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

김기태 전문가
보성고등학교
역사
역사 이미지
Q.  경제학적으로 보는 서울권역은 어느정도로 볼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경제대국이라는 이미지와 대조적으로 일본은 풍요로운 자연환경도 보유하고 있습니다. 국토의 70%를 산지와 숲이 차지하고 있어 등산과 스키 온천을 즐길 수 있는 나라입니다. 도쿄의 인구는 1257만명으로 세계 굴지의 대도시입니다. 뉴욕 런던과 함께 세계 3대 도시로 불립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영구동토층은 세계 어느지역에 있는것인지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지리적으로 영구동토가 나타나는 지대를 영구동토대라고 하고 토양단면에서 영구동토가 존재하는 층을 영구동토층이라고 합니다. 대부분의 영구동토대는 북극이나 남극 주변의 고위도 지방에서 나타나지만 낮은 위도에서도 고산툰드라의 경우 높은 고도에서 나타나기도 합니다. 2년 이상 모든 계절 동안 결빙 온도 이하로 유지되는 땅을 영구동토 또는 영구언땅이라고 합니다. 영구동토대는 지구상의 물의 0.022%를 차지하며 북반구 대륙의 24%의 면적에 나타납니다. 툰드라 지역의 기온 상승은 영구동토대의 해동을 가져옵니다. 영구동토대가 온난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는 것은 이 지역에 똑바로 서 있던 나무들이 무작위적으로 쓰러지는 것입니다. 이 현상을 술취한 숲이라고 부릅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유태인의 디아포라가 시작된 계기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유대인은 이집트에서 노예와 같은 생활을 하다가 모세에 의해 가나안 땅으로 이동하여 평화로운 삶을 살았습니다. 그러나 B.C734년-721년 이스라엘 왕국은 아시리아의 침입으로 아시리아 영토로 편입되는데 이때 많은 유대인들이 고향을 떠나 팔레스타인 밖으로 퍼져 나게 되었습니다. 디아스포라는 세계 각지에 흩어져 살면서 유대인의 규범과 생활양식을 유지한 채 살아가는 유대인을 일컫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고려시대 근친 동성애가 많았나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 기록에 의하면 신라시대로부터 고려시대에 이르기까지 왕실이나 귀족계층에서 동성이든 이성을 불문하고 근친혼이 성행했으며 조선시대에는 동성불혼과 함께 동성 근친혼을 형벌을 과하면서까지 금하였으므로 동성불혼의 법이 자리를 잡았으나 이성근친혼은 여전히 행해졌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조선시대에서는 노비가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어느정도나 되었나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원시공동체가 해체되고 초기 국가가 성립되면서 정치권력의 형성과 함께 금속제 농기구에 의한 생산력이 발달하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지배집단과 피지배집단간의 정복전쟁이 이뤄지고 반복된 정복전쟁으로 포로와 점령지 주민들은 노비로 전락하였습니다. 조선 전기에는 양반 7% 중인 20% 평민 45% 노비28%정도였다가 조선 후기에는 중인과 평민들이 공명첩 등으로 양반이 되어 70%와 노비 30%의 구성을 보였다고 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조선시대에서는 밀가루를 어떻게 공수해왔나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지금은 쑥대밭이 되었지만 우리나라도 예로부터 밀 농사를 짓는 밀 생산국이었습니다. 재배역사도 기원전 200년경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평안남도 대동군 미림리에서 발견된 밀의 연대가 그때쯤으로 추정됩니다. 남한에서도 경주 반월성지 부여의 부소산 군장터 유적에서 밀이 나왔습니다. 우리 밀 농사는 4세기를 전후해서 일본에 전해졌다고 합니다. 그러나 밀은 흔한 작물은 아니었습니다.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도 모두 귀한 대접을 받았습니다. 고려도경에는 밀은 화북지방에서 수입되며 밀가격이 너무 비싸 잔치 때 먹는다고 쓰여있습니다. 조선조에도 밀가루를 진가루라고 부르며 귀한 식재료 취급은 받았습니다. 근대 들어서면서 밀 생산량이 늘어났고 일제 강점기인 1933년에 밀 생산량은 28만 8천톤 가량으로 지금 2만톤 내외에 비하면 매우 많은 양입니다. 