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락현 전문가입니다. 무엇이든 물어보살^^ㅎ
안녕하세요 김락현 전문가입니다. 무엇이든 물어보살^^ㅎ
김락현 전문가
Rh투자자문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경제
주식·가상화폐
2023년 5월 25일 작성 됨
Q.
미국 디폴트가 발생할거라고 단 1도 생각 안했는데
안녕하세요. 김락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이 이번에 합의가 안되어 디폴트되어도 크게 경제에 타격을 줄 것 같지 않습니다. 물론 몇 주간 주가가 내려갈 수 있지만 경제가 좋지 않아 생기는 디폴트가 아닌 행정처리로 발생한 디폴트이기 때문입니다. 디폴트가 발생하면 여야가 정치적으로 타격을 받기때문에 원만한 합의가 이루어질것 같습시다. 10년전에 미국 신용등급이 하락하여 주가,달러가 일시적으로 크게 떨어졌는데 다시 크게 반등되었습니다. 그 이유가 그래도 믿을게 달러밖에 없다는 시장의 반응이였습니다. 경제 참 어렵죠ㅎㅎ
예금·적금
2023년 5월 25일 작성 됨
Q.
우리나라의 기준금리 전망은 어떨까요
안녕하세요. 김락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이 금리를 올리지 않고 환율이 크게 뛰지 않는 이상 쉽게 올리지 못합니다. 우리나라는 가계부채가 워낙 많기 때문게 금리를 올렸다간 경기침체에 쉽게 빠질 수 있기때문입니다.
예금·적금
2023년 5월 25일 작성 됨
Q.
한국이 기준금리를 동결하는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락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한은입장에서도 미국따라 금리를 올리고 싶지만 우리나라 경제의 뇌관인 가계부채가 워낙 많습니다. 그래서 미국처럼 금리를 올리다가 경제침체가 심해질 것 같아서 못올리고 있습니딘.
경제동향
2023년 5월 24일 작성 됨
Q.
인구가 경제성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나요?
안녕하세요. 김락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인구감소 특히 젊은인구감소는 그 나라의 내수경제에 절대적 영향을 미칩니다. 소비인구가 줄어들면 그 나라 내수가 감소하여 경기가 침체됩니다. 굳이 국내에 공장을 만들어 생산하여 판매하면 마진이 남지 않기때문에 외국으로 공장이 이전하게 되어 고용도 줄어들게 됩니다.
예금·적금
2023년 5월 24일 작성 됨
Q.
달러 가격이 계속 올라가는 이유좀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김락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재 미국이 한국보다 기준금리가 1.5프로 높으니깐요. 당연히 안전하고 금리가 높은데로 돈은 이동하기 때문이죠.
대출
2023년 5월 24일 작성 됨
Q.
국가의 부채는 어디에 갚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락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국가가 국가를 운영하는데 드는 예산이 있습니다. 대부분 예산은 세금으로 충당하죠. 하지만 그 해 세금이 적게 걷히거나 돈 쓸일이 있으면 채권을 발행합니다. 우리나라는 원화로 발행하거나 달러표시 채권으로 발행합니다. 3년 5년 혹은 30년 만기가 다양합니다. 만약에 만기때 갚지못하면 디폴트 즉 국가부도가 발생합니다.
대출
2023년 5월 24일 작성 됨
Q.
디플레이션이 발생했을때는 어떤 해결책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락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디플레이션은 인플레이션보다 경제가 침체때 주로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디플레이션이 발생하면 금리를 낮추고 화폐를 많이 발행하면 됩니다. 하지만 일본처럼 특수한 경우에는 그렇게해도 계속 디플레이션이죠.
대출
2023년 5월 23일 작성 됨
Q.
신용,체크카드 발급을 자주 받으면 제 신용도에 문제가 생기는지요?
안녕하세요. 김락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카드를 발급받는다고 딱시 신용도에 문제되지 않습니다. 다만 신용카드가 연체되었을때 신용도가 하락하게됩니다.
예금·적금
2023년 5월 23일 작성 됨
Q.
예금과 적금 의 차이점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락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적금은 매달 일정한 금액을 납입하여 만기시에 이자랑 원금을 가져갑니다.예금은 목돈을 한 번에 넣고 만기시에 이자랑원금을 찾아갑니다. 적금금리가 예금보다 조금 더 높습니다.
주식·가상화폐
2023년 5월 23일 작성 됨
Q.
대기업들이 자회사를 하나,둘 주식시장에 상장시키는게 긍정적인 모습은 아니라고 하던데 그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락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상장되어있는 하나의 기업에서 하나둘씩 빼내어 다시 상장시키는것 그 기업 주주입장에서는 좋지 않습니다. 한 예로 lg화학에서 분사한 에너지솔루션이 있습니다. 기업자산이 100억인 기업에서 자회사 20억짜리를 빼서 상장시키면 그 기업은 80억이 되어버리기때문입니다. 그 기업 투자자입장에서는 좋지 않죠.
36
37
38
39
4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