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민희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민희 전문가입니다.
김민희 전문가
경북과학대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육아
양육·훈육
2024년 11월 19일 작성 됨
Q.
숙제하기가 어렵다며 우는 아이는 어떻게 격려할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아이들의 성향에 따라서는 숙제하기가 어려워서 우는 아이들도 생긴다고 합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부모님께서 아이를 잘 다독여 주시는게 중요하다고 생각을 합니다. 이런 활동을 하지 않는다면 아이들을 좌절하면서 숙제를 하지 않으려고 할 겁니다.
양육·훈육
2024년 11월 19일 작성 됨
Q.
어렷을때 어른들이 9시전에 자야 키가 큰다고하자나요
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말씀하신대로 예전에는 9시 전에 자야 키가 잘 큰다는 소리가 있었습니다. 하지만 요즘에는 그렇다기 보다는 아이들의 수면의 양과 질이 중요하다고 합니다. 따라서 아이가 조금 더 늦게 잠을 자더라도 잠을 아주 잘 잘 수 있도록 수면 패턴을 만들어 주시는게 중요하다고 생각을 합니다. 잠을 자기 전에는 격한 놀이를 하지 마시고 조용한 놀이를 해줌으로써 아이들이 잠이 들고 잠을 자는데 도움이 되도록 해주시는게 좋겠습니다.
양육·훈육
2024년 11월 19일 작성 됨
Q.
신생아가 울 때, 그 이유가 무엇인지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신생아가 울때에 이 이유를 알기 위해서는 부모님께서 아이를 잘 관찰해줘야 된다고 생각을 합니다. 보통 아이들이 우는 경우는 배가 고프거나 짜증이 나거나 대소변을 했을 경우라고 합니다. 따라서 이러한 것을 아이가 울대 확인을 해주시는게 좋겠습니다. 또한 아이들이 아플때에도 울 수가 있다고 합니다. 따라서 이 경우에도 잘 보셔야 되겟습니다. 열이 난다고 한다면 병원을 바로 가주시는게 좋다고 하니 참고해주시는게 좋겠습니다.
양육·훈육
2024년 11월 19일 작성 됨
Q.
역류 방지 쿠션은 아기가 몇 개월쯤 사용할 수 있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역류 방지 쿠션의 경우에느 아이가 약 100일정도가 되면 사용해도 된다고 생각을 합니다. 이는 말그대로 분유를 먹고 역류하는것을 막아주기 위해서 사용하기 떄문입니다. 하지만 아이가 점점 성장을 하면서 움직임을 가진다면 여기서 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잘 관찰 해주시는게 중요하다고 생각을 합니다. 이는 우리 아이들을 육아하는데 있어서 눈을 떼는 시기를 가지면 안된다는것을 말해주는것으로 아주 중요하다고 생각을 합니다.
양육·훈육
2024년 11월 19일 작성 됨
Q.
유아기때 소통을 잘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줘야 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유아기때 소통을 잘 하기 위해서는 부모님이 아이들과 소통을 잘해주시는게 좋겠습니다. 아이들의 경우에는 말을 하지 못하고 우는경우가 많기 때문에 많은 관심을 보여주셔야 아이들의 상태를 이해할 수 있다고 생각을 합니다. 따라서 부모님께서는 아이들과 시간을 많이 보내주시는게 좋겠습니다. 또한 아이들의 울음에도 종류가 있기 때문에 이를 잘 파악해주시는게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을 합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4년 11월 19일 작성 됨
Q.
아기가 식사 중 음식을 자주 흘리거나 던질 때, 어떻게 대응하는 것이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우리 아이들의 경우에는 식사를 할때에도 집중을 하지 못하기 때문에 음식을 자주 흘리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따라서이 경우에는 식사 예절을 잘 지켜주셔야 되겠습니다. 식사 예절의 경우에는 아이들이 음식을 먹는데 있어서 장난을 치는게 아니라는것을 인지 시켜주셔야 되겠습니다. 반복적으로 교육을 해주셔야 우리 아이들의 경우에는 정신을 차리고 밥을 먹기 시작한다고 하니 참고해주시는게 좋겠습니다.
양육·훈육
2024년 11월 19일 작성 됨
Q.
아기가 밤에 혼자 자는 것을 두려워할 때, 어떻게 도와줄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우리 아이들의 경우에는 혼자서 잠을 자는것을 어려워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당연하게도 어릴때부터 부모님과 잠을 같이 자기 떄문입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부모님께서 같이 잠을 자면서 방안의 어둠을 조금 없애주시는게 좋겠습니다. 이러한 활동을 통해서 아이들이 점점 더 잠을 자는데 무리가 없어진다고 합니다. 아이들이 무서워 하는것이 무엇인지를 정확하게 파악하시고 진행을 해주시는게 좋다고 생각을 합니다.
양육·훈육
2024년 11월 19일 작성 됨
Q.
아이들이 감정을 잘 표현하는 사람으로 자라게 하려면 어떤 지원이 필요할까요?
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아이들이 감정을 잘 표현하는 사람으로 자라게 하려면 부모님께서 많은 지원을 해줘야 된다고 생각을 합니다. 아이들에게 감정을 표현하는 방법을 많이 보여주시는게 좋겠습니다. 이러한 활동을 통해서 아이들의 경우에는 부모님의 말과 행동을 보고 배운다고 합니다. 많은 것을 보게 되면 자연스럽게 자기 표현을 잘 하게 된다고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지속적이고 반복적으로 아이에게 많은것을 보여주시는게 중요하다고 생각을 하니 참고해주세요
유아교육
2024년 11월 19일 작성 됨
Q.
아이가 공공장소에서 자주 떠들거나 시끄럽게 행동할 때, 어떻게 하면 차분하게 행동하도록 지도할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아이가 공공장소에서 자주 떠들거나 시끄럽게 행동을 할 때 차분하게 행동을 하게 하기 위해서는 부모님께서 지속적으로 훈육을 해주셔야 된다고 생각을 합니다. 우리 아이들의 경우에는 공공장소에서 떠드는것이 잘못됐다고 생각을 하지 못할겁니다. 따라서 구두로 계속해서 잘못된 행동이라는 것을 인지 시켜주시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반복적으로 해주셔야 됩니다. 그래도 개선이 되지 않는다면 아이들에게 따끔하게 훈육을 해주셔야 되겠습니다.
놀이
2024년 11월 19일 작성 됨
Q.
현재 6살 인데...심부름 시키면 할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현재 6살이라면 기본적인 심부름은 할 수 있다고 생각을 합니다. 하지만 이렇게 혼자서 마트를 가는것 자체가 위험할 수 있다고 생각을 합니다. 아이의 안전은 보장할 수 있는 구간이라고 생각을 하신다면 시켜주시는것도 좋겠지만 굳이 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을 합니다. 아이들이 혼자서 나갈 수 있는것은 초등학교 정도가 좋다고 생각을 합니다. 그리고 비상용으로 연락을 할 수 있는 나이에 진행을 시켜주시는게 좋다고 생각을 합니다.
111
112
113
114
11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