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날개 형태에 따른 양력을 집에서 확인해볼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곽지윤 전문가입니다.날개 형태에 따른 양력의 차이를 실험하고 싶으시다면 그 외의 조건들을 동일하도록 제어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합니다예를 들자면 문구점에서 파는 글라이더를 동일한 모델로 2개 구매하여 날개 외의 구성품들은 최대한 동일하게 제작을 하고 날개만 유선형 날개와 평면형 날개를 따로 제작해서 비교 실험을 해볼 수 있습니다.외부 영향을 받지 않도록 실내 공기 순환이 일정한 상태를 만들어주거나 글라이더를 날릴때 사람이 던지는게 아닌 기계적 장치를 이용해서 동일한 힘과 각도로 던지면 더욱 좋습니다날개를 직접 제작하는 경우, 날개 양쪽이 동일해야 균형이 잘 유지되고, 실험결과에 영향이 없습니다. 따라서 3D 프린트 등을 이용해서 정밀한 형상의 날개를 제작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그 외에 헬리콥터 형태의 RC 장난감의 경우 날개부분만 분리하여 개조한다면 원하시는 실험을 해볼 수도 있습니다.참고로 비행기 날개의 양력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는 SW들과 관련 논문들이 아주 많습니다. 실험 전에 관련 자료들을 이용해서 실험 결과을 예측해보고, 예측 결과와 실제 실험 결과를 비교하는 것도 매우 의미 있으니 참고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
Q. 거시세계와 미시세계의 물리법칙이 다르게 동작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곽지윤 전문가입니다.원자나 분자를 확대해서 보면 종합적으로는 전하를 띄지 않는 원자나 분자들도 부분적으로는 한쪽이 + 성질을 띄고, 다른 부분은 - 성질을 띄고 있습니다. 이러한 원자나 분자가 많이 모여있으면, +,- 가 상쇄되어서 0으로 보이게 되지요. 거시세계와 미시세계를 나누는 기준은 위의 설명드린 성질에 영향을 받는지 아닌지에 따라 나누어집니다.분자가 많이 모여서 개별적인 분자의 성질이 나타나지 않고 덩어리로서의 성질만 나타는 것이 거시세계,분자가 많이 않아서 개별적인 분자의 성질이 나타나는 것이 미시세계입니다.말씀하신대로 애매한 크기의 물체의 경우 거시세계의 특성과 미시세계의 특성이 동시에 나타나기도 합니다. 이러한 물질의 특성을 예측하기 위해서는 두 가지 개념 모두 적용해서 분석을 해야합니다.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