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민세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민세 전문가입니다.
김민세 전문가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약·영양제
약 복용
2021년 11월 24일 작성 됨
Q.
늑골 골절 치료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김민세약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일반적인 늑골 골절 치료의 목표는 손상부위의 폐환기를 원활히하고 기관지 내에 분비물이 저류되는 것을 예방하는데 있습니다. 특히 고령이나 병약한 환자에서는 적극적인 물리요법을 시행하여 폐렴이나 무기폐 등의 합병증을 줄여야 합니다.출처:중앙대학교병원
기타 의료상담
2021년 11월 23일 작성 됨
Q.
코로나19 아이들 백신 부작용?!
안녕하세요. 김민세약사입니다.성인과 마찬가지로 어린이와 청소년도 코로나19 백신을 맞고 주사를 맞은 부위에 통증이 있거나 두통, 열이나 근육통 등 몇 가지 부작용을 겪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부작용은 어린이나 청소년의 일상생활에 영향이 있을 수 있지만, 보통 며칠이면 증상이 사라집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1년 11월 23일 작성 됨
Q.
변이코로나증상은 어떤가요?? 백신맞아도 걸리나요??
안녕하세요. 김민세약사입니다.모든 변이는 유사한 COVID-19 증상을 일으킵니다.알파 및 델타 변이와 같은 일부 변이는 더 심각한 중증 질환과 사망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감사합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1년 11월 23일 작성 됨
Q.
초등생 자녀 백신접종 하셨나요? 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김민세약사입니다.소아·청소년이라도 기저질환자(고위험군)에게는 적극 백신 접종을 권고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정부가 명시한 소아·청소년 코로나19 고위험군은 당뇨나 비만을 포함한 내분비계 질환, 심혈관 질환, 만성신장질환, 만성호흡기질환, 신경계 질환, 면역저하가 있는 소아·청소년입니다.기저질환이 없는 일반 소아·청소년은 접종 이득이 크지 않다고 밝혔습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1년 11월 23일 작성 됨
Q.
변이바이러스의 대표증상은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민세약사입니다.모든 변이는 유사한 COVID-19 증상을 일으킵니다.알파 및 델타 변이와 같은 일부 변이는 더 심각한 중증 질환과 사망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감사합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1년 11월 23일 작성 됨
Q.
모더나 2차까지 9월중에 맞았는데 백신 지속기간이 언제까지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민세약사입니다.모더나의 코로나19 백신이 2차 접종을 마친 후 6개월까지 항체가 지속된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습니다.답변이 도움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1년 11월 23일 작성 됨
Q.
화이자를 맞았는데 부스터샷을 꼭 맞아야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민세약사입니다.방역당국은 50세 이상 성인 50세 이상의 성인은 부스터 샷을 맞아야 한다고 권고하고 있습니다. COVID-19 중증화의 위험은 나이가 들수록 증가하며 기저질환이 있는 모든 연령대의 성인에서도 증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산부인과
2021년 11월 23일 작성 됨
Q.
임신중 코로나감염되면 태아도 걸리나요??
안녕하세요. 김민세약사입니다.해외에서는 산모의 바이러스가 아이에게 전파되는 '수직감염'을 우려해 이른 시기에 아이를 낳도록 유도분만을 하기도 했습니다. 아직 수직감염에 대해서는 학계의 의견이 분분합니다. 지난해 12월 싱가포르에서 코로나 감염 산모가 낳은 신생아에게서 항체가 발견돼 처음으로 수직감염 가능성이 제시됐습니다. 이영주 교수는 "감염된 임산부 31명 중 2명의 탯줄혈액에서 항체가 발견되었다는 논문도 있었지만, 항체가 발견된 임산부의 양수와 태반에서는 바이러스 유전자가 발견되지 않았다고 하였습니다.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1/08/13/2021081301075.html
내과
2021년 11월 23일 작성 됨
Q.
백신 중 혈전증 생기는 백신이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민세약사입니다.정확한 이유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습니다.일부 연구자들은 백신 제조 과정에서 생긴 불순물(용액 내 떠다니는 DNA 조각이나 바이러스 배양을 위해 사용되는 단백질용액)이 PF4와 상호작용해 혈전을 생성시킬 수 있다는 가설을 제기하며, 다른 이들은 아데노바이러스 그 자체가 범인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약 복용
2021년 11월 23일 작성 됨
Q.
록시틸정150mg 장기간복용과 임산부
안녕하세요. 김민세약사입니다.록소트로마이신의 경우 마크로라이드계열 항생제입니다. 항생제는 장기복용은 좋지 않으나, 의사의 처방하에드시는 것은 가능합니다.임부 관련 데이터는 아래와 같습니다.1) 동물실험(랫트)에서 임상용량의 약 80배에서 태자의 외표이상 및 골격이상의 발현빈도가 대조군에 비하여 높다는 보고가 있으므로 임부 또는 임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여성에는 치료 상의 유익성이 위험성을 상회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만 투여한다.2) 모유로 소량 이행되므로 수유부에는 투여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나 부득이 투여하는 경우에는 수유를 중지한다.
26
27
28
29
3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