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
김기태 전문가
보성고등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역사
2023년 11월 2일 작성 됨
Q.
땅이 원형으로 꺼지는 싱크홀은 어떤 원인으로 발생하는가?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싱크홀은 퇴적암이 많은 지역에서 깊고 커다랗게 생깁니다. 빈 지하공간이 쉽게 만들어지기 때문익니다. 하지만 우리나라 국토 대부분은 단단한 화강암층과 편마암층으로 이루어져 있어 땅 속에 빈 공간이 잘 생기지 않습니다. 우리나라 싱크홀이 그나마 안전한 이유입니다.
역사
2023년 11월 2일 작성 됨
Q.
우리나라에 김치에 대한 역사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원래 고추가 전해지기 전에는 백김치를 담아서 먹었다고 합니다. 중국의 역사서인 삼국지 위지 동이전에는 고구려인이 발효 저장 음식을 잘 만들어만먹었다는 기록이 있고 고려 때 집필된 삼국사기에는 신라 신문왕이 김흠운의 딸을 신부로 맞으면서 보낸 납채 물 술 장 메주 젓갈 등의 발효 식품이 포함되어 있었다고 전해집니다. 고려시대 이규보의 동국이상국집에는 무를 장에 넣으면 한여름에 좋고 소금에 절이면 한겨울을 버틴다라는 기록이 있어 당시에 김치 종류와 김치 문화를 알 수 있습니다. 우리가 먹는 형태의 김치의 완성은 조선 시대입니다. 다른 나라 김치와 다른 점은 첫째 채소절임에 동물성 발효 식품인 젓갈이 들어간다는 것입니다. 둘째는 신대륙에서 발견된 고추가 조선 후기에 유입된 이후 색과 맛에 혁명적 변화를 가져오게 됩니다. 셋째 오늘날 김치의 대명사로 불리는 통배추김치 제조법이 완성되었습니다. 이제는 보다 다양하고 새로운 김치들이 만들어져 맛과 흥을 복돋우고 있습니다.
역사
2023년 11월 2일 작성 됨
Q.
조선시대 전통 혼례에서 목각 기러기는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기러기는 시베리아 알래스카 사할린 등지에서 서식하다 봄이 되면 우리나라로 날아오는 철새입니다. 기러기 행렬은 V자 형태로 날게 되는데 이는 혼자 나는 것보다 훨씬 멀리 날 수 있는 구조라고 합니다. 이를 본떠 만든 진법이 안행진입니다. 왜 혼인식에 기러기를 사용할까 이유는 음양의 조화 겨울에는 남쪽으로 날고 봄에는 북쪽으로 나는 겨울철새여서 음양에 순응한다고 보았습니다. 양은 남자 음은 여자로 보기에 음양의 합인 혼인식 때 기러기를 사용한 것입니다. 기러기는 한번 짝을 이루면 헤어지지 않는 생태적 습성을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한번 교미해서 짝을 이루면 죽을 때까지 변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이런 이유로 혼인식 때 기러기가 활용되는 것입니다.
역사
2023년 11월 2일 작성 됨
Q.
조선시대 광해군의 잘못은 무엇인가요?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광해군은 임진왜란 때 아버지인 선조가 의주로 피난길을 떠나면서 조정을 둘로 나누는 분조를 맡아 황해도 강원도 평안도를 돌아다니며 병사들을 독려하고 백성들을 안정시키는 역할을 잘 해왔으며 난이 끝나자 삼남지방을 돌며 병력을 증강하고 백성들을 안정시켰습니다. 그러나 선조는 임진왜란 때 세자로 책봉했던 광해군보다 영창대군을 세자로 삼고 싶어했습니다. 그러나 대북파들의 반대로 뜻을 못이루고자 죽게 됩니다. 광해군은 대동법을 실시하고 명나라와 후금(청) 사이의 중립외교 등 공적도 있으나 영창대군을 유배보내 사사하고 인목대비를 폐서인하여 궁에 가둔 것에 대해 인조반정으로 폐위되어 강화도로 유배되었다가 제주도로 유배를 가게됩니다.
역사
2023년 11월 2일 작성 됨
Q.
세조의 꿈에 나타나 저주를 했다는 현덕왕후 이야기가 정사에는 어떻게 기록되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세조는 조카인 단종을 폐위시키고 횡보인 김종서 등 수십명을 죽이는 등 계유정난으로 왕위에 오른 후 악몽을 꾸게 되는데 단종의 어머니인 현덕왕후가 꿈속에 나타나 니가 우리 아들을 죽였으니 나도 니 아들을 죽이겠다고 했고 실제로 세조의 장남인 의경세자가 죽었습니다. 이에 분노한 세조는 현덕왕후의 묘를 파헤치고 관을 바닷가에 버렸습니다. 그녀의 신주도 종묘에서 쫓겨나 60여년 동안 제사를 지내지 않았습니다. 단종이 폐위되어 사사된 것도 안타까운 일인데 그의 어머니인 현덕왕후의 능이 파헤쳐지고 관을 바닷가에 던져버린 것에 대해 동정과 연민이 더해져 다양한 이야기들이 전해지고 있으며 이자의 음애일기 등 여러 야사에 전해져 내려오고 있습니다.
