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

김기태 전문가
보성고등학교
역사
역사 이미지
Q.  일본이 우리나라를 침략한 적은. 몇 번이나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왜구들의 노략질은 셀 수 없을 정도로 많았으며 쓰시마 섬을 본거리로 활동했기 때문에 조선 세종 때는 이종무 장군을 급파하여 쓰시마 섬을 정복하고 왜구들을 소개시켰으나 일본에 먹거리가 없었던 관계로 노략질은 그치지 않고 계속되었습니다. 큰 전쟁은 1592년부터 1597년까지 이어진 임진왜란과 1597년의 정유재란을 들 수 있고 1876년 운요호 사건을 빌미로 본격적인 전쟁을 통해 강화도 조약을 체결하여 청나라로 진격하는 교두보를 확보하게 됩니다. 노략질은 셀 수 없을 정도로 많이 이뤄졌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고려시대에 왕의 시호중에 충을 쓴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려 말에 몽고에 굴복하여 사위국으로 전락하여 원의 부마국이 되었습니다. 이는 원나라에 볼모로 잡혀갔던 태자 즉 원종이 쿠빌라이 칸에게 의견개진을 하여 자기 아들을 원의 공주와 혼인을 시킵니다. 이가 곧 충렬왕이고 충렬왕은 원나라 공주와 결혼하고 돌아올 때 변발과 호복을 입고 돌아와 백성들에게 큰 충격을 주었습니다. 충렬왕이 원나라에 탐라를 되돌려달라고 하자 원의 성종은 알았다고 했다가 신하들의 반대로 약속을 번복하고 충렬왕이 제국의 지배를 벗어났다고 판단하여 세자에게 힘을 실어주게 되는데 이가 충선왕입니다. 충선왕도 원의 계국공주와 혼인을 하게 되는데 충선왕에게는 고려 여인 조비가 있었습니다. 계국공주는 질투가 심하여 조비에게 앙심을 품었고 이런 이유로 서신을 보내자 원은 조비를 감옥에 가두고 충선왕을 폐위시킵니다. 이는 충렬왕 추종자들과 고려 개혁 세력들이 음해 공작을 한 결과입니다. 충선왕은 원나라의 권력다툼에서 무종편에 섰고 무종이 왕이되는데 공을 세워 심양왕으로 봉해집니다. 그로부터 2개월 뒤 충렬왕이 죽자 충선왕은 고려 왕으로도 봉해집니다. 심양왕이자 고려왕이 된 충선왕은 원에 있으면서 고려를 원격통치했습니다. 이후 고려에 입국하여 왕위를 아들인 왕도에게 물려주니 그가 충숙왕입니다. 26대충렬왕 27대충선왕 28대충숙왕 29대충목왕 30대충정왕에 이르기까지 원의 부마들로서 원은 고려왕을 자신들의 신하로 보았습니다. (31대 공민왕도 원의 부마지만 개혁정치를 도모한 왕입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판만대장경에 대한 역사적 가치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팔만대장경은 고려시대인 1236년부터 1251년까지 즉 고종 23년-38년까지 16년에 걸쳐 간행되었습니다. 불교 문헌에서 8만4천은 매우 많다는 뜻으로 쓰입니다. 제작 동기는 11세기에 거란족의 침입을 막고자 고려 현종 대부터 선종 대까지 약 80년에 초조대장경을 만든 것에서 시작합니다. 초조대장경은 대반야경 600권 화엄경 금광명경 묘법연화경 등 6천여 권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통영사에 보관되었다가 후에 부인사와 대구 그리고 팔공산으로 옮겨졌습니다. 초조대장경은 1232년(고종 19) 몽골군이 침략하면서 소실되었고 현재 일본 교토 난젠시에 일부분인 1715권 인경본만 전해집니다. 재조대장경 즉 팔만대장경은 고려 최씨 무신정권이 불교계를 회유하기 위한 경과물로써 최씨 무신정권은 선종 불교와 가까웠기 때문에 기존의 왕실 및 귀족들과 가까운 교종 불교계와는 상대적으로 소원했기에 몽골군 침공이라는 미증유의 국난으로 부인사에 있던 초조대장경이 불타는 지경에 이르자 정권에 반발하는 세력인 교종 불교계를 회유해 아군으로 끌어들이고자 했습니다. 그렇게 최씨 정권을 중심으로 국가결속을 강화하고자 재조대장경이라는 16년에 걸친 불교사업을 주도했다는 것입니다. 팔만대장경은 불경대백과사전이라 칭할 정도로 대반야경부터 화엄경탐현기까지 총 1514종의 불경을 수록하고 있으며 권수로는 6569권이나 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전봉준은 동학사상에서 어떤 가치와 이념을 강조했나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부군수 조병갑의 가렴주구(세금을 가혹하게 걷음)로 촉발된 동학농민운동은 동학 고부 갑주 전봉준에 의해 시작되었습니다. 