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재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현 전문가입니다.
김재현 전문가
OPTICS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2025년 3월 31일 작성 됨
Q.
금속은 일반적으로 차갑게 느껴지지만 나무는 덜 차갑게 느껴지는데요
안녕하세요. 김재현 전문가입니다.물리적인 이유는 열전도율이 차이가 나기때문입니다. 금속에 손을 대면 차갑다고 느끼는건 금속이 손의 열을 빠르게 뺏어가기때문입니다. 나무의 경우 열을 천천히 뺏어가죠 이차이가 열전도율의 차이인데 철의 경우 67W/mk정도 되고 나무는 0.1W/mk정도됩니다. 차이가 많이 나죠 또한 열전도율이 높은것중에는 은, 구리등이 있으니 한번찾아보시고 만져보세요 손이 금방 차가워 질거에요
2025년 3월 31일 작성 됨
Q.
태양이 지구를 당기고 있는 힘의 크기도 계산할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재현 전문가입니다.넵 만류인력의 법칙으로 힘의크기를 계산할수 있습니다. 먼저 태양과 지구의 질량을 알아야하고 서로 거리를 알아야합니다. 이미 알고있으므로 계산해보면 3.54x10^22N의 힘으로 당기고 있다는것을 알 수 있죠
2025년 3월 30일 작성 됨
Q.
동위원소는 같은 원소가 왜 질량이 달라지나요?
안녕하세요. 김재현 전문가입니다.같은 물질이라도 질량이 다른 이유는 중성자수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동위원소는 같은 양성자의 갯수를 가지지만 중성자수가 달라 질량이 다른걸 말하게 됩니다. 이런 동위원소는 자연계에 아주 작게 존재합니다 대표적으로 원자핵발전소가 있습니다. 우라늄을 연료로 사용하는데 우라늄 238이 자연계에 99.2%가 있습니다. 하지만 실제 사용하기 위해서는 우라늄 235가 필요합니다 235는 자연계에 0.7%만 존재하는데 이걸 2~5%까지 농축시켜서 핵연료로 사용하게 됩니다. 이렇듯 동위원소는 우리주변에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2025년 3월 30일 작성 됨
Q.
우주 정거장은 왜 무중력인가요? 이유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김재현 전문가입니다.지구에서도 무중력을 만들 수 있고 질문하신 분도 무중력을 만들수 있습니다. 바로 자유낙하죠~ 자유낙하 할 때 물체의 상태는 무중력상태 입니다. 중력이 상쇄되는 효과를 갖는 것이죠. 또한 무중력 상태에서는 위와 아래의 구분이 힘들죠. 우리는 항상 지구 중심방향이 아래라고 알고 있으니까요
2025년 3월 30일 작성 됨
Q.
높은건물에서 무거운 공과 가벼운공을 떨어뜨리면 왜 동시에 안 떨어지나요?
안녕하세요. 김재현 전문가입니다.질량이 서로 다른 물체라도 높은데서 떨어지면 질량에 상관없이 동시에 떨어집니다. 단 저항이 없다면 말이죠 ㅎㅎ 질량에 상관없이 동일하게 떨어져야하는데 질량이 작을 수록 저항에 의해 떨어지는 종단속도가 다릅니다. 그래서 다르게 떨어지게 되는것이죠. 진공상태에서는 가벼운 깃털과 무거운 쇠공을 동시에 떨어뜨려도 동시에 떨어진답니다
36
37
38
39
4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