이렇게 밀 생산량이 많아진 이유는 밀 소비도 많았지만 일제가 식량확보 차원에서 밀 농사를 강제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해방과 6.25전쟁을 겪으면서 외국산 밀의 수입으로 밀 가격 경쟁력은 상실하여 밀 농사를 짓지 않게 되었고 더군다나 1984년 전두환 정권에서 밀 수매를 중단함으로써 밀 생산은 곤두박질 치게 됩니다. 밀의 국내 자급율은 1%에 머물러 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옛날에는 임금님이 드시기 전에 은수저로 먼저 먹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 왕들은 독살에 대한 공포가 많았기 때문에 왕이 음식을 먹기 전에 기미상궁이 왕의 수라에 있는 음식들을 미리 맛보는 풍습이 있었습니다. 음식에 독의 유무를 알아보기 위해 은수저를 사용한 것입니다. 독이 있으면 은수저의 검은색으로 변하기 때문입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세계2차 대전 종료 이후 우리나라의 재건과 발전은 어떻게 이루어졌나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945년 한국의 독립은 미국의 히로시마 나가사키에 원자폭탄 투하로 상해 임시정부의 광복군의 참전이 무산되면서 독립국의 지위를 갖지 못한 채 조국 광복이 이루어졌습니다. 모스크바 3상회의 한국민이 자치 능력을 갖출 때까지 5개년 신탁통치를 실시한다고 했을 때 전 국민은 분노하였습니다. 그러나 북한에서는 찬탁으로 돌아서면서 남북의 분열양상을 보이게 되었고 남한은 3년 동안의 군정이 끝나고 1948년 8월 15밀 대한민국이 수립되고 북한은 1948년 9월 9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수립되어 대립하게 됩니다. 남한은 지하자원도 없는 자원부족으로 전력 등을 북에 의존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그러나 1960년대 들어와 외국의 차관과 원조를 바탕으로 경공업에 중화학공업을 우선하고 과학기술의 발달로 눈부신 성장을 이룩하면서 독일 라인강의 기적에 버금가는 한강의 기적을 이루게 됩니다. 이는 자기를 희생하고 오로지 회사와ㅇ국가발전을 위해 노력한 산업화의 일꾼들이 일꿔낸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런 혜택을 고스란히 누린 대기업들은 마치 자기들의 노력으로만 성공한 거처럼 성과분배에 혈안이 되어있고 차관으로 들어온 돈을 갚아나가고 있는 국민들에게 관심이 없습니다. 사회적 재분배를 통해 사회적 약자에 대한 관심과 배려가 필요할 때이며 보다 나은 사회로 가는 길이라고 봅니다. 한국의 눈부신 성장은 걷보기에는 대기업의 성공으로 보이지만 거기에는 노동자 농민들의 저임금과 저곡가 정책에 따른 희생이 있었기에 가능했던 것임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독도 의용수비대란 어떤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독도의용수비대는 1953년부터 약 3년 8개월 동안 독도에 무단침입한 일본에 맞선 독도를 지킨 순수 민간 조직입니다. 독도의용수비대가 결성되기 직전인 1950년대 초반 한반도에서는 한국전쟁이 벌어지면서 국가 전체가 전쟁에 휩싸였습니다. 1953년 4월 20일 독도에 상륙하여 1956년 12월 30일 국립경찰에 수비업무와 장비전부를 인계할 때까지 33명의 수비대원이 활동했으며 1954년 9월에는 9명의 대원들이 울릉도 경찰서 경찰관으로 특채되기도 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우리가 지금 자연스럽게 사용하고 있는 컴퓨터를 최초로 발명한 사람은 누구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인간에게 알려진 모든 계산 기기는 계산 속도의 차이만 있을 뿐 모두 튜링기계와 같거나 약한 계산 능력을 갖습니다. 1937년 벨연구소에서 일하고 있던 미국의 수학자이자 물리학자인 조지 스티비츠는 이진법을 사용하는 최초의 전자식 디지털 계산기를 개발합니다. 1941년에는 독일의 공학자 콘라드 추제는 천공카드로 프로그래밍 할 수 있는 최초의 전자/기계식 컴퓨터인 Z3를 개발하였으나 2년의 연합군의 폭격으로 사라졌습니다. 1946년 에니악(ENIAC)은 오랫동안 최초의 프로그래밍 가능한 범용컴퓨터였으나 주로 군사적 목적으로 사용되었습니다. 1945년 미국의 컴퓨터 과학자 존 폰 노이만은 프로그램을 기억장치에 내장하는 방식의 컴퓨터를 개발합니다. EDVAC이 설계되었으나 특허권이 늦어져 1949년 EDVAC의 설계를 발전시킨 EDSAC이 최초로 프로그램 방식과 이진법을 채택한 디지털 컴퓨터가 되었습니다. 1970년대 말부터 개인용 컴퓨터(PC)가 보편화되기 시작하였고 1990년이후로 18개월에서 24개월을 주기로 두 배씩 향상되는 폭발적인 발전이 있었습니다.
38138238338438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