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천문우주
Q. 지구의 내부는 어떻게 생겼고 무엇으로 이루어졌나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 내부의 층상구조는 지진파의 속도 변화를 기준으로 크게 지각, 맨틀, 외핵, 내핵의 4개 층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1.지각: 지표에서 모호면까지의 구간으로 암석층2.맨틀: 모호면에서 지하 2,900㎞까지의 구간으로 전체 부피의 약 82%를 차지하며 유동성 있는 고체 물질3.외핵: 지하 2,900㎞에서 5,100㎞까지의 구간으로 액체 상태의 물질로 이루어져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층4.내핵: 5,100㎞에서 지구 중심(6,400㎞)까지의 구간외핵과 내핵은 철과 니켈의 무거운 물질로 구성 지각과 맨틀은 규산염광물이 주성분입니다.외핵이 액체로 되어 있어 지구에 자기장이 형성되고 이 자기장이 우주의 유해물질로 부터 지구를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비가 오고 난 후 무지개가 생성되는 자세한 원리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무지개의 생성원리는 비가온뒤에는 공기에 물방울이 날아 다니거든요.그때 햇빛이 비춰지면 햇빛은 가시광선인 빨,주,노,초,파,남,보가 있읍니다.그리고 가시광선이 다른색으로 보이는 이유는 색에따라 색의굴절정도가 틀려서 그렇습니다 그래서 공기중에 떠도는 물방울에 햇빝이 들어가면서 굴절 (이유는 공기와 물에서의 빛에 속도가 다르기때문에 물과 공기의 경계면에서 빛이 굴절하는 것입니다)하고 물방울 끝에 부딫쳐서 반사되고 (이것은 굴절각이 입사각 보다 크기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입니다 전반사라고 하죠) 다시 나가면서 굴절되서 프리즘과 똫같은 효과를 가질수 있게 됩니다 그럼 이제 나가면서 굴절이 가장 적게되는 빨간색과 가장 크게 굴절되는 보라색 그사이에있는 다른색들이 무지개를 형성하는것입니다.
Q. 물은 왜 중요한가요? 어떻게 생명체에게 도움을 주나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해 소변과 땀을 조절하는 것 외에도 물은 영양분과 산소를 세포로 운반하고, 관절에 윤활유를 바르고, 체온을 조절하고, 소화를 돕고, 장기에 쿠션을 제공합니다.물을 마시면 식도를 통해 위로 내려가 소장을 통해 혈류에 흡수됩니다. 거기에서 신장으로 이동하여 과도한 수분을 걸러내고 배설을 위해 방광으로 보냅니다.물은 혈액이 되지 않지만 혈액의 중요한 구성 요소입니다. 혈액은 적혈구, 백혈구 및 혈소판과 함께 주로 물로 구성된 혈장으로 구성됩니다. 우리가 물을 마시면 체내의 영양분과 노폐물을 운반하는 데 중요한 혈장의 양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지구의 온난화는 어떤 원인으로 발생하는가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산업혁명과 인간 문명의 발전으로 산업의 부산물인 CO2가 발생하였고, 그 증가량은 이룰수없이 큽니다.자동차, 공장, 인간의 날숨, 숲의 파괴... 이로 발생한CO2가 대기에 쌓이면서 태양복사열을 우주로 내보내지 못하고 그에따른 온실효과로 지구는 따뜻해졌읍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지진이 일어나는 원인과 과정은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지진의 직접적인 원인은 암석권에 있는 판의 움직임입니다.. 이러한 움직임이 직접 지진을 일으키기도 하고 다른 형태의 지진 에너지원을 제공하기도 합니다.판을 움직이는 힘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는데, 침강지역에서 판이 암석권 밑의 상부맨틀에 비해 차고 무겁기 때문에 이를 뚫고 들어가려는 힘, 상부 맨틀 밑에서 판이 상승하여 분리되거나 좌우로 넓어지려는 힘, 지구내부의 열대류에 의해 상부맨틀이 판의 밑 부분을 끌고 이동하는 힘 등이라고 생각할 수 있으나, 이것들이 어느 정도의 비율로 작용하는지는 정확히 알 수는 없습니다. 암석권은 지표에서 100km 정도 두께의 딱딱한 층이며 그 밑에는 암석권에 비해 덜 딱딱하고 온도도 높아 쉽게 변형될 수 있는 층(상부맨틀)이 존재하는데 지진이 일어날 수 있는 깊이의 한계는 여기까지로 지표로부터 약 700km의 깊이입니다.지진발생의 원인에 대한 학설은 탄성반발설, 판구조론 등 여러 가지가 있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