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
김기태 전문가
보성고등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역사
2023년 12월 27일 작성 됨
Q.
일본에 이따다끼마스라는 말은 어떤 의미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비스트로 이따다끼마스라는 상호 속 이따다끼마스라는 일본말은 상대방에 대한 존중과 배려를 담은 말로 그 쓰임새가 매우 다양한데 일반적으로 식사시 "잘 먹겠습니다."라는 의미로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역사
2023년 12월 27일 작성 됨
Q.
일본에는 왜 성당이나 교회가 없나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일본은 우리보다 빨리 문호를 개방하여 1550년부터 기독교를 전파히기 위한 선교사들이 있었지만 1587년 토요토미 히데요시가 선교사들을 모두 추방하였고 1597년 기독교 박해가 시작되어 순교자가 많이 나왔고 1614년 도쿠가와 이예야스의 기독교 금교령을 내려 더욱 기독교 탄압이 심해지고 1629년 일본 전역에 예수상 밟기라는 신분 검색을 시작하여 예수상을 밟고 지나가면 살려주고 밟지 않으면 바로 죽음이 아니라 혹독한 고문과 형벌을 받고 서서히 고통스럽게 처형하였습니다. 1889년 자유롭게 예배할 수 있게 되기까지 약 30만명의 기독교인들이 희생당헀습니다. 그 당시 인구 대비로 본다면 200만명이 죽은 것입니다. 일본의 전통신앙인 신도와 불교도가 많이 있고 기독교에 대한 감시와 탄압으로 기독교 포교가 쉽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역사
2023년 12월 27일 작성 됨
Q.
고려시대의 갈라수 전투는 당시 어떻게 진행되었나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려의 여진 정벌 당시 벌어졌으며 퇴각하던 고려군이 사묘아리가 이끄는 여진군에게 갈라수에서 패배한 전투입니다. 고려가 동북 9성을 무력으로 유지하려던 정책을 재고하게 된 계기가 된 것으로 보입니다. 금나라의 인간 병기 사묘아리가 이름을 날린 전투로 고려의 인간 흉기 척준경이 이 전투에 참여했다는 기록이 없어서 대결여부는 알 수 없습니다.
역사
2023년 12월 27일 작성 됨
Q.
이순신 장군님은 실제로 노량대첩에서 사망하셨던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과 명 그리고 왜군과의 약속이 지켜지지 않았다는 이유로 왜군은 15만명을 이끌고 정유재란을 일으킵니다. 그러나 이번에는 조명연합군들이 여기저기서 왜구들을 무찌르고 더군다나 토요토미 히데요지까지 죽자 왜구 수뇌부들은 혼란에 빠지게 됩니다. 왜구들은 급히 서둘러 퇴각을 위해 순천 사천 울산으로 집결하였습니다. 이를 놓치지 않고 조명연합군은 왜구들의 순천왜성을 공격하여 고니시 유카나와 군을 고립시킵니다. 사천과 고성에 있던 일본 수군은 500여척을 이끌고 고니시부대를 구하기 위해 노량으로 올 것을 예측한 이순신과 명나라군은 미리 대기하고 있다가 왜선 200여척을 파괴하고 150여척을 반파시키자 나머지 150여척이 필사적으로 도주하게 됩니다. 이를 놓치지 않고 공격을 독려하기 위하여 북을 치던 이순신 장군은 옆구리에 총을 맞고 죽고맙니다. 그 유영한 내 죽음을 적에게 알리지 말라는 말과 함께 최후의 맞이한 전투가 노량해전입니다.
미술
2023년 12월 27일 작성 됨
Q.
영화 볼때 팝콘을 먹는 이유???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영화관에서 영화볼 때 팝콘을 먹는 이유는 첫째 시각적 효과때문입니다. 고소한 맛과 알록달록한 색깔 덕분에 더욱 맛있게 느껴집니다. 둘째 씹는 소리때문입니다. 바삭바삭거리는 소리 덕분에 청각과 미각을 자극한다는 것입니다. 세째 달콤한 맛입니다. 달달한 맛만큼 기분좋게 만드는 것은 없습니다. 마지막 네째 포만감입니다. 실제로 팝콘 한컵이면 200kcal나 됩니다.
역사
2023년 12월 27일 작성 됨
Q.
'피장파장'의 어원이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서로 낫고 못함이 없는 것으로 상대변과 같은 행동을 하여 서로 같은 처지나 경우가 됨을 의미합니다.
역사
2023년 12월 27일 작성 됨
Q.
컬쳐 쇼크는 어떤 변화를 말하는지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컬처쇼크 즉 문화충격은 자신이 속해 있는 문화와 전혀 다른 문화나 새로운 생활양식을 접할 때 받는 충격을 말합니다. 문화에 대한 입장은 네 가지 유형으로 동화는 자신의 문화를 버리고 상대방 문화에 완전히 흡수되는 것이고 병존은 자신의 문화를 유지하면서 다른 문화를 적응하는 것이며 분리(저항)는 자신의 문화에 천착하면서 상대방 문화를 거부하는 것입니다. 주변화도 있는데 이는 자신의 문화도 잃고 다른 문화에 대해서도 실패한 경우입니다.
역사
2023년 12월 27일 작성 됨
Q.
김옥균의 3일천하 실패이유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갑신정변은 1884년(고종 21년) 김옥균 박영효 홍영식 등 급진개화파가 개화사상을 바탕으로 조선의 자주독립과 근대화를 목표로 일으킨 정변입니다. 그러나 청군의 개입으로 3일만에 실패로 끝나게 됩니다. 하지만 이 사건 이후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적 개혁인 갑오개혁이 이루어지게 되었습니다. 가장 큰 실패원인은 백성들의 설득과 협조없이 갑작스럽게 이루어졌기 때문에 백성들의 호응을 받지 못함에 있습니다.
역사
2023년 12월 27일 작성 됨
Q.
인간사회에서 신분제도가 처음으로 생긴곳은 어디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인도의 역사와 함께 시작한 전통적 신분 차별 제도인 카스트제도가 있습니다. 약 2600년 전 부처님이 계실 때도 카스트제도는 있었으니까 인도의 역사와 더불어 생겨났다고 볼 수 있습니다. 카스트제도 아래에서는 전쟁이나 반역이 일어나지 않는 한 수직의 계층 이동은 일어나지 않습니다. 태어나면서부터 계급이 정해지고 결혼도 같은 계급끼리만 합니다. 인도가 영국으로부터 독립된 이후에도 대도시를 제외한 인도 전역에서 카스트제도의 흔적이 아주 강하게 드러나고 있습니다.
역사
2023년 12월 27일 작성 됨
Q.
세종은 즉위이후에 정통성을 보장받았나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세종은 3남이었지만 정통성 시비가 붙지 않은 왕으로 대왕 칭호까지 받은 존중받은 인물입니다. 태종은 왕위계승을 놓고 제1, 2차의 왕자의 난을 일으켰기 때문에 이미 적장자인 양녕대군을 세자로 책봉했었습니다. 그러나 이구동성으로 3남인 충녕이 적장자였으면 하는 이야기들이 여기저기서 들리기 시작합니다. 이를 듣고 그런 것인지 양녕대군은 미친척을 한 것이지는 모르지만 세자가 되고 난 후 기이한 행동을 하고 술과 여자에 빠져 생활하다가 폐위됩니다. 차남 효령대군은 스스로 중이 되어 왕위를 포기하면서 자연스럽게 충녕인 세종이 세자가 된 것입니다.
266
267
268
269
27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