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
김기태 전문가
보성고등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음악
2023년 8월 9일 작성 됨
Q.
이슬람 세력이 극단주의적으로 테러를 자행하는 이유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이슬람교는 아브라함 첩의 아들인 이스마엘로부터 전개된 것으로 한 손엔 코오란 한 손엔 칼을 주장하고 있습니다. 이슬람교의 대부분은 평화적인 포교활동을 하고 있으나 이슬람 원리주의자들은 자신들의 뜻을 관철시키기 위해서 폭력적인 방법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텔레반 조직을 들 수 있는데 이들은 여성에 대해 억압적인 방법으로 억누르고 대학 교육도 받을 수 없다고 주장하고 있으며 여학생들을 납치하는 등 극단적인 방법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들의 이런 모습은 극단적 원리주의자들의 행위로 코오란을 잘못 해석한 결과로 보여집니다.
철학
2023년 8월 9일 작성 됨
Q.
천사만량 (千思萬量)이라는 사자성어의 의미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여러모로 생각하여 헤아린다는 의미로 순각적인 선택으로 인하여 아주 곤란한 지경에 처하는 경우가 많은데 신중하게 여러가지 선택지 중에 결과를 고려하여 신중하게 선택할 것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역사
2023년 8월 9일 작성 됨
Q.
우리 나라 역사상 교권이 약해진 이유는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어떤 정권에서든 정권을 잡으면 두 가지를 혁신하고자 합니다. 하나는 언론으로 사람들을 즉각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고 또 하나는 교육입니다. 교육은 사람들을 점진적으로 변화시키지만 백녀지대계로서의 영향력이 크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박정희 정권에서 그당시 교사들의 월급을 두배로 올려 지급함으로써 교사에 대한 예우를 높였습니다. 그러나 이후 교권과 학생인권의 문제가 부각되면서 마치 대립적인 것으로 보는 시각이 많으나 이는 문제원인의 전부는 아닙니다. 학생인권문제는 학생들의 기본적인 인간다운 삶을 보장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문제원인이라고 볼 수 없습니다. 교권추락의 근본원인은 교사의 사회적인 지위 하락과 교육의 3주체 중 한 축인 학부모들의 교사에 대한 시각변화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또 가정에서 한아이만 낳아 잘키우자는 운동으로 인해 왕자 공주로 키우는 가정교육이 문제 원인이라고 봅니다
역사
2023년 8월 9일 작성 됨
Q.
임진왜란 당신 우리나라에는 조총이 없었나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임진왜란 당시에 일본은 이미 문호를 개방하여 포르투칼의 영향을 받아 조선업과 조총의 발달을 촉진하였습니다. 우리 조선에 조총이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화승총으로 화약에 불을 붙여서 쏘는 총이였기에 정확도도 떨어지고 불을 붙여 쏘는 시간이 걸려 일본의 조총 바로 연발 사격이 가능한 총에 비할 바가 못되었습니다.
역사
2023년 8월 9일 작성 됨
Q.
징기스칸은 몽골내 납치혼을 금지시켜놓고 왜 전쟁때 유부녀겁간은 전쟁의 낙이라고 부추겼나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징기스칸인 테무친은 유목민으로 동서제국을 건설한 인물로 잔인한 정복자입니다. 동서제국을 건설했다는 것은 잔인하게 타민족을 진압하고 약탈하고 살생하는 범죄적 행위를 자행한 것을 의미합니다. 우리나라 고려 또한 몽고의 두차례의 침략으로 얼마나 많은 희생을 치뤘는지 역사가 증명하고 있습니다. 오죽했으면 부처님의 법력으로 오랑캐를 물리치고자 팔만대장경을 축조했을까 싶습니다. 온 강산이 황폐화되고 인명살상과 부녀자겁탈 그리고 처녀들을 몽고로 압송하는 데에 따라 조혼풍습이 생겨나기도 했습니다. 징기스칸의 이런 말은 정복자의 이중성을 적나라하게 보여준 사례라고 보여집니다.
역사
2023년 8월 8일 작성 됨
Q.
실존인물인 홍길동은 의적인가요, 도적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 조 3대 도적은 홍길동 임꺽정 장길산입니다. 이들의 공통점은 출신이 서자출신이거나 백정과 같이 신분이 비천했다는 것입니다. 어떤 관점에서 보느냐에 따라 도적일 수도 의적일 수도 있겠으나 민중의 관점으로 봐야 한다고 봅니다. 비록 도적이지만 관으로부터 빼앗은 물건을 원래 주인에게 돌려주거나 가난한 사람들에게 나눠주었으며 이상향을 향해 떠나 율도국을 건설했다는 점에서 의적으로 봐야 할 것입니다.
철학
2023년 8월 8일 작성 됨
Q.
이황 선생께서 주장하신 이기호발설을 어떻게 쉽게 해석할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인간의 본성은 성과 정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성은 본연지성으로 순선무악한 것이고 정은 4단7정으로 4단은 순선무악하지만 7정은 유선유악한 것이라고 보았습니다. 이 4단7정을 4단은 이가 발한 것이고 7정은 기가 발한 것이라고 주장하였는데 고봉 기대승의 반론을 받게 됩니다. 4단은 이 7정은 기라고 하면 이는 정신 기는 육체라고 봤을 때 정신과 육체가 분리된다고 주장하였습니다. 퇴계는 대학자였으나 고봉의 주장에 일리있다고 보아서 4단은 이발기수로 7정은 기발이승이라고 수정합니다. 이 논쟁은 7차례 걸친 서신교환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호낙논쟁으로 우리 역사상 최초 논변으로 기록됩니다.
역사
2023년 8월 8일 작성 됨
Q.
몽골의 전통가옥 게르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몽고는 목축업을 위주로 하는 유목민들입니다. 유목민들은 한 곳에 정착하지 않고 끊임없이 이동해야 하기때문에 이동식 주택인 게르에서 생활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역사
2023년 8월 8일 작성 됨
Q.
중국 진시황제가 만리장성을 세워야겠다 결심하게 된 계기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진시황 이전에도 북쪽 오랑캐들의 침입을 막기 위해 드문드문 성벽을 축조하였는데 진시황이 흉노족들의 침입을 막기 위해 드문드문 축조되어 있던 성벽을 이어서 세계 7대 불가사의한 것으로 알려진 만리장성으로 탄생한 것입니다.
역사
2023년 8월 8일 작성 됨
Q.
중국은 다민족으로 아는데 가장 많은 민족은 어디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한족입니다. 중국은 한족이 주류를 이루는 다민족구가입니다. 한족은 중국 인구의 92%를 차지하고 있으며 55개의 소수민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한족이외에도 좡족 몽골족 선비독 조선족 만주족 다우르족 티벳족 허저족 시버족 마오족 위그른족 등 55개의 민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611
612
613
614
61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