역사
2023년 11월 2일 작성 됨
Q.
중국 삼국지 후한시대 유비가 통일을 했다면 역사가 어떻게 흘러갔을까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유비는 한나라 적통으로 촉나라가 통일을 이룩하더라도 크게 다르지 않았으리라는 견해에 공감합니다. 황제와 제후에 의해 다스리는 구조가 변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한편으로 보면 성군이 다스리면 천하가 태평하고 백성들이 안정된 삶을 영위할 수 있지만 폭군의 통치는 백성들이 불안하고 삶이 불안정하기 때문에 약간의 차이는 있었을 것으로 보입니다.
역사
2023년 11월 2일 작성 됨
Q.
청나라에서 백련교는 어디지역을 중심으로 퍼지고 인구의 얼마까지 해당종교를 따르나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백련교는 불교와 도교가 혼합된 중국의 밀교입니다. 구세주 명왕 즉 미륵의 도래를 기다립니다. 이후 종교가 발전하면서 무생노모라는 여신을 숭배하게 되었습니다. 백련교의 종교적 배경은 402년 려산 동림사의 정토종 승려 혜원이 백련사를 만든 것으로까지 거슬러 올라갑니다. 이후 북송 시대에 남중국 곳곳에 지부들이 퍼져나갔습니다. 백련교는 중국 역사에서 두번 큰 역할을 하는데 첫번째는 14세기 원나라가 망하고 명나라가 세워질 때 이른바 홍건적의 난의 사상적 기반이 되었고 두 번째는 18세기 말 청나라에서 일어난 무장반란인데 이 때도 이민족인 만주족의 지배에 대항하여 한족을 중심으로 저항하는 세력으로 청나라 쇠퇴에 큰 영향을 끼쳤습니다. 1796년부터 1805년까지 10년간 이어진 난으로 호북 사천 삼서성 등 3성을 중심으로 빈농과 반부랑아적 노동자들이 중심으로 일어난 백련교도의 난으로 인하여 청나라를 붕괴시킨 원인 중 하나로 작용하였습니다.
역사
2023년 11월 2일 작성 됨
Q.
이슬람에서 '하지'의 의미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이슬람의 다섯 기둥은 샤하다(신앙고백) 살라트(기도) 하지(순례) 소움(금식) 자카트(자선 헌금)입니다. 하지는 이슬람 예언자 아브라함이 신의 뜻에 따라 아들을 제물로 받친 것을 기리는 이슬람 축제입니다. 성지 순례를 다녀온 자들을 축하해주는 행사이기도 합니다.
역사
2023년 11월 2일 작성 됨
Q.
조선의 총 왕조는 몇대까지 이어진건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은 태조 이성계가 1392년 왕위에 오른 뒤 27대 순종까지 513년 동안 유지되었습니다. 조선 왕은 25대 철종까지이며 26대 고종과 27대 순종은 대한제국으로 황제로 칭하였습니다.
역사
2023년 11월 2일 작성 됨
Q.
청계천의 역사와 변천 과정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지금으로부터 약 1천년 전인 1096년 고려시대에는 남경(서울)천도를 시도했으나 못했고 1394년인 조선시대에 한양 천도가 이뤄졌습니다. 북한산 인왕산 남산으로 둘러싸여 있고 남쪽으로는 한강이 흐르며 서울 한복판을 가로지르는 청계천이 있었습니다. 제대로 된 치수시설이 없던 시기에는 장마철에 범람하여 행랑과 민가에 피해입히기가 일쑤였습니다. 1406년 조선 태종은 청계천 정비를 시작하여 바닥을 끍어내고 양쪽 기슭에 둑을 쌓았습니다. 1412년 5만 2800여명의 인부를 동원하여 정비했고 이때 만들어진 다리가 광통교와 혜정교 같은 돌다리였습니다. 조선시대 풍수지리에 입각하여 청계천을 명당수로 유지하고자 했으며 하수도로써의 역할도 담당해왔습니다. 청계천은 서울 종로구와 중구를 거쳐 왕십리까지 이어집니다. 물길의 흐름은 서에서 동으로 흐르다 한강을 만나 다시 서로 흐릅니다. 10.84km에 달하며 수백년 간 도심하천의 역할을 하다 복개공사로 자동차가 다니는 길이었다가 이어진 복원공사로 물이 흐르는 길이 되었습니다. 수없이 복원과 개발의 연속이었습니다. 1960년에 복에하였고 47년 만인 2007년에 복원하였습니다.
401
402
403
404
40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