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
김기태 전문가
보성고등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역사
2024년 2월 18일 작성 됨
Q.
단군 왕검의 초상화는 누가 언제 만든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단군왕검의 초상화는 1978년 홍수호 화가가 그린 것으로 붉은 옷을 입은 단군의 표준영정으로 서울 단군성전에 보관중입니다. 이후 2019년에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단군 초상화가 발견되었습니다. 조선 후기인 1883년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데 2019년 수운회관 대전시실에서 열린 단군문화포럼주최 독립운동의 상징 단군영정전시회에서 공개되었습니다.
역사
2024년 2월 18일 작성 됨
Q.
왕오천축국전을 저술한 신라 승려 혜초에 대한 기록이 남아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신라의 고승으로 787년에 중국 오대산 건원보리사에서 입적하였습니다. 그의 인도 여행기인 《왕오천축국전》이 1908년 발견되어 동서교섭사 연구에 귀중한 사료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역사
2024년 2월 18일 작성 됨
Q.
신라나 가야에는 수레가 많이 사용되었나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신라와 가야의 고분에서 주로 출토되고 있는 수레모양의 토기들이 많이 있습니다.
역사
2024년 2월 18일 작성 됨
Q.
과거 미국에서 LA폭동은 왜 발생되었나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LA폭동은 흑인 로드니 킹을 백인 경찰들이 집단 구타한 사건이 도화선이었지만 폭동이 발생하자 흑인 시위대가 한인타운으로 몰려가 약탈과 방화를 일삼으면서 한인 사회에 막대한 피해를 입힌 사건입니다.
역사
2024년 2월 18일 작성 됨
Q.
고려나 조선시대 신하가 올리는 상소문은 어느 정도 효과가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신하가 임금에게 글로써 자신의 뜻을 전하는 제도입니다. 관료들 뿐만 아니라 서울과 지방 유생들이 상소를 올리기도 하였는데 성균관 유생들의 유소나 지역 유생들이 올리는 만인소 자신의 목숨을 걸고 상소를 올리는 지부상소 등이 유명합니다. 상소문을 다 받아들인 것은 아니었으나 여론을 형성하는데 상당한 효과를 발휘한 상소문도 많았습니다.
역사
2024년 2월 18일 작성 됨
Q.
염전은 언제부터 생겨 났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말 그대로 소금이 나오는 밭입니다. 갯벌에 칸막이를 만들고 바닷물을 들이고 농축하는 과정을 여러 차례 거쳐서 소금을 채취하는 것입니다. 우리나라는 소금광산이 거의 없어서 암염이 나지 않으며 옛 기록인 삼국지 위지 동이전에서도 고구려가 소금을 해안지에서 운반해 왔다는 기록을 볼 때 고대부터 이미 해안가에 염전을 통해 소금을 얻은 것으로 추정합니다.
역사
2024년 2월 18일 작성 됨
Q.
남아공은 수도가 3로 나눈 이유가 뭘까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남아프라카 공화국은 3개의 수도를 가지고 있는데 행정수도는 프리토리아 입법수도는 케이프타운 사법수도는 블룸폰테인입니다.
역사
2024년 2월 18일 작성 됨
Q.
지증왕이 즉위하게된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신라 21대 소지마립간의 6촌 동생이라는 《삼국사기》의 기록에 따르면 지증왕의 아버지인 습보갈문왕은 눌지마립간의 동생 가운데 누군가의 아들이 됩니다. 하지만 《삼국유사》왕력 편에는 지증왕의 아버지가 눌지마립간의 동생인 기보갈문왕이며 어머니는 눌지마립간의 딸인 오생부인이라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역사
2024년 2월 18일 작성 됨
Q.
백제는 왜 망하게 되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나당연합군의 양면작전으로 고립된 상태였기 때문에 백제는 멸망의 길로 들어서게 되었습니다. 나제동맹으로 한강유역을 차지했지만 국력 손실로 방심한 틈을 타 신라 진흥왕의 배신으로 한강 유역을 빼앗기고 고구려의 공격으로 군사력이 위축된 상황에서 나당연합군의 협공을 견딜 수 없었던 것입니다.
역사
2024년 2월 18일 작성 됨
Q.
김유신가문이 몰락했다가 다시 복권될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신라 혜공왕 대인 770년에 일어난 김융의 모반 사건 이후 김유신 후손 가문은 큰 타격을 받았습니다. 간신히 779년에 김융은 억울하게 죽었다고 인정되어 복권되긴 했으나 9년간 역적 취급을 받은 셈으로 김장청을 비롯한 가야계 후손들은 몰락의 길을 걷게되었습니다. 이런 연유로 그들의 선조인 김유신 장군의 업적을 의도적으로 더욱 더 찬양하는 쪽으로 서술한 측면이 있습니다.
151
152
153
154
15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