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
김기태 전문가
보성고등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역사
2023년 10월 13일 작성 됨
Q.
한국광복군은 언제 만들어졌고 어떤 활동을 하였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 의병이 독립군이 되고 독립군이 군대의 형태를 갖춘 것이 광복군입니다. 1939년 1월 창립된 한국 독립당 당군과 기타 독립군 및 지청천 이범석 등이 이끌고 온 만주 독립군과 연합하여 1940년 9월 17일 성립전례식을 갖고 결성되었습니다. 중화민국 충칭에서 조직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준군사조직으로 한국 광복군 줄여서 광복군이라고도 부릅니다. 광복군을 실질적으로 통솔한 사람은 지청천과 그의 참모장인 이범석이었습니다.
역사
2023년 10월 13일 작성 됨
Q.
미국이 아프카니스탄을 포기한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미국의 테러와의 전쟁의 일환으로 시작된 미국-아프가니스탄 전쟁은 초강대국인 미국이 20여년 간 천문학적인 전쟁 비용을 치러가면서 오랜 전쟁을 했음에도 탈레반을 없애는데 끝내 실패함으로써 끝내 보이지 않는 수렁에 빠지고 있음을 자행하면서 바이든 정부는 2021년 8월 15일 철군을 결정합니다. 미국은 아프기리스탄 이슬람공화국을 무시한 채 홀로 탈레반과 협상을 통해 미국에 적대하지 말것과 테러집단을 지원하지 말 것 아프가니스탄 밖으로 세력확장하지 말 것 등을 내세우고 철군하기로 합니다. 결국 미국이 떠난 아프가니스탄은 탈레반에 의해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이 패퇴하면서 탈레반이 장악하게 됩니다. 이로써 9.11테러 복수로 시작된 아프가니스탄 전쟁은 미군포함 다국적군 사망자와 행불자 3600명 부상자 27000명을 내고 베트남전처럼 미국의 패배로 끝났습니다. 미국은 이 전쟁으로 수조달러(약 2조달러로 추산)를 썼으나 소기의 성과를 내지 못했습니다. 이는 러시아 공격을 받은 우크라이나가 똘똘 뭉쳐 서방세계의 지원하에 버티고 있는 것과는 차원이 다른 것으로 아프가니스탄 이슬람공화국은 미국 철수 후 제대로 대응을 못한채 모든 것을 탈레반에게 내 준것과 아주 비교가 되는 것입니다.
역사
2023년 10월 13일 작성 됨
Q.
역사를보니 중국은한국가였는데 대만이랑 나눠진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중국은 장제스의 국민당이 주도세력이었는데 마오쩌둥이 중화인민공화국 즉 중국 공산당을 창건하여 노동자 농민을 위한 정책수립을 주장하면서 성장하였고 두 차례에 걸친 국공합작을 통한 항일무장투쟁을 전개하였습니다. 그러나 일제가 패망한 뒤 장제스의 국민당은 부정과 부패 측근의 비리 등으로 지리멸렬하게 되었고 마오쩌둥은 고난의 행군 등으로 노동자 농민의 삶 속으로 파고 들어가 신임을 얻게 됩니다. 국민들의 신망을 잃은 장제스의 국ㅇ신당은 마오쩌둥의 공산당과의 싸움에서 지고 타이페이(대만)로 도주하여 자유중국을 수립하게 되었습니다.
역사
2023년 10월 13일 작성 됨
Q.
평소궁금했던건데 대한민국이란이름탄생 역사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 26대 고종이 국호를 대한제국으로 바꾸고 연호를 광무라고 하여 황제의 지위에 오르게 됩니다. 27대 순종도 연호를 융희라고 썼습니다. 대한제국은 군주제인데 반해 대한민국은 국민이 주인이고 모든 권력이 국민으로부터 나온다는 의미로 대한제국을 대한민국으로 바꾸게 된 것입니다. 보다 더 근본적으로 보면 한은 크다 높고 넓다의 의미인 몽골어 칸에서 나왔고 대는 크다 그러면 대한은 크고 높다의 지존을 의미하고 민은 국민 국은 국가이니까 대한민국은 매우 크고 높은 국민의 국가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역사
2023년 10월 12일 작성 됨
Q.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은 왜 싸우게 된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유대인들은 디아스포라(서계 각지에 흩어져 살면서 유대인의 규범과 생활습관에 따라 생활하는 유대인)로부터 시오니즘(젖과 꿀이 흐르는 가나안으로 돌아가자는 운동)으로 예루살렘과 가자지구로 들어오면서 분쟁과 갈등이 발생하게 되었습니다. 왜냐하면 이미 그곳에는 팔레스타인들이 터전을 잡고 살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유대인들은 야금야금 영토를 확장해 들어왔고 팔레스타인들은 삶의 터전을 잃고 방랑의 길에 들어섰습니다. 그러다보니 원래 땅을 되찾고자 팔레스타인 해방기구(PLO)를 만들어 이스라엘과 네 차례의 전쟁과 수많은 국지전을 치루며 지금에 이르른 것입니다. 하마스는 군벌정당으로 팔레스타인 무장단체입니다. 포로석방을 내세우며 벌인 일이지만 또 전쟁으로 포로가 생길 것이며 또 석방을 위해 전쟁을 벌이게 되는 악순환이 계속될 킷입니다. 벌써 양측에서 2200명이 넘는 사망자와 수천명의 부상자가 발생하였고 그 숫자는 계속 늘어날 것입니다.
