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
김기태 전문가
보성고등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역사
2024년 1월 21일 작성 됨
Q.
서울은 어떻게 대한민국의 수도가 되었나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은 고려의 수도였던 개경에 기득권 세력들이 자리잡고 있었기 때문에 천도를 단행하였고 배산임수의 천혜의 환경을 지니고 있는 한양을 수도로 정하게 됩니다. 이후 일제강점기에는 경성으로 불리다가 해방 후에는 서울로 불리게 되었습니다.
역사
2024년 1월 21일 작성 됨
Q.
제주도에는 왜 말(동물)이 많나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말들이 자랄 수 있는 환경이 잘 조성되어 있으며 특히 몽골 기마민족의 침입으로 몽골 말들도 역시 제주도에서 많이 길러지게 되면서 제주도가 말의 본고장이 되었습니다.
역사
2024년 1월 21일 작성 됨
Q.
이순신 장군은 해외에서도 인정받는 명장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이순신 장군의 학익진 등의 전술과 12척으로 300척을 상대해서 승리한 비결 등 해전사에서 전무후무와 승리를 거둔 이순신 장군을 영국의 넬슨 제독에 버금 가는 인물로 보고 있습니다.
역사
2024년 1월 21일 작성 됨
Q.
이순신 장군이 죽지 않았었다는 음모론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그야말로 음모론입니다. 모든 역사적 사료들이 정유재란으로 퇴각하기 위해 순천 사천 울산 등으로 모여든 왜군들을 공격하여 특히 순천 왜성을 공격하여 고니시 유기나와 부대를 고립시키고 이를 구하기 위해 사천 고성에 있던 왜군 시마스부대를 위시한 300여척을 맞아서 200여척을 침몰시키고 150여척을 나포했으며 150여척은 도망가기 급급한 상황에서 뒤를 쫓아가면서 병사들의 사기 진작을 위해 북을 치다가 적의 총탄에 맞아 쓰러졌다는 것이 일반론입니다.
역사
2024년 1월 21일 작성 됨
Q.
루이 16세 이후 프랑스를 이끌었던 사람은 누구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전제군주에 대한 불만의 폭발로 1789년 프랑스 혁명이 일어나 황제 루이 16세와 황후 마리 앙트와네트가 단두대의 이슬로 사라지고 프랑스는 10여년간 정치가 불안정한 상태에서 나폴레옹이 쿠데타로 집권하여 15년동안 유럽을 장악하지만 영국과의 전쟁에서 패하여 프랑스는 다시 전제군주로 돌아가게 됩니다. 루이 18세 샤를 10세 루이 필리프 1세에 걸쳐서 33년간 이어지다가 6월 봉기에 이어 2월 혁명으로 1848년 프랑스혁명 이후 60년만에 부르봉왕조는 끝이났습니다.
역사
2024년 1월 21일 작성 됨
Q.
미국의 초대 대통령은 누구고 어떻게 되었나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지 워싱턴은 미국 초대 대통령입니다. 미국 독립전쟁에서 군대를 지휘하는 총사령관을 맡아 전쟁을 승리로 이끌며 영국으로부터 독립을 이뤄냈습니다. 미국의 첫 대통령으로서 큰 역할을 했으며 두 번의 대통령직을 마친 뒤 스스로 물러났습니다.
역사
2024년 1월 21일 작성 됨
Q.
개신교도 교황이 존재하나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개신교에서는 기본적으로 교황권 자체를 부정합니다. 개신교에서는 베드로가 사도들의 대표 역할을 하긴 했으나 로마 교회에 직접적으로 선교 활동을 한 적이 없으며 로마 감독/주교에서 베드로가 직접적인 영향을 끼쳤다는 주장은 토미즘 이후의 교리적 정리라고 인식합니다.
역사
2024년 1월 21일 작성 됨
Q.
정조때 벽파와 시파 등으로 나뉘게 된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시파와 벽파는 조선 영조 때 장헌세자의 폐위와 사사를 둘러싸고 분열된 파당입니다. 무고를 받아 뒤주 속에서 굶어죽은 세자를 동정하는 입장이었던 시파는 남인들이었고 세자를 공격해 자신들의 무고를 합리화하려 했던 벽파는 노론이었습니다.
역사
2024년 1월 21일 작성 됨
Q.
정조는 즉위식 때 자신이 사도세자의 아들임을 천명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정조는 할아버지인 영조가 뒤주에 갇혀 죽게 한 사도세자의 아들로 폐세자된 사도세자의 아들이 왕위를 계승할 수 없었기에 어렸을 때 죽은 영조의 큰아들 효장세자의 아들로 입적하여 왕위를 계승하게 됩니다. 정조가 왕위를 계승하고 등극한 후 일성으로 짐은 사도세자의 아들이다라는 외침은 억울하게 돌아가신 부친 사도세자를 각인시키고 이에 연류된 자들을 가만두지 않겠다는 선전포고인 셈입니다.
역사
2024년 1월 21일 작성 됨
Q.
정조는 사도세자의 묘를 옮기고 다시 추숭사업을 한 이유는 무엇때문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정조는 즉위 이후 부친 사도세자를 위한 정원을 평생 동안 추진합니다. 부친의 사당인 수은묘를 경모궁으로 추숭하고 대대적인 확장과 정원 연못을 조성하고 부친의 무덤인 사도묘를 영우원으로 고쳐부르고 천하제일의 명당 수원 읍치의 화산에 천원하여 현륭원이라 하고 죽은 자를 위한 신의 정원(세자묘 왕릉)을 조성합니다. 이는 정조의 지극한 효성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211
212
213
214
21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