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
김기태 전문가
보성고등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역사
2023년 9월 8일 작성 됨
Q.
무협소설을 보는데요. 용어가 궁금합니다. 시진, 각?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우리가 현재 사용하는 하루 24시간 분초를 60으로 나누는 것은 12진법(오전12시간 오후12시간)에 의해 나누고 분초를 나눌 때 60진법을 나누는 것을 서양에서 들여온 것이고 우리나라에서는 중국 춘추시대에 사용해서 동아시아 국가에서 대부분 사용했던 하루를 100으로 분류하는 방법을 사용했는데 100각으로 나누어서 1각은 0.24시간 분으로는 하루가 1440분이니 1각은 14.4분입니다. 서양의 24시간 체계가 들어오면서부터 100이 아닌 96으로 보아 1각은 15분이 됩니다. 1시진은 8각으로 2시간입니다.
역사
2023년 9월 8일 작성 됨
Q.
조선시대의 대동세는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 전결세에는 전세 대동세 삼수미세가 대표적인데 이를 삼전세라고 합니다. 그중 대동세는 대동법에 의하여 공물을 전세의 형태로 부과한 것입니다. 조선 초기 민호들은 호역으로 각종 공납과 잡역을 바쳐야했습니다. 그러나 17세기 이후 국가는 대동법을 제정하여 이들을 전세화하되 국가에서 필요한 물품은 공인들이 구매하여 마련하도록 하였습니다. 즉 중앙의 각사 및 궁에 현물로 바치던 공물과 세폐 방물 일부 제향 진상물을 대신하여 각 도에서 상납된 물종을 각 사 궁 공물주인 계 등에 지불하고 각종 수수료와 역가도 지불함으로써 필요한 물품을 확보하도록 하였습니다. 이는 중앙과 지방의 재정 체계를 개편한 제도로서 국가의 수입을 헤아려 그에 따라 지출함으로써 양출위인의 원칙하에 운영하였습니다.
역사
2023년 9월 8일 작성 됨
Q.
불원천리는 무슨 뜻인가요? 세일기간을 맞아 사람들이 불원천리 백화잠으로 모여들고 있었다고한다 여기서 불원천리가 무슨뜻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불원천리는 천리를 멀리 느끼지 않는다는 의미인데 천리는 옛부터 먼 거리의 대명사였습니다. 만나고 싶은 사람을 만나는데 거리가 무슨문제가 되겠느냐는 말입니다.
역사
2023년 9월 8일 작성 됨
Q.
조선후기 실학자, 정약용은 그 시대에 어떠한 활약을 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다산 정약용은 맹자의 성선설과는 다르게 인간의 본성은 좋아하고 싫어하는 경향성을 갖는다는 성기호설을 주장하였고 인의예지의 4덕은 타고나는 것이 아니라 후천적으로 형성되는 것이라고 주장하였습니다. 중농학파인 경세치용으로 여전론과 정전법을 주장했으며 목민심서 흠흠신서 경세유표 등을 통해 공직자가 지녀야 할 덕목을 제시했으며 거중기를 만들어 화성 축조에 도움을 주는 등 실생활에 도움을 주는 학문인 실학을 집대성한 인물입니다.
역사
2023년 9월 7일 작성 됨
Q.
우리나라는 왜 신탁통치를 하게 되었나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는 광복군에 의해 해방을 맞이한 것이 아니고 연합군에 의해 해방이 되었기 때문에 일본군의 무장해제라는 명분으로 38선 이남은 미군이 38선 이북은 소련군이 진주해왔으며 미군정이 3년동안 실시되었습니다. 미군은 점령군으로 들어와 한국정세에 어두웠기 때문에 친일파들을 기용했으며 자주적인 독립국가를 이룰 수 없다고 자의적 판단을 해서 신탁통치를 결정하는데 이는 자기들의 이익을 추구하기 위한 꼼수에 불과한 것입니다.
역사
2023년 9월 7일 작성 됨
Q.
사택망처는 무슨 뜻인가요? 아무리 정신이 없어도그렇지 그렇게 중요한걸 잊다니 말이 되나요 사택망처가 따로 없네 여기서 사택망처가 무슨 뜻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사택망처는 집을 옮겨다니다 아내를 잃어버린다는 의미로 매우 중요한 일을 놓쳐버린 것을 비유한 말로 공자가어 현군에 나오는 말입니다.
문학
2023년 9월 7일 작성 됨
Q.
불치하문은 무슨뜻 인가요? 배우는 사람은 불치하문 그어떤 부끄러움도 느낄 필요가 없다 여기서 불치하문은 무슨 의미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불치하문은 아랫사람에게 묻는 것을 부끄러워 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지식이나 경험이 부족한 사람에게도 묻고 배울줄 아는 태도를 가져야 함을 의미합니다.
역사
2023년 9월 7일 작성 됨
Q.
안녕하세요,, 전세계에 여러 종교가 있을 것 같은데요 ? 그중 중요 종교의 교인 수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세계의 대표적 종교로 기독교 이슬람교 힌두교 불교 등을 들 수 있는데 1.기독교 신도 수는 22억명 이중에 천주교가 12억명 정도라고 합니다. 2.이슬람교 16억 3.힌두교 10억명 4.불교 3억7천명 5.유대교 1천4백명 6.자이나 4백2십만명 순입니다.
철학
2023년 9월 7일 작성 됨
Q.
사고무친은 무슨뜻인가요?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무조건 상경한 그는 사고무친의 신세이었다 여기서 사고무친은 무슨 뜻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사고무친은 주변에 가족이나 친척 친지 등 도움받을 사람이 없는 경우를 말합니다. 어디에도 기대지 못하고 홀로 살아가고 이겨내야 하는 신세를 이르는 말입니다.
역사
2023년 9월 7일 작성 됨
Q.
조선시대 왕인 태조와 태종은 부자지간이면서 왜 사이가 안좋았던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역성혁명으로 왕이 된 태조 이성계를 도와 조선 건국의 1등 공신인 태종 이방원은 태조 이성계가 정도전과 함께 이방석을 왕세자로 삼은 것에 반기를 들어 1398년 제 1차 왕자의 난을 일으켜 정도전과 이방석을 제거하고 이방과(정종)를 세자로 추대합니다. 이후 1400년 이방간과 권력다툼으로 제 2차 왕자의 난으로 이방간을 제거하고 세자 자리에 앉게 됩니다. 이런 과정에서 태조와 태종은 극심한 갈등을 겪게 되었고 사이가 틀어져 회복할 수 없는 지경까지 이르게 되었습니다.
536
537
538
539
54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