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라면을 끓일때 스프와 후레이크를 먼저 넣으면 끓는점이 상승하여 더 맛있어 진다고하는데 무슨 원리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면은 끓는 물에서 익혀지게 되는데,모든 물질의 끓는 온도,즉 끓는 점은 물질에 따라 고유합니다.우리가 라면을 끓이는 순수한 물의 경우, 외부 압력이 1기압 일 때 100℃에서 끓어 기화합니다.하지만 끓는 점은 여러 요소에 따라 변하기도 하는데요.예를 들어, 기압이 1기압 이하일 경우 물의 끓는 점은 100℃보다 낮아지게 됩니다.끓는 점은 열에너지를 받은 물질이 기화하면서 발생하는 압력이 주변의 대기압을 넘어서는 순간과 직결되기 때문입니다.고산지대에서 밥을 지으면 밥이 설익는 것도 이 때문입니다.고산지대는 주변 기압이 낮아, 물이 빨리 끓기 때문이죠.그리고 끓는 점이 높아지는 경우도 있는데요.같은 대기압에서 불순물이 용해되어 있을 경우 물의 끓는 점이 상승하게 됩니다.따라서 물에 다른 물질이 많이 녹아 있을수록 더 높은 온도에서 끓고,이때 면을 넣으면 빨리 익게 됩니다.그러므로 스프를 먼저 넣으면 녹은 양에 비례해 끓는 점을 올릴 수 있고,이때 면을 넣으면 불기 전에 조금이라도 먼저 익힐 수 있어 맛있게 요리할 수 있다는 얘기가 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극 지방처럼 얼음이 꽁꽁 얼어있는 지역에서도 물고기들이 살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북극과 남극에 사는 물고기들은 피 속에 이 특수한 물질을 가지고 있답니다.또한 얼음 속에 사는 식물성 플랑크톤, 돌말, 균류와 같은 미생물은 영하 50도의 환경에서도 얼어 죽지 않게 하는 특수한 물질을 분비하고 있는데요, 이 특수한 물질을 ‘결빙방지 물질’이라고 부른답니다. 결빙방지 물질은 단백질, 지방산, 탄수화물 등 다양한 물질로 이루어져 있어 생존 할수가 있읍니다.
Q. 활성산소가 구체적으로 어떤 건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활성산소는 우리 몸의 세포 성장을 돕기도 하지만 지나치게 많으면 세포를 구성하는 단백질, 세포막, DNA 등을 공격해 변형시켜 노화와 질병을 유발합니다.활성산소는 세포신호와 항상성에 역할을 하지만 활성산소의 농도가 높아지면 세포의 구조를 손상시킬 수 있습니다. 활성산소는 강한 산화력(산화제, 자신은 환원, 남은 산화시킴)을 가진 산소로써 생체 조직을 공격하고 손상을 유발합니다(상황에 따라 환원제로도 작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