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생명공학 전문가 감마입니다.

안녕하세요 생명공학 전문가 감마입니다.

이성현 전문가
전북대학교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눈 내리는 날은 평소보다 더 조용한건 왜일까요?
안녕하세요. 이성현 과학전문가입니다.밤 사이 눈이 내려 아침이 되면 어느새 소복이 쌓여 온 세상이 하얗다. 그땐 왠지 주변이 고요해진 느낌을 받을 때가 있다. 그런데 실제 눈은 세상을 조용하게 만든다고 한다.이에 대해 기상청 관계자는 "눈이 올 때 눈송이(결정)에 물이나 수증기 입자들이 붙어 내리면 음파로 움직이는 소리가 임의의 방향으로 운동하다 부딪히거나 흡수되면서 영향을 받게 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소리는 진동을 통해 전달된다. 잔잔한 물에 돌을 던지면 물결이 퍼져 나가듯이 소리 역시 물결처럼 퍼져 나간다. 그래서 소리를 '음파'라고도 한다.음파는 물체의 진동이 균일하던 매질(공기)에 부분적으로 압력 변화를 일으켜서 종파의 형태로 고막을 진동시킨다. 압력 차에 의해 공기 입자들이 압력이 높은 곳에서 압력이 낮은 곳으로 이동하면서 음파도 퍼져 나가게 된다.눈은 육방형의 결정이 모여 여러 가지 크기의 입자가 된다. 그 입자가 모여 고체의 눈이 된다. 입자와 입자 사이에는 많은 틈이 생기고 이것이 흡음판의 구멍과 같은 작용을 한다. 눈이 흡음재가 돼 주변이 조용해지는 것이다.흡음(吸音)은 물체 등이 소리(음파)를 흡수해 소리 에너지가 감소하는 현상을 말한다. 흡음재에는 스폰지나 계란판 등이 있다.인제대 환경정보공학과 박종길 교수는 "눈이 내리는 날은 저기압 상태가 되기 때문에 맑은 날보다 소리가 멀리 퍼지지 않는 것도 요인이 된다"고 말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전기차 배터리는 겨울철에 왜 효율이 떨어지나요?
안녕하세요. 이성현 과학전문가입니다.겨울이 되면 흔히 전기차의 수명이 20~30% 줄어든다라고 알려져 있다는건 알고 계실겁니다. 보통 전기차의 배터리는 18~24도 정도에서 최고의 퍼포먼스를 낸다고 하는데 겨울철엔 주행가능거리가 20~30%정도 떨어지니 전기차 오너들이 겨울을 싫어하고 가을을 제일 좋아하는 이유입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빨래할때 뜨거운물? 차가운물? 뭐가 더 효과가 좋나요?
안녕하세요. 이성현 과학전문가입니다.뜨거운 물이 더 좋습니다.온도가 높을 경우에 오염물질들의 반응성 (운동성) 등을 높여주기 때문에 오염물의 제거가 더 용이해집니다.온도가 낮을 경우에는 이와 반대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mRNA 백신의 원리 및 인체에서 어떻게 항체를 만드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성현 과학전문가입니다.우선 COVID-19 mRNA 백신은 팔 상부 근육에 투여합니다. mRNA는 근육 세포에 들어가 스파이크 단백질이라고 하는 무해한 조각을 생성하라고 세포 조직에 지시합니다. 스파이크 단백질은 COVID-19를 유발하는 바이러스의 표면에서 발견됩니다. 단백질 조각이 만들어지면 세포는 mRNA를 분해하고 제거합니다.다음으로, 세포는 세포 표면에 있는 스파이크 단백질 조각을 표시합니다. 면역 체계는 이 단백질이 세포의 구성 요소가 아님을 인식합니다. 이를 통해 감염으로 간주되는 대상과 싸우기 위해 항체를 생성하고 다른 면역 세포를 활성화하는 면역 체계가 촉발됩니다. 이것이 COVID-19에 걸렸을 때 우리 몸이 감염과 싸우기 위해 하는 일입니다.이 프로세스가 끝나면 우리 몸은 향후 COVID-19 원인 바이러스에 감염되지 않도록 우리를 보호하는 방법을 학습하게 됩니다. 모든 백신과 마찬가지로 COVID-19 mRNA 백신의 이점은 백신 접종자가 COVID-19에 걸리는 심각한 결과를 감수하지 않고도 이러한 보호를 받는다는 것입니다. 백신 접종 후 경험하는 일시적인 불편함은 이 프로세스의 자연스러운 부분으로, 백신이 작용하고 있다는 표시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요즘 미디어에서 자주 다루는 멀티버스, 메타버스에 대해 자세히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성현 과학전문가입니다.상당수의 MMORPG (Massive Multiplayer Online Role-Playing Game) 역시 메타버스의 몇 가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다만 여기서 플레이어들이 접속하고 활동하는 가상공간은 멀티버스 (multiverse)라고 불리며 메타버스와는 다른 개념인데요. 메타버스와의 중요한 차이점 중의 하나는 접속한 모든 플레이어가 서로의 존재를 인지하고 상호작용할 수 있는 단일한 공간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예컨대 지역마다 별도의 서버가 있고, 게임 내에서도 오픈 월드와 던전이 별도로 존재해서 캐릭터를 옮겨야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죠.메타버스와 멀티버스를 구분짓는 또 다른 차이점은 지속성에 관한 것입니다. 가상현실의 지속성을 따지는데는 흔히 데이터 (data) 지속성, 세계 (world) 지속성 및 게임 지속성을 고려하는데요. 데이터 지속성은 가상현실의 상태와 접속하는 사람들에 대한 데이터가 계속해서 유지되는지를 가리키는 척도입니다. 세계 지속성은 사람들이 언제든지 원할때 가상현실에 접속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척도라고 합니다. 게임 지속성이란 게임 내의 이벤트들이 계속해서 발생하는지의 여부와 관련된 것으로서, 세계 지속성과 묶여서 사용되기도 합니다. 특정 MMORPG게임이 서비스를 종료하거나, 서버가 터지거나 하면 이는 가상현실의 지속성이 없는 경우가 되겠습니다.출처: https://swstar.tistory.com/230#gref [Life as a Voyage]
14614714814915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