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
김기태 전문가
보성고등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역사
2023년 10월 23일 작성 됨
Q.
사마의 가문의 팔왕의 난은 어떤건지?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팔왕의 난은 291년부터 306년까지 이어진 중국 서진의 내란으로 서진 멸망의 원인이 되었습니다. 서진 황실 내부의 권력다툼으로 일어났으며 팔왕의 난이라고 이름 붙여진 것은 내란을 주동한 황실 제후 왕이 여덟명인데에 있습니다. 팔왕의 난이 초래한 혼란으로 서진의 통치기반은 급격히 약화되었고 영가의 난으로 수도인 낙양이 이민족에게 함락되면서 서진은 멸망하게 됩니다. 이후 살아남은 사마예가 강남에서 피신하여 나라를 다시 일으켰지만 과거 서진의 영토를 수복하지 못했으며 화북지방은 흉노 등이 정복하였습니다. 팔왕은 여남왕 사마랑 초왕 사마위 조왕 사마륜 제왕 사마견 장사왕 사마애 성도왕 사마영 하간왕 사마옹 동해왕 사마월 등입니다.
역사
2023년 10월 23일 작성 됨
Q.
누르하치와 그아들의 성격과 특징은 어땟나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누르하치는 넖은 중원대륙을 차지한 가장 강한 청나라의 기틀을 마련한 인물입니다. 명나라 시절 여진족은 건주여진 해주여진 야인여진으로 나뉩니다. 건주여진은 지금의 길림성 지역에 살면서 명나라와 교역을 하면서 문화수준도 높았고 유목생활을 버리고 농경생활을 하면서 정착생활을 하였습니다. 해주여진은 헤이룽장성 야인여진은 송화강 북쪽에 살면서 수렵 채집활동으로 야만생활을 했습니다. 누르하치는 건주여진에 속했고 그의 할아버지와 아버지는 명나라에 복속되어 있었습니다. 명나라는 완안아골타가 부족을 통합해 금나라를 세운 적이 있었기 때문에 여진의 통합을 막고 분열정책을 사용했습니다. 당시 요동왕으로 불리는 명나라 장수 이성량(이여송의 부)가 여진족을 토벌하는데 앞장섰는데 누르하치의 할아버지와 아버지는 그의 휘하에 들어가서 부족의 명맥을 이어가고 있었습니다. 누르하치는 여진어로 맷돼지 가죽이라는 의미로 가죽처럼 질기고 강하게 살라는 의미로 할아버지가 작명했다고 합니다. 그런데 명의 이성량이 여진족을 토벌하는데 착각하여 누르하치의 할아버지와 아버지를 죽이게 되었고 이를 7가지의 한 중 가장 큰 한으로 보고 힘을 키워 복수를 하고 명나라를 물리치고 명나라보다 두배의 크기의 땅을 차지하게 됩니다. 이는 누르하치가 건주여진 출신으로 명나라와의 교역을 통해 문화를 습득하고 교육을 받았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습니다. 누르하치가 전장을 누비며 영토를 확장하고 난 뒤 68세의 나이로 죽고 그의 여덟번째 아들인 황태극(홍타이지)이 다음으로 황제에 오르고 다른 형제들과 함께 공동 통치를 하여 후금을 안정시켰습니다. 강희제 옹정제 건륭제 등 청나라를 위대한 제국으로 만든 황제들이 있었기에 가능했던 것입니다.
역사
2023년 10월 23일 작성 됨
Q.
우리나라 사람들은 언제부터 쌀을 주식으로 먹었나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조선의 팔조법에 사람을 다치게 한 자는 곡식으로 배상하고 갚지 못하면 노비로 삼는 법 규정이 있는 것으로 보아 고조선 시대부터 주식으로 삼았을 것으로 보입니다. 수렵 어로 등에서 정착생활을 하면서 농업이 발달했다는 것이 인류 문명사에 기록되어 있는 바에 근거해보면 고조선시대 이전부터 쌀을 먹었다는 것도 유추해 볼 수 있습니다.
역사
2023년 10월 23일 작성 됨
Q.
한반도 최초의 통일 국가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한반도를 통일한 최초의 국가는 신라입니다. 그러나 신라는 당나라를 끌어들임으로써 반쪽짜리 통일이 되었습니다. 고구려 유장 대조영이 고구려 유민들과 말갈족을 모두 아울러서 발해를 건국하여 남북국시대를 만들었기 때문입니다. 이런 것으로 보면 한반도를 완벽하게 통일한 국가는 왕건의 고려라고 볼 수 있습니다. 고려시대는 외적의 침략이 잦아 백성들이 고난의 삶을 영위해야 했지만 단일 민족국가를 형성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역사
2023년 10월 23일 작성 됨
Q.
