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문수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문수 전문가입니다.
김문수 전문가
태화전력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자격증
전기기사·기능사
2024년 5월 13일 작성 됨
Q.
전기 문제중에 나오는 누설전류라는 것은 무엇인가요 위험한 것인지 대책이 있나요
누설전류는 전선이나 케이블의 피복이 벗겨지거나 수분이나 습기로 인해서 주로 금속체 표면에 흐르는 경우가 많은데 여름철에 비올때 절연이 잘 안되는 전기기구등에서 발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래서 누전차단기를 꼭 달아줘야하고 정기적으로 눌러서 동작 테스트를 해줘야 합니다.
전기기사·기능사
2024년 5월 13일 작성 됨
Q.
전기 관련 국가 자격증에 도전해볼까 생각 하고 있습니다
가장 정확한 진단방법은 큐넷 가입하셔서 학과나 경력 넣으시고 자격되는지 여부 판단하시는게 좋을것 같습니다. 그래도 안된다면 기능사 따고 나서 경력채우고 시험준비하시는건데 힘내세요 ~
전기기사·기능사
2024년 5월 11일 작성 됨
Q.
전기기능사시험이 난이도가 쉽다고하던데 어느정도인가요
인문계 나와서 기초지식이 없다고 하더라도 기출문제 사서 두번정도 풀어보시면 좋은 결과 있을겁니다. 저희 사무실 직원들도 1개월 공부하고 취득했고 산업기사 준비하고 있습니다.
전기기사·기능사
2024년 5월 9일 작성 됨
Q.
전기 감리 업무랑 전기 시설 관리 업무중에 50대 후반 무경력으로 취업이 가능한 업무는 어떤것인가요?
전기감리를 하시려면 단순경력이 아니라 실무경험도 있으셔야 일을 하실 수 있습니다. 시설관리도 경력없으시면 전기주임이나 대리를 하시면서 경력을 쌓으시고 기사의 경우 2년이 지나야 선임 자격이 주어집니다. 아니면 전기공사 업체로 취업하셔서 경력을 쌓으셔야합니다.
전기기사·기능사
2024년 5월 9일 작성 됨
Q.
전기기능장의 위상과 역할은 무엇이나요?
전기기능장은 현장실무면에서 더 나을 수 있으며 전기기사는 이론적인 측면에 더 우위일 수 있으나 대부분 현장일은 안하고 공무나 선임하시려고 하시는 부들이 많으신것 같습니다.
전기기사·기능사
2024년 5월 9일 작성 됨
Q.
전기안전관리자 선임을 위해서 자격증 취득후 실무 경력 문의 입니다.
어차피 현장에서 근무를 하시다보면 기사이시라면 시간 금방갑니다. 그리고 현장 경력을 많이 쌓으셔야 여러모로 일하시기 편합니다. 파이팅하세요
전기기사·기능사
2024년 5월 7일 작성 됨
Q.
전기기사 취득시 취업이 쉽게 되나요?
전기기사를 취득하셔도 취업이 쉽지만은 않습니다. 보통 경력을 많이 요구하구요. 아파트 전기과장이든 공장 안전관리자 선임이든 최소 2년의 경력이 있어야 취업이 가능해집니다. 일단 어디는 경력을 쌓아서 2년을 채워야합니다.
전기기사·기능사
2024년 5월 7일 작성 됨
Q.
아파트 전기 시설 관리 업무를 하려면 어떠한 자격과 경력을 갖추어야 하나요?
남자분이신거지요? 요즘 아파트 전기과장도 다다익선이라서 전기기사외에 기본적으로 다른 자격증 있는걸 선호하더라구요. 일단 경험과 경력이 모두 필요하고 나이도 50대를 선호한다고 합니다.
전기기사·기능사
2024년 5월 7일 작성 됨
Q.
전기기사 자격증에 관심이 있는데 어떻게 공부를 해야 하나요?
시험 난이도에 따라 합격률에 다소 차이는 있지만 1년정도 인강 들으면서 기본 암기사항들은 외우시더라도 노트정리는 따로 하시면서 계산문제는 응용력 키우도록 기출문제 꾸준히 풀고 반복하세요. 파이팅하세요
11
12
13
14
1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