 용량이 부족하지만 송전선로 용량이 충분한 경우 유용한 방법이며, 이 방식은 특정 조건과 절차를 따르며, 전문가와 상담을 통해 최적의 해결책을 찾아야 합니다.
Q. 해상도의 정의는 어떻게 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강세훈 전문가입니다.해상도는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표현할 수 있는 픽셀의 개수를 나타내는 지표로, 가로와 세로 픽셀 수를 곱하여 정의됩니다. 예를 들어, 1920x1080 해상도는 가로 1920개, 세로 1080개의 픽셀로 구성되어 있어, 화면의 선명도와 세부 사항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해상도가 높을수록 더 많은 픽셀이 화면에 배치되어 이미지나 영상이 더 선명하고 세밀하게 보입니다. 그러나 해상도가 높을수록 처리 성능과 저장 공간 요구가 커지므로 그에 따른 시스템 사양도 고려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