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
김기태 전문가
보성고등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역사
2024년 1월 18일 작성 됨
Q.
조선시대에 실시한 사민정책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평안도의 사민정책은 이미 1492년(세종 11년) 8월에 입법화되었습니다. 당시 세종은 평안도가 명나라와 접경지대인데도 민호가 적어 충청ㆍ경상ㆍ전라도 민호를 이주시켜 후환에 대비하고자 하였습니다.
역사
2024년 1월 18일 작성 됨
Q.
조선은 왜 소중화된 사상을 가지고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소중화주의는 중국의 주변 국가가 자국을 중화문화의 전통을 계승한 나라로 인식하는 관념입니다. 중화사상은 정치 문화 경제 등의 전분야에 걸쳐 중국이 세계 중심이며 이것을 최고일 뿐만아니라 유일한 문화로 인식하는 관념으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우암 송시열의 존화양이 숭명벌청 정신에 그 근거를 두고 있는 사상으로 화서 이항로를 받드는 화서학파는 명이 청에 의해 멸망된 이후 조선은 천하에서 유일하고도 당당한 소중화가 된 걸로 보았습니다.
역사
2024년 1월 17일 작성 됨
Q.
고려의 서희는 어떻게 해서 거란의 영토를 오히려 우리의 영토로 반환받았나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거란은 5세기에 발원하여 10세기에 발해를 멸망시키며 중국 북부와 만주를 아우르는 동아시아의 강대국이 되었습니다. 송나라와의 전쟁을 앞두고 배후의 적인 고려를 먼저 공격하여 안정을 꾀하고자 합니다. 소손녕의 80만 대군으로 침입해왔습니다. 이에 조정에서는 항복하자는 의견도 많았으나 고려 성종은 서희를 대화 상대자로 보내게 됩니다. 서희는 소손녕의 신하의 예를 갖추라는 말에 왕을 대신하여 왔다는 말로 대적하여 동등한 자리에서 담판을 이어갔으며 소손녕이 신라의 후대이니까 철령 이북의 땅을 내놓으라는 말에는 고구려의 후손임을 강조하면서 오히려 거란과의 교역을 막고 있는 여진의 강동 6주를 요구하여 할양받게 됩니다. 송과의 관계를 단절하고 거란과의 교역을 조건으로 얻은 결과입니다.
역사
2024년 1월 17일 작성 됨
Q.
2차 세계대전에 미국이 참전하게 된 계기가 진주만 사건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일본이 인도차이나반도에 대한 대대적인 공격을 펼치자 미국은 석유수출금지에 이어 철강수출까지 제한을 하게 됩니다. 이에 일본은 위기감을 느낀 나머지 미국 하와이 진주만을 항공모함 6척과 400여대의 항재기로 기습공격을 가하게 됩니다. 일요일 무방비상태에서 당하게 된 미군의 피해는 12척의 함선 침몰하거나 피해를 입었고 2334명의 미군과 103명의 민간인이 사망하였습니다. 진주만 공습이전 까지는 미국의 참전을 부정적으로 보던 미 국내여론은 참전으로 바뀌게 되었고 결국 선전포고를 하게 되었습니다.
역사
2024년 1월 17일 작성 됨
Q.
제갈량이 맹획을 살려준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제갈량은 자신의 지략을 이용하여 맹획을 다시 사로잡았지만 또 풀어주었습니다. 이렇게 하기를 일곱번 마침내 맹획은 제갈량에게 마음 속으로 복종하여 부하되기를 원하였습니다. 칠종칠금 오늘날 이 말은 상대방을 마음대로 요리한다는 의미로 쓰이고 있습니다.
역사
2024년 1월 17일 작성 됨
Q.
을사조약을 왜 을사늑약이라고 부르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이 조약의 명칭은 일본이 보호조약이라는 미명을 사용했으나 현재는 보호라는 단어를 삭제하고 을사조약 체결과정의 강압성을 비판하는 뜻으로 을사늑약이라고 일컫습니다. 늑약은 억지로 맺은 조약이라는 의미입니다.
역사
2024년 1월 17일 작성 됨
Q.
조선 효종 때 북벌하려고 모은 군사로 나선정벌 나간 이유는 무엇 때문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인조가 삼전도에서 청 황제가 지켜보는 가운데 삼배고구도의 굴욕을 당하고 소현세자와 세자빈 봉림대군(효종)부부 삼학사(윤집 오달제 홍익한) 등이 청나라에 볼모로 잡혀갔습니다. 10여년의 볼모를 끝내고 귀국한 소현세자는 의문의 병사로 죽고 세자빈은 인조와의 갈등으로 사사당하고 세아들은 제주도로 유배보내집니다. 인조 뒤를 이어 등극한 효종은 치욕스러운 볼모를 갚고자 군을 훈련시켜 북벌을 계획하였습니다. 도중에 청은 러시아의 남하를 막고자 조선에 도움을 청해서 효종은 두 차례의 나선정벌을 통해 군사들의 용맹함을 엿보게 됩니다. 그러나 북벌을 앞두고 효종은 죽게되고 효종 사후 북벌론은 흐지부지 되었습니다.
역사
2024년 1월 17일 작성 됨
Q.
조선 후기 실학이 태동하는 이유는 무엇 때문이었나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임진왜란과 병자호란 양난을 거치면서 백성들의 삶은 그야말로 피폐될 대로 피폐되어 삶이 황폐화 되었고 성리학과 양명학은 어떤 해결책도 제시하지 못한 탁상공론 공리공론일 뿐이었습니다. 실생활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학문이 필요했고 청나라의 고증학이 유입되면서 실학이 형성되었습니다. 중농학파인 경세치용학파 중상학파인 이용후생학파 객관적이고 실증적인 학문을 탐구하는 실사구시학파 등이 백성들의 삶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끼치게 됩니다.
철학
2024년 1월 17일 작성 됨
Q.
조선의 율곡 이이는 성리학을 어떻게 바라보는 입장이었나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성리학의 핵심은 이와 기에 있습니다. 이는 만물의 근본이고 기는 구체적 사물의 질료 형질입니다. 이와 기의 관계를 이통기국론으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사물의 모습은 각각이지만 그 근본정신은 하나라는 의미로 해석합니다. 우리나라 사람들의 모습은 제각각이지만(기국) 대한민국 국민정신은 하나(이통)라고 보는 것입니다.
음악
2024년 1월 17일 작성 됨
Q.
연기자들은 어떻게 다양한 역할에 몰입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보통 연기자들을 천의 얼굴을 가진 사람들이라고 합니다. 타고난 자질과 역량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인물분석을 통한 몰입입니다. 철저한 배역분석을 통해 그 인물로 다시 탄생하는 것이 연기자의 과제입니다.
221
222
223
224
22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