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물에도 급수가 있더라고요. 그 급수를 나누는 원리와 왜 나누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물의 오염 정도에 따라서 등급을 정하는데요물의 등급에 따라서 이용하는 목적이 달라지기 때문입니다1급수 : 상수원수 1급 2급수 : 상수원수 2급, 수산용수 1급, 수영용수 3급수 : 상수원수 3급, 수산용수 2급, 공업용수 1급 4급수 : 공업용수 2급, 농업용수 5급수 : 공업용수 3급
지구과학·천문우주
Q. 열대야 현상이 무엇인지 궁굼합니다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열대야(트로피컬 나이트)라는 말은 낮 최고기온이 30℃ 이상으로 오른 한여름의 날씨를 ‘트로피컬 데이’라 이른 데서 연유한 말이다. 열대야에는 습윤한 열대 저지대의 밤 기온과 비슷하여 너무 더워서 사람이 잠들기 어렵고 고통스럽기 때문에 더위를 나타내는 지표가 됩니다.우리나라에서 열대야 현상은 고온다습한 북태평양고기압이 발달하였을 때 밤에 복사냉각의 효과가 감소하여 나타는데, 특히 농촌지역보다 도시에서 도시기온의 특색으로 나타납니다.즉 도시지역에는 교외지역에 비해 사람·건물·자동차·공장이 많아 엄청난 인공열이 발생하고 열을 잘 흡수하는 아스팔트 도로는 쉽게 가열되며 건조합니다. 또 높은 빌딩과 같은 인공구조물이 많아지면 굴곡이 크고 표면적이 넓어, 많은 열을 흡수하게 됩니다.이러한 이유로 도시지역의 기온이 주변의 교외지역보다 높게 나타나는 ‘열(熱)섬현상’이 일어납니다.바로 도시의 열섬현상은 도시의 열대야를 유발하게 됩니다.우리나라에서 열대야현상은 연평균 서울 9일, 광주 17일, 대구 18일 정도로 발생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