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배진호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배진호 전문가입니다.
배진호 전문가
동아대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2023년 5월 8일 작성 됨
Q.
보통의 동물처럼 물고기도 잠을 자나요.
안녕하세요. 배진호 과학전문가입니다.물고기도 잠을 자는데 눈을 뜬 상태로 잠을 잡니다. 눈꺼풀이 없기때문이죠대부분의 물고기들은 잔잔한 물속에서 몸을 수평으로 유지를 하여 잠을 잡니다.쥐치는 모랩밭에 파묻어 잠을 자기도 하고요
2023년 5월 8일 작성 됨
Q.
방 창문 주변에 결로로 인해 물방울이 생기는 원인은 뭔가요?
안녕하세요. 배진호 과학전문가입니다.서리나 물방울은 찬공기와 더운공기가 만났을때 표면에 생기는 것입니다.겨울철에 창문안쪽은 더운반면 창문밖은 덥기 때문에 창문표면에 물방울이 맺혀곰팡이가 생기는 것입니다.
2023년 5월 8일 작성 됨
Q.
상어는 어떻게 전기장을 감지하나요?
안녕하세요. 배진호 과학전문가입니다.상어에게는 전류를 감지하는 로렌치니기관이 있습니다.이 기관은 주로 섬모 다발로서 피부의 구멍들에 연결되어 뇌에 즉각적인 신호를 전다해주는 신경세포들로 이루어져있습니다. 이런 생체 전기장을 파악하여 사냥에 이용합니다.주로 코와 머리앞부분에 로렌치니 기관이 있습니다.
2023년 5월 8일 작성 됨
Q.
질량보존의 법칙이 성립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배진호 과학전문가입니다.어떠한 물질이 화학반응을 하는 경우 그 구성하는 성분만 변할뿐 물질이 소멸하거나 무에서 물질이 생기지는 않습니다. 이를 질량보존의 법칙이라고 합니다. 세상의 법칙은 발견하는것이지 따로 이유가 있지는 않습니다
2023년 5월 8일 작성 됨
Q.
전기 저항이 0인 물질도 있다고 들었습니다. 어떤것들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배진호 과학전문가입니다.전기저항이 0인 물질을 초전도물체라고 합니다.처음 초전도물질은 수은이었고 영하 약 269도에서 발견하였습니다그이후로도 납과 나이오븀 같은 물질도 극저온에서 초전도 현상이 나온다는 사실을 발견하였죠이러한 초전도 현상은 아직 극저온의 온도에서만 구현이 가능하기에 상온에서 초전도물질을 발견하지 못한 이상 실생활에서의 적용은 아직 되지는 않았습니다.
16
17
18
19
2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