철학
2023년 10월 12일 작성 됨
Q.
에피쿠로스학파의 한계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헬레니즘 시대에 나타난 두 개의 학파로 스토아학파는 이성에 바탕을 둔 금욕주의윤리설을 주장하고 아파터이아(부동심)를 이상적 경지로 보았으며 만민평등사상과 세계시민주의를 주장하였습니다. 아우렐리우스 에픽테토스 제논 등이 있습니다. 반면에 에피쿠로스는 경험과 유용성을 바탕으로 한 쾌락주의윤리설을 주장하고 아타락시아(평정심)를 이상적 경지로 보았으며 제욕주의와 정신적 지속적쾌락을 추구하였습니다. 대표적 사상가는 에피쿠로스입니다. 헬레니즘 시대에는 수많은 전쟁을 치루던 시기였기에 한편으로는 개인의 안심입명을 또 한편으르는 세계시민주의를 추구한 시기였습니다.
역사
2023년 10월 12일 작성 됨
Q.
요르단강 서안 지구의 팔레스타인 구역은 어느 나라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시오니즘(젖과 꿀이 흐르는 땅 가나안으로 돌아가자는 운동)으로 세계 각지에 흩어져 살던 유대인들이 예루살렘과 가자지구로 돌아오면서 분쟁이 발생하게 되었습니다. 왜냐하면 그곳에는 오랫동안 터를 잡고 살고 있는 팔레스타인들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유대인들이 팔레스타인들의 터전을 야금야금 빼앗아 1948년 이스라엘을 건국하자 삶의 터전을 잃은 팔레스타인들이 해방기구(PLO UN으로부터 독립국 지위를 인정받음)를 통해 이스라엘과 전쟁을 네 차례나 치르고 수많은 국지전으로 양측의 피해가 많이 발생해왔습니다. 피는 피를 부르고 복수는 복수를 낳고 있는 것입니다. 이스라엘이 강력한 군사력으로 가자지구를 봉쇄하고 그 안에 팔레스타인 200만명 정도가 살고 있습니다. 이번 사태는 군벌정당인 팔레스타인 무장단체인 하마스가 벌인 일로 5000-7000개의 로켓포로 이스라엘의 아이언돔을 뚫고 육상과 해상 공중으로 침투하여 민간인 수백명을 사살하고 150여명의 군인과 일반인을 납치해서 가자지구로 데려가면서 발생했고 이스라엘 네타냐후 총리는 전쟁을 선포하고 팔레스타인 빌딩을 폭파시키고 로켓발사 원점인 레바논을 공격했습니다. 레바논의 헤즈볼라도 참전을 선언하며 로켓포 15발을 이스라엘에 발사했습니다.
역사
2023년 10월 12일 작성 됨
Q.
이슬람교의 가장큰 종파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이슬람교는 마지막 예언자 무함마드의 후계자 선정을 두고 수니파와 시아파로 나뉘게 됩니다. 수니파는 회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고 본 반면 시아파는 무함마드의 혈육인 시아크 알리를 칼리프로 승계시키고자 했습니다. 이로 인해 수니파와 시아파 간에 갈등과 반목 살해까지도 일어나고 있습니다. 결국 수니파가 승리하여 시아파는 피신하게 됩니다. 수니파는 19억명의 85%에 해당하며 사우디 아라비아가 종주국이며 이집트 튀르키예 UAE 등이고 시아파는 15%정도이며 이란이 종주국이며 이라크 아제르바이잔 등이 있습니다.
역사
2023년 10월 12일 작성 됨
Q.
이슬람의 수니파와 시아파는 뭐가 다른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이슬람교의 마지막 예언자인 무함마드의 후계자 선정문제로 갈라서게 됩니다. 수니파는 회중에서 칼리프를 선정할 수 있다고 본 반면 시아파는 무함마드의 혈육인 시아크 알라가 칼리프가 되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결과적으로 사우디아라비아가 종주국인 수니파가 승리하였습니다. 이란이 종주국인 시아파는 숨어지내게 되었습니다. 수니파는 19억명중 85%이고 시아파는 15% 정도입니다.
역사
2023년 10월 12일 작성 됨
Q.
이슬람교의 칼리프에 대해서 여러가지 궁금증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이슬람교는 무함마드(마지막 예언자)의 후계자 승계를 놓고 회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는 수니파와 칼리프는 무함마드의 혈육인 시야크 알라가 칼리프가되어야 한다는 시야파로 나뉘어 갈등과 반목이 격속됩니다. 수니파(85%)는 사우디 아라비아가 종주국이고 튀르키예 이집트 등이 있으며 시아파(15%)는 이란이 종주국으로 이라크와 아졔르바이잔 등이 있습니다. 수니파의 승리로 칼리프를 뽑고 시야파에 대한 노골적인 탄압을 자행하여 시아퍄들이 숨어들기 시작했습니다.
451
452
453
454
45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