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재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현 전문가입니다.
김재현 전문가
OPTICS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물리
2024년 11월 14일 작성 됨
Q.
빛이 물속을 통과할 때는 왜 굴절이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재현 전문가입니다.굴절이되는 원리는 빛의 속력에 있습니다. 공기중의 빛은 약 299,700km/s 속도를 가집니다 반면 물속에서는 약 225,000km/s의 속도를 가집니다. 이 속도의 차이로 굴절이 발생하게됩니다
물리
2024년 11월 13일 작성 됨
Q.
열기구는 어디까지 올라갈까요? 궁금하네요
안녕하세요. 김재현 전문가입니다.네 맞습니다. 질문하신것처럼 열기구가 올라갈수 있는 한계점이 있습니다. 먼저 공기가없으면 열기구는 더이상 올라갈수 없습니다. 또한 기온이 너무 내려가도 열기구의 공기를 데울수 없어더는 올라갈 수없죠. 따라서 30~40km정도의 높이까지는 열기구가 올라갈수 있고 더는 힘들게됩니다
물리
2024년 11월 13일 작성 됨
Q.
압력용기에서 부피가 감소하면 압력이 증가된다고 하는데요. 보일의 법칙은 언제 어떤실험에서 만들어졌나요,
안녕하세요. 김재현 전문가입니다.보일의 법칙은 1662년 로버트보일에 의해 만들어졌습니다. 기체의 온도와 질량이 일정하다는 가정하에 부피와 압력에 대해 나타내었습니다. 부피가 줄어든다면 압력이 증가하고 부피가 늘어난다면 압렵이 줄어드는것이죠
물리
2024년 11월 13일 작성 됨
Q.
물수제비는 어떤 원리로 가능한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재현 전문가입니다.물수제비는 물에서 닿는 접촉면적을 최소화하면서 수면에 반사되어 탄성을 주며 튕기는 것을 말합니다. 또한 돌이 수면과 충돌을할때 적절하게 회전을 하면 다시 튕기는 효과는 배가 되지요. 따라서 물수제비가 더 잘 튕기려면 회전과 들어가는각도 그리고 돌맹이의 속력이 되겠네요
물리
2024년 11월 13일 작성 됨
Q.
관성의 법칙이 적용 되지 않는 것도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재현 전문가입니다.관성의 법칙을 알기위해선 먼저 관성을 알아야합니다. 관성이란 자신의 상태를 유지하려는 성질입니다. 또한 관성이 생기려면 질량이 있어야 합니다. 왜냐면 관성이란 질량에 의해서 결정되어지는것이기때문입니다. 질량이 크다는것은 관성이 크다라는것과 동일합니다
91
92
93
94
9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