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고한석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고한석 전문가입니다.
고한석 전문가
유신테크공업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기계공학
2024년 5월 30일 작성 됨
Q.
일반적으로 기계를 조립을 할때 나사가 많은 경우 하나 정도 빠져도 괜찮지 않나요?
장남감정보면 빠져도 괜찮습니다. 실제 산업기구나 전동기구같이 강한 진동이나 충격에 버텨야하는 내구성을 요하는것이 아니라면 장난감은 전혀 문제 없습니다 .
기계공학
2024년 5월 30일 작성 됨
Q.
자율주행에서 가장 중요한건 무엇일까요?
자율주행에서 가장 안전한건 안전문제입니다. 길을 찾아가는것은 그 다음입니다. 장애물에 대한 회피 능력과 인지 능력이 가장 중요하며 애플이나 샤오미 테슬라등도 이문제로 아직 완전자율을 구현 못하고 있습니다.
기계공학
2024년 5월 30일 작성 됨
Q.
한국 로봇 산업의 근황이 궁금합니다.
로봇산업은 독일 미국 일본이 가장 앞서있습니다. 한국은 로봇보다는 감속기쪽에 그나마 선방하고있고 현대에서 보스톤다이나믹사를 인수해서 그나마 그부분은 따라잡고있습니다. 한국의 로봇산업이 발전하려면 중국이나 미국처럼 활용에 대한 규제가 많이 풀려야하는데 아직 그렇지 않습니다. 중국의 경우 로봇이 해야하는 일들이 많으며 정부차원에서 밀고있는 사업중에 하나입니다. 한국도 두산로봇틱스 보스톤다이나믹 그외 기타 로봇회사들이 열심히 개발하고있습니다. 하지만 아직 청소로봇 제조공장 로봇 수준입니다. 허나 이는 언제 앞설지 모르므로 희망을 가져야 합니다.
기계공학
2024년 5월 30일 작성 됨
Q.
화장실 환풍기가 덜커덕거리면서 소리 나는 것은 어떤 이유?
모터에 전기가 급격하게 공급될때 강한 구동소리가 나는데 그보다는 환풍기가 지지에 유격이 있는거같습니다. 그래서 유격에 맞았다가 떨어졌다를 모터회전수에 의해 변하는거같으니 환풍이 뚜꺼을떼고 속에 모터부분을 움직이셔서유격이있다면 그부분을 맺꿔 주시거나 재고정해주시기 바랍니다.
기계공학
2024년 5월 30일 작성 됨
Q.
크레인이 중량물을 들어올리때나는 굉음은
기계적 용인이라면 베어링 마모일 수있고 기어에 마모일수 있습니다. 윤활부족도 있으니 이부분도 손보셔야겠습니다. 또한 풀리와 케이블 문제일수있습니다. 아울려 구조적부분에 균열도 살펴보셔야 할꺼같습니다.전기적 문제라면 모터 브러시나 코일에 문제가있으면 소음이 발생합니다. 아크도 있을 수 있고 제저장치 문제라면 릴레이나 인버터 문제인데 보통은 소음은 기계적 소음이 큽니다. 마모부분을 신경써서 점검해보시기 바랍니다.
기계공학
2024년 5월 30일 작성 됨
Q.
사출회사에서 가장큰 TON의 사출기는 뭐가있나요?
현재 가장 큰 사출기는 북미에서 가장 큰 기계 중 하나인 Milacron C8000이 있습니다. 20/20 Custom Molded Plastics와 같은 회사에서 사용하는 이 기계는 최대 약 160인치 x 114인치 크기와 최대 325파운드 무게의 매우 큰 플라스틱 부품을 생산할 수 있다고 합니다.
기계공학
2024년 5월 29일 작성 됨
Q.
사족보행을 하는 로봇에 투자를 많이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험난한 지형을 무언가를 싣고 안전하게 빠르게 이동하는데는 2족보단 4족이 우세합니다. 강아지를 보시면 아시겠죠. 또한 힘을 받치거나 주는데도 지지할 다리가 많을수록 안전합니다. 사실상 8족이 제일 안전하지만 제어상의 어려움이 많죠. 공정도 많이들어가구요. 그래서 4족보행의 연구가 활발하며 보시면 아시다시피 개의 기능을 구현하는것입니다. 위에 무거운 짐이나 또는 무기등을 장착하고 어떤지형이든지 빠르고 안전하게 갈수있습니다. 2족은 인간형을 만들기 위한 흉내일뿐 인간의2족이 더 효율적이진 않습니다.
기계공학
2024년 5월 29일 작성 됨
Q.
기계 설비를 할때 설계는 누가 설계를 하나요?
기계설계회삭 따로있지만 보통 제조까지 겸하고있습니다. 그런회사들은 당연히 모두 생산품에 맞도록 커스텀 하는 회사들입니다. 실제공장에서 상주하면서 조립공정상에 어떻게 나와야하는지 관찰까지 다합니다. 그리고 설계에서 제조까지 함께합니다. 그래야 마진이 크겠죠. 왜야하면 유지보수가 계속 들어가야하는데 초기 설치비보단 그 유지보수가 실 수익이기때문입니다.
기계공학
2024년 5월 29일 작성 됨
Q.
자율주행에 따른 운전직의 위기가 궁금합니다.
먼미래에는 완전 자율주행이 될듯 하나 아직은 어렵습니다. 안전이 확보되지 않았고 다양한 지형에는 아직 학습이 부족합니다. 그정도의 시간이 걸리려면 아직 가늠하기 어렵습니다. 단 일정한 구간에서 택시나 물류의 영향은 있을 수 있습니다. 운적직의 지위가 사라지지는 않고 관리하는 직업으로 승격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뭐든 극단적으로 가지는 않습니다.
기계공학
2024년 5월 29일 작성 됨
Q.
기계에서 끼익 소리가 나는 것은 왜그런가요?
마찰이 직접적원입니다. 하중을 받던 응력을 받던간에 움직이는 연결구조는 지속적으로 마모가 됩니다. 그러면 형태가 틀어져서 결국은 소리가 나는것이고 윤활제등을 첨가하여 마찰을 줄이면서 보수하게됩니다.
36
37
38
39
4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