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재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현 전문가입니다.
김재현 전문가
OPTICS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물리
2024년 5월 28일 작성 됨
Q.
맑은 물인데 물에 젖은 옷은 왜 원래 색보다 짙은 색으로 보이나?
우리가 주변 사물을 볼수있는 이유는 빛의 반사입니다. 따라서 반사를 하지 않으면 사물을 식별할 수없습니다. 따라서 빛이 젖은 옷보다 마른옷에서 더 많이 반사해서 선명하게 보입니다. 그리고 반사하지 못한 빛은 옷이나 물에 흡수됩니다.
물리
2024년 5월 28일 작성 됨
Q.
우주공간이 엄청 큰데 그 안에 지구같은 행성이 있을까요?
지구와 같이 생명체가 살수 있는 행성을 골디락스 행성이라고 합니다. 아마 우주 전체를 두고 봤을 때 이런 지구와 같은 행성은 엄청 많을 거에요. 확률적으로 계산해 보면 우리은하에는 약 5~6000억개의 항성이 있습니다 그리고 이중 0.1%만 골디락스존 행성을 가지고 있다고 해도 5~6억개가 됩니다. 예전 논문에서도 골디락스행성이 약 14억개 정도 된다고 하니 생각보다 엄청 많을거에요
물리
2024년 5월 28일 작성 됨
Q.
도르레를 여러개 연결해서 물건을 들면 물체가 가벼워지나요?
도르래를 이용하면 무거운 물체도 쉽게 들 수 있습니다. 기본적인 도르래는 고정도르래, 움직도르래가 있습니다. 고정도드래는 힘은 그대로 힘의 방향만 반대로 바꿔 줍니다. 그리고 움직도르래는 힘을 절반으로 줄여줍니다. 이런 도르래를 여러개 합치면 힘을 적게 쓰면서 무거운 물건을 들 수 있습니다
물리
2024년 5월 28일 작성 됨
Q.
모세관 현상으로 유체가 역류한다는 말이 무슨 말인가요?
모세관현상이란 유체가 가느다란 관을타고 중력을 거슬러 올라가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런현상은 모세관의 지름이 작을때 발생하고 액체의 표면장력과 액체와 고체사이의 흡착력에 의해 발생하게 됩니다. 대표적으로 식물이 이파리까지 물을 전단 할 수 있는 원리와 같습니다
물리
2024년 5월 28일 작성 됨
Q.
하늘로 총을 쏘면 떨어지는 총알도 위험합니까?
총알을 발사할 때 총알 전부가 다 나가는것이 아닙니다. 탄피는 옆으로 빠지고 작은 탄환만 앞으로 나갑니다. 그리고 보통 크기가 성인 남성 엄지손톱 반정도 됩니다. (총알 크기에 따라 다릅니다). 일단 지상에서 쏘면 최대 높이로 올라갑니다. 최대 높이일때의 총알 속도는 0이 되겠죠. 그리고 지상으로 낙하하는데 종단속도라는 것이 있습니다. 공기의 저항으로 인해 일정속도 이상 올라가지 않습니다. 따라서 떨어지는 총알이 위험할 정도는 아니지만 맞으면 아프겠죠
211
212
213
214
21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