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

김기태 전문가
보성고등학교
역사
역사 이미지
Q.  이성계의 황산대첩 당시 최영 장군은 무엇을 했나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려 우왕 6년인 1380년 9월 이성계가 사령관으로 있던 고려군이 현 전라북도 남원인 지리산 부근 황산에서 기세가 절정에 오른 왜구 무리와 싸워 압도적인 대승을 거둔 전투입니다. 순서로 보면 진포해전과 사근내역 전투에 이어서 연달아 벌어진 1380년의 대왜구 전쟁의 종결판입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이성계의 전쟁스타일은 어땠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이순신 을지문덕 강감찬 등 우리나라의 유명한 장수들은 두뇌파 장수들입니다. 그러나 이성계의 전투 스타일은 일기토를 해서 적 장수를 때려잡고 기별초라는 본인의 사병집단(여진족 몽골인 거란족 조선인 등 다인종으로 구성된 기마부대로 추정)을 이끌고 닥돌해서 적의 군대를 쪼개버리는 역발산 기개세를 보여준 장수입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고구려가 불교수용으로 인한 문화적 발전은 무엇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구려 소수림왕 2년(312년) 전진의 스님인 순도가 불상과 불경을 고구려에 전하게 되면서 왕권강화의 수단으로 불교가 받아들여졌습니다. 즉 현재 못살고 있는 것이 왕이 잘못해서가 아니라 자신이 전생에 지은 업보 때문이라는 것으로 일반 백성들에게 각인시킨 것입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조선은 신진사대부와 무신이 힘을 어떻게 합했나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려 말에 안향과 백이정에 의해 들여온 성리학은 목은 이색을 중심으로 절의파인 포은 정몽주 등은 고려를 그대로 둔 채로 개혁을 시키고자 하였고 역성혁명파인 삼봉 정도전 등은 새로운 나라 즉 조선을 세우고자 하였습니다. 여기에 문무를 겸비한 태종 이방원의 역할이 지대하였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북한도 현재 국가로 우리나라와 같은 애국가를 부르는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해방 후 미소군정이 3년간 실시된 후에 남한에서는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이 수립되었고 북한에서는 1948년 9월 9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수립되었습니다. 북한은 국기는 인공기 국화는 진달래꽃이었다가 목단으로 바뀌었으며 국가는 애국가라는 명칭을 쓰고 있으나 내용은 우리와 전혀 다른 월북시인 박세영 작사 광산 노동자출신 음악가 김원균 작곡의 2절로 되어 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제주도 사투리말 (무사 안 햄시니?)는 뜻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제주도 사투리 무사(왜) 대답 안햄시니(안하니)는 왜 대답 안하니를 뜻하는 말입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신라 사심관제도는 어떠한 제도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그 지방의 관리를 그 지방 사람으로 임명하여 지방에서 반역을 일으키면 사심관직에 임명된 관리에게 연대책임을 지게 함으로써 지방세력을 약화시키는 제도입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이성계는 어떻게 고려의 권력을 차지할수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이성계는 북쪽의 여진족을 정벌하고 남쪽으로는 왜구들의 노략질을 물리치는 등 자기 휘하에 강력한 힘을 지닌 장수들이 많이 있었습니다. 위화도 회군의 명분인 4불가론이 군과 백성들에게 큰 호응을 받았으며 대장군 최영을 제거하여 자신에게 대적할 적을 초기에 제압하고 우왕을 폐위시키고 창왕을 잠시 앉혔다가 자신의 입맛에 맞는 공양왕으로 대체시켜 양위의 형식을 빌어 권력을 찬탈하였습니다.
미술
미술 이미지
Q.  '파토스'에 대해 알려즈세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그리스어 중 인간의 유형을 나눌 때 로고스(Logos)적 인간은 이성을 지닌 인간을 의미하고 파토스(Pathos)적 인간은 감정을 지닌 인간을 의미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신라의 눌지왕은 어떠한 인물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신라 제19대 왕인 눌지마립간은 내물왕의 아드로 실성왕이 눌지를 죽이고자 하니 눌지가 먼저 실성왕을 죽이고 왕위에 오르게 됩니다. 418년(눌지왕 2)에 고구려에 볼모로 잡혀갔던 복호를 데려오고 일본에 볼모로 잡혀갔던 왕의 아우 미사흔을 데려오도록 박제상을 보내니 박제상은 잡혀 죽었으나 미사흔은 귀국하였습니다. 마립간이라는 호칭을 처음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그의 아버지인 내물왕 때도 마립간을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혼용되었음을 보여줍니다. 내물왕의 뒤를 이어 재위에 오른 실성왕은 중국에 볼모를 보낸 내물왕에게 복수하고자 고구려의 힘을 빌어 눌지를 제거하려 했으나 오히려 눌지에 의해 제거되고 눌지왕이 등극하였습니다. 중앙정청인 남당에서 왕이 친히 노인들을 봉양함으로써 민심을 안정시키고 저수지인 시제를 만들어 농업생산성을 증대시켰고 백성들에게는 우차의 사용법을 가르쳐서 화물유통을 쉽게 하였습니다.
515253545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