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생명공학 전문가 감마입니다.

안녕하세요 생명공학 전문가 감마입니다.

이성현 전문가
전북대학교
물리
물리 이미지
Q.  자석은 왜 같은 극끼리 밀어내나요?
안녕하세요. 이성현 과학전문가입니다.자석은 같은 극끼리 만나면 서로 밀어내는 성질이 있습니다. 이것을 '척력' 이라고 부릅니다. 자기력이 서로 부딪히기 때문에 서로 밀어내는 힘을 가지게 되는 겁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이번 퉁가 자연재해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이성현 과학전문가입니다.남태평양에 있는 통가의 '훙가 통가-훙가 하파이' 화산이 2022년 1월 14일 새벽 2시 42분에 폭발(최초 분화)했습니다. 이후에도 화산은 계속 분화 활동을 이어갔고, 15일 오후 1시 10분에 대규모 폭발이 발생했습니다. 이번 통가 화산 폭발과 관련해 전문가들은 '해저화산'의 분출이라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해 구글 어스에서는 해저화산 폭발 지점을 아래의 지도와 같이 표현하고 있습니다. 홍태경 연세대 교수는 지도에서 보이는 섬이 정확히 화산 분출 지점이 아니며, 실제로는 해저에서 화산이 분출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습니다. 지도에서 보이는 섬은 실제 분출구가 아니라 분출구(칼데라)를 둘러싸고 있는 가장자리로서 일부가 해수면 위로 솟아 섬으로 보인다고 설명합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향초가 폐에 미치는 영향이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이성현 과학전문가입니다.이미 본연의 성질을 잃고 방향족 화합물로써 기화되었기 때문에 폐에서 왁스가 다시 굳을 일은 없습니다!보편적으로 태우는 것보다 워머가 더 좋다고하는 이유는 아무래도 태우다 보면 초 심지나 왁스가 타면서 발생하는 발암물질 때문에 워머가 더 안전하다고 하는 것 입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피젤리가 생기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성현 과학전문가입니다.상처가 나서 출혈이 발생하게 될 경우에는 혈액이 외부로 방출되게 됩니다.이를 막기 위해 혈액 응고 현상이 이뤄져 출혈을 막을 수 있게되는데요.혈전의 형성으로 혈액이 응고되어 덩어리처럼 느껴지는 것 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하늘은 왜 파란색인 건가요?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성현 과학전문가입니다.하늘이 파란 이유는 태양빛이 지구의 대기를 구성하고 있는 질소·산소 등과 같은 기체 분자와 부딪치면 여러 색깔로 분산되는데, 이 때 파란색이나 보라색 빛이 훨씬 많이 퍼지기 때문에 파란색으로 보이는 것입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방귀가 자주 나오면 좋은건가요 나쁜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성현 과학전문가입니다.방귀가 나오는 것은 장 내 형성되는 가스가 외부로 방출되는 것이므로 자연스러운 현상입니다.하지만 방귀가 나오는 횟수가 너무 많거나 매우 심한 악취가 날 경우에는 장 건강을 신경쓰셔야 합니다.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자동차 손잡이 정전기 생기는 이유는?
안녕하세요. 이성현 과학전문가입니다.손이 건조하고 마찰이 자주 생길 때 정전기가 쉽게 발생하므로, 핸드크림을 수시로 발라주시면 정전기가 발생하는 것을 예방하실 수 있습니다. 참고 바랍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간이 정수기 질문입니다. (질문이 좀 많아요..;;)
안녕하세요. 이성현 과학전문가입니다.간이 정수기로 정수한 물의 경우 음용수로 사용하셔도 됩니다.간이 정수기의 사용횟수는 수질의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또한 제조사에서 명시한 흡착제와 여과제를 모두 사용하시길 바랍니다.
기계공학
기계공학 이미지
Q.  손톱이나 머리카락은 왜 잘려도 아프지 않나요?
안녕하세요. 이성현 과학전문가입니다.손톱이나 머리카락에는 통점이 없기 때문입니다.일반적으로 우리의 피부에는 통점이 있어서 고통을 느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손톱과 머리카락은 죽은 세포로써 통점이 없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우리 지구는 왜 둥근가요???
안녕하세요. 이성현 과학전문가입니다.하나의 천체, 별이 탄생하려면 우주 공간에 흩어져 있는 물질들이 모여야 합니다. 이 물질들은 서로 끌어당기는 힘인 인력이 작용하여 서로 모이게 됩니다. 그것이 점점 커져 덩어리를 이루게 되는데 질량이 커질수록 큰 중력을 가지게 됩니다. 이 중심으로 향하는 힘인 중력은 어느 특정한 곳에 따라 다르지 않기 때문에 중심으로부터 어느쪽으로도 치우치지 않습니다. 때문에 모든 방향으로 골고루 작용하는 이 중력의 힘으로 인해 중심에서 표면까지 일정한 구 모양이 되는 것입니다. 쉽게 말해 중력 때문에 지구의 가운데로 무게가 쏠리기 때문에 구 모양을 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중력은 별의 모양이 깊이 관여합니다. 태양이나 지구, 수성, 화성 등 태양계를 이루는 행성들은 모두 중력의 힘이 크기 때문에 둥근 모양입니다. 하지만 소행성이나 작은 천체들은 둥근 모양이 아닌 울퉁불퉁한 모양입니다. 그 이유는 둥근 모양을 할 만큼 중력이 크지 않기 때문입 니다.
868788899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