괸동대학살이 왜 일어났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923년 일본 간토지방에 대지진이 발생하여 사회가 어수선하자 일본 관헌들과 민간인들이 한국인과 일본 사회주의자들을 학살한 사건입니다. 이 사건은 1920년대 코민테른의 활동이 동아시아에 미쳐 한국 중국의 민족해방운동이 전개되고 안으로는 공황으로 노동운동 농민운동 부락해방운동이 사회 저변을 뒤흔들게 됩니다. 이때 대지진이 발생하자 조선인들이 폭동을 일으켰다고 헛소문을 퍼뜨려 일본 우익 보수주의자들을 자극하여 발생한 학살사건입니다.
역사
2023년 10월 23일 작성 됨
Q.
인문학 용어 중에 "유토피아"란 용어가 있는데요, 이 용어의 기원과 정의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516년 토마스 모어의 저서 유토피아에서 유래한 것으로 U(no)+topia(place)의미로 no place만큼이나 good place를 의미합니다. 즉 이 세사에는 없을 정도로 좋은 곳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6시간 일하고 10시간 정신적 오락을 하며 8시간 잠자는 사회 경제적으로 풍요롭고 생산과 소비가 자유로우며 집도 10년마다 제비를 뽑아서 살게 되는 사회입니다.
역사
2023년 10월 23일 작성 됨
Q.
히잡은 어떤의미가 있는건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히잡은 남을 만족시키는 것이아니라 자신을 충족시키는 행위이며 남의 시선으로 의식을 분산시키는 것이 아니라 나 자신에게 집중하게 되는 것입니다. 히잡을 쓰면 자신이 무슬림 여성임을 자각하게 되고 무슬림 정체성을 드러냄으로써 보다 반듯하고 경건하게 살겠다는 다짐을 하게 된다고 합니다. 히잡을 쓰게 된 이유는 과거 여러 시대를 거쳐 무슬림 여성들의 권리가 제한되어 왔었고 여성을 매매하는 일이 흔했던 당시에는 여성들의 정조에 대한 가치가 높았습니다. 이런 이유로 히잡을 통해 여성들의 정조를 상징하면서 히잡을 착용하게 되었습니다.
역사
2023년 10월 23일 작성 됨
Q.
이란은 어느시기부터 수니파에서 시아파로 변모하게 된건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수니파와 시아파는 예언자 무함아드의 후계자 선정 문제를 두고 회당에서 선출할 수 있다는 수니파와 무함마드의 혈육인 시아트 알라를 칼리프로 승계해야 한다는 시아파로 나뉘어져 극심한 대립을 하였고 수니파 공격을 피해 시아파는 숨게 되었습니다. 지금 현재 수니파는 사우디아라비아가 종주국으로 19억 무슬림 중 85%를 차지하며 이집트 튀르키예 UAE 등입니다. 반면에 시아파는 15%정도이며 이란 이라크 아제르바이잔 등입니다.
역사
2023년 10월 23일 작성 됨
Q.
우리나라와 중동의 역사적 관계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970년대 산유국인 중동에 건설 붐이 일면서 우리나라 노동자들이 오일머니를 벌기 위해 열사의 나라인 중동으로 파견되어 한국인의 근면성실함으로 중동의 건물들과 공장 등을 지으며 우리 경제발전에 큰 도움이 되었던 적이 있었습니다. 우리나라의 기술력과 노동자들의 열정을 보여준 대표적 사례로 손꼽힙니다. 사우디아라비아 등 중동국가와의 윈윈이 이뤄졌던 대표적 사례입니다. 지금 뉴스에 나오는 제2의 중동 붐은 허상입니다. 지금 한국은 그 시대의 저임금 노동자들이 아니고 대기업만 배불리는 일이기 때문입니다.
역사
2023년 10월 23일 작성 됨
Q.
세계에서 가장 인구수가 작은 나라는 어느 나라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세계에서 가장 인구수를 가진 나라는 1위 바티칸 시국으로 801명입니다. 다음으로 나우루 10824명이며 투발루가 11792루가 세 번째입니다.
426
427
428
429
43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