동학은 인내쳔 사인여천 오심즉여심 등의 사상을 주장한 것으로 나도 천주요 너도 천주이니 다른 사람을 대할 때 천주를 대하듯이 하라는 시천주 사상에 바탕을 두고 있습니다. 녹두장군 전봉준은 농민들도 똑같이 인간답게 살 수 있는 세상을 꿈꾸며 혁명을 완수코자 했으나 조선 조정에서는 청나라를 불러들이고 일제까지 불러들여 진압하였습니다. 비록 전봉준은 희생되었으나 그가 꿈꾸는 사람사는 세상이 돌아와 너와 내가 부둥켜 않을 때 그 모든 것들이 이루어지는 세상이 빨리오기를 희망했으나 뜻을 이루진 못했지만 혁명의 의의는 크다고 봅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조선시대 위정 척사 운동은 무엇이었나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9세기 반외세 투쟁을 전개한 위정척사운동은 정학인 성리학은 지키고 사학인 천주학은 물리친다는 의미로 자주민족정신과 의리정신 호국정신을 바탕으로 하고 있으며 후에 의병활동으로 이어집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조선시대 폭군 중 한 명인 연산군은 어떤 이유로 한글 사용을 금지하는 정책을 펼쳤나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의 10대 왕이자 광해군과 함께 폐위되어 복권되지 못한 연산군은 집권 초기에는 안정적인 국정운영을 하였으나 갑자사화의 도화선이 된 성종과 어머니 폐비윤씨와 관련된 폐비윤씨에 대한 이야기를 임사홍 집에서 듣고 미쳐버려 귀인 엄씨와 정씨를 때리고 진밟았으며 고삐가 풀리자 관련된 인물들을 모조리 죽이게 됩니다. 연산군은 사냥을 좋아해서 도성 근처의 민가까지 헐어가면서 금표를 치고 사냥터를 만들어 사냥을 즐기자 백성들이 원망하는 글과 욕설을 벽에 쓰게 됩니다. 이를 알고 쓴 사람을 찾고자 하지만 찾지 못하자 연산군은 언문을 가르치지도 말고 배운자는 쓰지도 말라는 명령을 내립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한글날은 다시 휴일이 된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945년 8월 15일 해방 이후 11.16일을 한글날로 제정하여 기념했습니다. 1949년 10월 9일로 바꿔서 국가기념일로 정해서 1949년부터 1990년까지 법정공휴일로 지내오다가 공휴일이 많다는 이유로 1990년 11월5일 관공서의 공휴일에 관한 규정에서 국군의 날과 함께 공휴일에서 빠지게 됩니다. 1991-2012년까지는 법정공휴일이 아니었다가 2012년 11월 7일 입법예고를 하고 동년 12월24일 국무회의를 통과하여 법정공휴일로 지정하였고 2013.10.9일부터 법정공휴일로 정해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조선시대 단종은 유배가서 계속살았나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453년(단종 1)에 수양대군은 왕권강화를 명분으로 황보인 김종서 등을 제거하고 어린 조카 단종에게 양위받는 형식으로 왕위를 찬탈하는 계유정난을 일으킵니다. 어린 나이인 13세에 즉위했던 단종은 수양대군에 의해 쫓겨나 강원도 영월의 오지로 유배를 가게되고 세조는 성삼문 등의 사육신들의 단종 복위 운동에 위기를 느껴 후환을 없애고자 사약을 내려 사사하게 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조선시대 공부하는데 계유정난이 대해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계유정난은 1453년(단종 1) 수양대군이 단종의 보좌세력이자 원로대신인 황보인 김동서 등 수십인을 살해 제거하고 정권을 잡은 사건입니다. 13세의 어린 나이에 왕위에 오른 단종은 수렴청정을 해 줄 대왕대비도없어서 문종의 고명을 받은 황보인과 김종서 등 대신들이 권력을 행사하고 있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역사공부하다보면 적장자라는 말이많이 나오던데 무슨뜻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정실의 아내가 낳은 맏아들로서 유교적 종법적 기족제도와 밀접한 관계에 있는 것으로 중국에서 유래한 종법에는 적출의 장자손을 종자라 하여 가게 내지 제사를 우선적으로 상속하게 되어 있습니다.
47147247347447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