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강정우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강정우 전문가입니다.
강정우 전문가
세브란스병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의료상담
소아청소년과
2024년 10월 19일 작성 됨
Q.
해열제로 열이 잡히지만 4일째 열이나요
안녕하세요. 강정우 소아청소년과 전문의입니다.4일 발열은 단순 호흡기 바이러스 감염에도 생길 수 있는 것으로 비정상적인 정도는 아닙니다. 발열의 원인은 매우 많기 때문에 여기서 일일이 답변하기 어려운 정도이니 의사 진료를 통해 원인을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4년 10월 18일 작성 됨
Q.
피부관련해서 궁금한점이 있어 질문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강정우 소아청소년과 전문의입니다.외형적으로 피부에 문제 있는 것이 아니라면 전혀 문제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매직이 피부에 닿으면 안되는 독성 물질은 아니니까요.
소아청소년과
2024년 10월 17일 작성 됨
Q.
친구의 동생이 어릴 때 말을 못했었거든요 6살까지 못했어요
안녕하세요. 강정우 소아청소년과 전문의입니다.6세까지 말을 전혀 하지 못하던 아이가 성인이 되어 유창하게 정상적인 언어를 구사한다는 것은 사실 믿기 어렵네요. 언어 장애가 있는 아이들은 이른 시기에 언어치료 등 조치가 필요하며 제때 치료하지 않을 경우 예후는 대개 좋지 않습니다. 언어 장애가 있다면 최대한 빨리 진단을 받고 적극적으로 언어치료를 해 주는 것이 방법입니다.
소아청소년과
2024년 10월 17일 작성 됨
Q.
어린이 틱장애 치료가 가능한건가요?
안녕하세요. 강정우 소아청소년과 전문의입니다.우선 틱에 대해서 진단을 제대로 받는 것이 필요합니다. 틱도 여러 종류가 있고 나름의 진단 기준이 있습니다. 따라서 정신과 전문의 진료를 통해 확진이 필요하며 확진이 되면 이에 대해 약물적 치료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정신과(소아정신과) 전문의 진료를 받으시기 바랍니다.
소아청소년과
2024년 10월 17일 작성 됨
Q.
초1 여아 평균보다 살짝 큰데 성장검사 필요할까요?
안녕하세요. 강정우 소아청소년과 전문의입니다.2차 성징은 가슴발달과 음모 등을 보고 발달 단계를 확인하며 징후로는 머리냄새 등이 있습니다. 키가 살짝 크다고 성조숙증을 의심하기는 어려우며 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소아과 의사 진찰 하 여아의 8세 미만, 남아 9세 미만에사 2차 성징이 있다고 판단될 경우 검사를 권고합니다.
소아청소년과
2024년 10월 17일 작성 됨
Q.
이유식 중인 아기 배에 붉은 반점 알레르기일까요?
안녕하세요. 강정우 소아청소년과 전문의입니다.처음 먹는 음식을 시도하고 생긴 발진은 두드러기 가능성도 있으나 신생아 또는 영아 피부는 민감하고 자주 변화하기 때문에 일시적인 발진일수도 있습니다. 일단 식이는 그대로 유지하면서 변화 양상을 확인해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소아청소년과
2024년 10월 17일 작성 됨
Q.
4살 아이 하루 비타민D 권장섭취량 문의드려요
안녕하세요. 강정우 소아청소년과 전문의입니다.비타민D 하루 섭취량은 여러 문헌과 연구에 따라 400~1000IU 정도로 다양합니다. 하지만 4세 정도라면 대개 1000IU 정도가 적당하다고 보며, 총 1400IU가 과량이라고 까지 볼 정도는 아니지만 많은 편에 속하는 것은 맞고 가급적 1000IU 정도는 유지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4년 10월 15일 작성 됨
Q.
한쪽 가슴이 찌릿찌릿 안에서 따가워요
안녕하세요. 강정우 소아청소년과 전문의입니다.가슴 통증은 여러가지 원인이 있지만 가장 흔한 것은 단순 근육통 또는 갈비연골염 등입니다. 기침이 심한 경우 근육통에 의해 통증이 생길 수 있고, 감기 증상이 없더라도 갈비연골에 염증이 생겨 통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대개는 소염진통제로 치료 가능합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4년 10월 15일 작성 됨
Q.
자다가 갑자기 토하는 현상, 심각한 건강 문제인가요?
안녕하세요. 강정우 소아청소년과 전문의입니다.단순 장염 또는 급체로 인해 구토를 할 수도 있습니다만 다른 증상이 동반될 경우에는 기타 원인이 있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당장 대단한 검사는 필요하지 않지만 의사 진료를 보고 결정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4년 10월 15일 작성 됨
Q.
감기는 어느 병원에서 진료받는 게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강정우 소아청소년과 전문의입니다.내과 이비인후과 소아과 가정의학과 어느 과를 가셔도 됩니다. 요즘 감기 진료는 과 간 경계가 없기 때문에 어느 과를 가셔도 진료가 가능합니다.
6
7
8
9
1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