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성심껏 답변 드릴 김경렬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성심껏 답변 드릴 김경렬 전문가입니다.

김경렬 전문가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상어의 비밀은 '로렌치니병' 갖고 있는데 이것은 먼가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상어 머리 앞쪽에 수백 개의 구멍으로 구성된 것으로 많은 구멍 때문에 로렌치니병이라는 이름으로 불리기도 합니다.이 로렌치니 기관은 다른 생물의 미세한 전류만 감지하는 것 뿐만 아니라 수온, 수압, 지구의 자기장을 감지할수 있읍니다.이 기관은 자장의 유무와 자력선의 방향을 알 수 있는 감각세포로 되어있는데 이 감각세포는 피부의 구멍들과 연결되어 신경세포로 자장을 감지하여 뇌에 신호를 보내게 됩니다.모든 살아있는 생물은 미세한 자장을 만들어 내는데, 그래서 상어는 눈과 코에 의존하지 않고도 먹이를 잡을수 있습니다. 그래서 상어는 어두운 바다나 모래속에 숨은 먹이를 찾아낼 수 있습니다.
물리
물리 이미지
Q.  부메랑은 던지면 돌아오게 되는데 어떻게 그렇게 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부메랑의 날개는 비행기의 날개와 같이 윗면이 약간 둥글고 아랫면이 편평하게 만들어져 있읍니다. 부메랑을 던지면 둥근 윗면이 반대편보다 공기의 흐름이 빨라 압력의 차이에 의하여 날개의 위쪽으로 향하는 양력이 나타납니다.수직으로 던져진 부메랑은 회전하는 동안 두 날개에 작용하는 양력의 크기는 서로 다르게 나타납니다. 이것은 날개의 회전방향과 부메랑의 전진방향이 같은 위쪽이 아래쪽보다 공기저항을 더 많이 받기 때문입니다. 상하로 발생하는 양력차는 부메랑을 떨어뜨리려 하지만 부메랑이 회전하고 있기 때문에 실제로는 진행방향을 바꾸는 힘이 작용하게 됩니다.이것을 세차운동이라 합니다.세차운동이라고 손을 놓고 자전거를 탈 때 몸을 왼쪽으로 기울이면 핸들이 왼쪽으로 돌아가는 현상으로 쉽게 이해 할 수 있읍니다.부메랑은 세차 운동의 효과로 인해 연속적으로 진행 방향이 변화하여 큰 원을 그리며 던진 지점으로 돌아오게 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색맹이 있으면 실 생할에서 많은 불편함을 느낍니다.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유전적인 원인이 주 이고 시신경이나 망막손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시력장애인 색각이상증으로도 색맹은 발생할수 있습니다.안타깝게도 아직까지 치료법은 없다고 보여지고 있습니다.다만 콘택트렌즈나 보정 안경 등으로 색의 선명함을 높이거나 색상 구분을 돕기도 하여 보완 하는 정도 입니다.색맹 예방법은 아직 정확히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일부 연구들은 일반적으로 건강한 식습관과 라이프스타일을 유지하면 색맹 예방에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항생제는 최초 어떻게 개발되었나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최초의 항생제는영국의 세균학자 플레밍(Alexander Fleming, 1881-1955)에 의해서 만들어진 페니실린이라 할 수 있습니다 플레밍은 아주 우연히 포도상구균을 배양하다배양접시에 곰팡이가 자라면서 포도상구균이 자라지 못한 것을 발견했어요그는 곰팡이가 생산해낸 물질이 포도상구균의 증식을 억제했다는 것을 알아내고 그 곰팡이의 이름 (페니실리움속의 곰팡이)을 따서 페니실린이라 이름을 붙였습니다이 페니실린약물로 인해서 2차 세계대전때많은 사람들이 세균질환으로부터 목숨을 구했읍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성간 물질은 무엇으로 이루워져있나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성간물질(성간기체99%+성간티끌1%)는 성간기체(수소90%+헬륨9.9%)와성간티끌(주로 규산물질 표면에 얼음)로 이루어 졌읍니다.
34134234334434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