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
김기태 전문가
보성고등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역사
2024년 1월 14일 작성 됨
Q.
조선 정조는 장용영을 설치한 이유는 무엇 때문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정조가 보위에 오른 후 왕권의 강화와 친위세력의 양성을 위해 설치한 군영이 장용영입니다. 장용영은 도성의 내영과 화성의 외영으로 두 개의 군영을 가지고 있습니다.
역사
2024년 1월 14일 작성 됨
Q.
삼국시대에 고구려가 동예를 복속시킬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예 또는 동예는 기원전 82년부터 기원후 4세기까지 오늘날의 함경남도 원산부터 강원도 강릉시 경상북도 영덕군에 이르기까지 동해안에 널리 퍼져 있었던 부족사회 집단이었습니다. 그당시 강대국이었던 고구려에 의해 옥저가 멸망하였고 이후 동예 또한 고구려에 복속되었습니다.
역사
2024년 1월 14일 작성 됨
Q.
광화문 월대 복원의 의의는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광화문은 경복궁의 얼굴이자 대한민국 역사의 심장부에 위치한 상징적인 건축물입니다. 원형 복원된 광화문 현판과 함께 월대의 복원으로 광화문이 비로소 완성되었습니다. 일반적으로 월견대(달을 보는 대)에서 유래했다는 월대는 궁궐이나 건물 앞에 놓인 넓은 기단으로 일정한 높이의 단상입니다. 조선시대에는 왕과 백성의 소통 공간이기도 했습니다. 지난해 8월 월대의 어도(임금이 다니는 길)의 가장 앞부분을 장식하던 서수상(상상속 상서로운 동물상) 석조각 2점을 고 이건희 회장 유족 측으로부터 기증받아 월대의 마지막 퍼즐을 완성하였습니다.
역사
2024년 1월 14일 작성 됨
Q.
두루마리라는 말의 원래 뜻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가로로 긴 그림이나 글씨를 둥글게 말았다 펼칠 수 있게 만든 형태의 장황입니다. 통일신라시대나 고려시대에 불교의 발전에 따라 불경을 필사하여 두루마리로 장황하는 경우가 많았던 것으로 보입니다.
역사
2024년 1월 14일 작성 됨
Q.
조선시대 암행어사의 마패에 그려진 말이 뜻하는 것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마패로 부릴 수 있는 말의 수는 1-10마리까지지만 실제로는 1-3마리였습니다. 암행어사의 경우도 대부분 3마리가 그려진 3마패를 썼고 10마리가 그려진 것은 왕실에서나 사용할 수 있었습니다.
역사
2024년 1월 14일 작성 됨
Q.
우리는 왜 사진찍을 때 김치라고 말할까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사진 찍을 때는 밝게 웃는 모습이 예쁘게 나오기 때문에 김치나 치즈 그리고 브이를 많이 사용합니다. 특히 김치라고 외칠 때 보이는 이는 웃는 모습으로 드러나기 때문에 사진 찍을 때 많이 요구하는 단어입니다.
문학
2024년 1월 14일 작성 됨
Q.
인문학적 소양이 회사 자소서에서 요구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기업에서는 1+1=2와 산술적인 공시보다는 1+1=3 또는 4 심지어 10이 될 수도 있는 인문학적 소양을 필요로 하는 것입니다. 단순한 수식계산만을 통해서는 기업의 수익구조 개선이 어렵다고 보고 이윤창출의 다양성 예를들면 기업의 이미지 제고를 위한 사회봉사활동이나 환경개선 등 인문학적 소양을 바탕으로 한 여러가지 행사를 통해 또 다른 이윤을 창출할 수 있기 때문에 과학기술적 소양과 더불어 인문학적 소양을 높이 평가하는 것입니다.
역사
2024년 1월 14일 작성 됨
Q.
한국에 아라비아 숫자는 언제 처음 도입 되었나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우리가 매일 익숙하게 사용하는 숫자가 아라비아 숫자입니다. 10세기 이후 유럽인들은 이슬람문명을 받아들이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아랍인들이 사용하는 숫자 체계도 접하게 됩니다. 아랍인들에게 배웠다하여 아라비아 숫자라고 합니다. 그러나 엄밀히 말하면 아라비아인들이 사용한다고 해서 아랍인들이 만든 것은 아니고 그들도 인도인들에게 숫자 체계를 배웠기 때문에 인도-아라비아 숫자가 더 정확한 표현입니다. 굳이 일 십 백을 쓰지 않아도 십진법에 의해 표기가 가능해진 것입니다. 중국은 원나라 시기에 한국은 대한제국 시기에 보편적으로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역사
2024년 1월 14일 작성 됨
Q.
'작심삼일'이란 말은 어떻게 해서 생겨난 말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마음 먹은 지 삼일이 못간다는 뜻으로 결심이 얼마되지 않아 흐지부지 된다는 말을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원래 작심삼일은 고려공사삼일에서 유래되었습니다. 고려시대 국가정책이 수시로 바뀐 것을 빗대어 표현한 것입니다.
역사
2024년 1월 14일 작성 됨
Q.
조선시대 다모의 지위는 어느정도 였나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 관아에서 차를 끓이고 대접하는 일을 하던 관비를 지칭하는 말입니다. 조선 후기에는 각 관아의 성격에 맞게 차를 끓이는 일 이외의 일도 담당하였습니다. 그 예로 포도청에 소속되어 여성 범죄를 담당했다는 기록도 있습니다. 신분은 노비여서 낮은 신분이었습니다.
226
227
228
229
23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