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바른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바른 전문가입니다.
김바른 전문가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의료상담
학문
이비인후과
2022년 3월 22일 작성 됨
Q.
현제 치과 진료를 받고 있는데 코로나 양성 판정을 받았어요! 치과 처방 약과 코로나 치료약을 같이 먹어도 될까요?
안녕하세요. 김바른 치과의사입니다.잇몸이나 치아의 통증으로 처방되는 약의 경우 대체로 소염진통제 계열이며 주로 이부프로펜과 같은 성분입니다.코로나 19 바이러스 감염증으로 인한 처방약은 주로 타이레놀과 같은 약이므로 같이 드셔도 문제가 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그러나 정확한 성분명은 처방한 주치의만 알고있기때문에 주치의와 상의하에 복용하시면 되겠습니다.
이비인후과
2022년 3월 22일 작성 됨
Q.
인후통인데 자가검진 음성? PCR 해야할까요?
안녕하세요. 김바른 치과의사입니다.몸살이나 감기와 상당히 흡사한 증상이 발생합니다. 기침, 두통, 발열, 가래 등이 발생가능하기 때문에 단순 증상만으로 코로나인지 판별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한편 코로나에서 특징적으로 발생하는 증상은 후각둔화와 미각둔화가 있습니다.만약 확진이 의심된다면 증상만으로는 정확한 판단이 어렵기때문에 검사를 받아보시는게 좋겠습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2년 3월 22일 작성 됨
Q.
델타 바이러스 이전의 바이러스는 거의 사라진 상태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바른 치과의사입니다.현재에도 델타 변이 바이러스는 존재합니다.그러나 그 비율면에서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에 비해 더 줄어든 것입니다.이는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가 더 전파력이 높기때문에 우세종이 된 것을 이유로 들 수 있겠습니다.
이비인후과
2022년 3월 22일 작성 됨
Q.
오미크론에 걸리면 어떤 합병증이 생길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바른 치과의사입니다.현재까지 알려진바에 따르면, 오미크론 변이에 감염되었다가 완치가 되더라도 일부 환자군에서는 호흡기나 폐에 영구적인 부작용이 남는 경우가 더러 있는 것으로 알려져있습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2년 3월 22일 작성 됨
Q.
오미크론 다음 바이러스의 예측되는 병증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바른 치과의사입니다.코로나 19 바이러스는 RNA 바이러스이며 다른 DNA 바이러스에 비해서 변이가 자주 발생합니다.이 과정에서 자연선택적으로 숙주인 인간에게 치명적인 증상을 덜 유발하면서 대신 바이러스 입자를 더 전파시키기 유리한 변이 바이러스 종이 우세종이 되게 됩니다.따라서 증상은 점차 약하며 전파력은 높은 변이 바이러스가 나타날 가능성이 높겠습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2년 3월 22일 작성 됨
Q.
코로나 관련된 약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바른 치과의사입니다.코로나 19 바이러스 감염증을 직접적으로 치료하는 치료제의 경우, 의사의 처방없이는 구할 수 없으며 현재 물량이 부족하므로 중증 환자에만 선택적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내과
2022년 3월 22일 작성 됨
Q.
몸의 컨디션이 좋지 않을때 코로나 바이러스에 걸리기 더 쉬운가요?
안녕하세요. 김바른 치과의사입니다.코로나 19 바이러스 감염증의 경우, 코로나 19 바이러스 백신접종 여부, 신체의 선천적 면역력 등에 의해서 감염에 대한 저항성 여부가 영향받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컨디션도 관련이 있을 것이라 판단됩니다.
내과
2022년 3월 22일 작성 됨
Q.
코로나 걸렸을때 감기약 먹어도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바른 치과의사입니다.코로나 19 바이러스 감염증의 증상은 감기와 비슷합니다. 따라서, 증상조절을 위해서 감기약을 복용하셔도 됩니다.궁금증에 대한 답변되셨길 바랍니다.
이비인후과
2022년 3월 22일 작성 됨
Q.
코로나 바이러스가 두통을 일으키기도 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바른 치과의사입니다.몸살이나 감기와 상당히 흡사한 증상이 발생합니다. 기침, 두통, 발열, 가래 등이 발생가능합니다.한편 코로나에서 특징적으로 발생하는 증상은 후각둔화와 미각둔화가 있습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2년 3월 22일 작성 됨
Q.
코로나 바이러스는 어떻게 세포내로 침투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바른 치과의사입니다.코로나 바이러스는 세포 외부에서 침투할때 외피 단백질 안에 있는 유전정보를 세포내로 주입합니다. 세포내로 주입된 유전정보는 세포 속의 단백질 합성기구로 이동하여 바이러스의 유전정보를 복제하여 생산하도록 하며 세포 내에서 다시 조립되는 과정을 통해 최후에는 세포를 파괴시키면서 바이러스가 배출되는 원리입니다.
156
157
158
159
16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