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바른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바른 전문가입니다.
김바른 전문가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의료상담
학문
신경과·신경외과
2022년 1월 16일 작성 됨
Q.
뇌 동맥류가 있다는데 백신 맞아도 될까요?
안녕하세요. 김바른 치과의사입니다.기저 질환이 있는 경우에도 코로나 백신을 접종하는 것이 권장되고 있습니다. 기저 질환이 있다면 코로나 바이러스에 감염되었을때 중증 상태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고 그로인해 병증이 악화될 수 있기 때문에 백신 접종을 할 것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현재 건강 상태를 바탕으로 판단하는 것이 가장 안전하기에 가능한 주치의의 판단 하에 접종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이비인후과
2022년 1월 16일 작성 됨
Q.
이런 상황은 어떻게 대처 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김바른 치과의사입니다.백신 접종 후에 일반적으로 컨디션 저하 등으로 인해 어지럼증, 피로감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기타 신체부위의 통증이 나타나기도 합니다.시간이 지나면 자연스럽게 회복되지만 증상이 심하시거나오래 지속되신다면 의료기관에 내원하시길 권장드립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2년 1월 16일 작성 됨
Q.
코로나백신 3차접종을 2차접종 후 90일 지나서 맞으면 효과 없나요?
안녕하세요. 김바른 치과의사입니다.코로나 19 바이러스 감염증 백신 3차 접종의 경우, 2차 백신 접종 이후 최소 3개월이 지난 시점부터 최대 6개월이 지나기 전 시점까지는 맞으셔야 적절한 항체농도를 유지하실 수 있습니다.답변되셨길 바랍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2년 1월 16일 작성 됨
Q.
추후에 코로나 백신 부작용이 나타난다면
안녕하세요. 김바른 치과의사입니다.백신 접종 후에 일반적으로 컨디션 저하 등으로 인해 어지럼증, 피로감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기타 신체부위의 통증이 나타나기도 합니다.시간이 지나면 자연스럽게 회복되지만 증상이 심하시거나오래 지속되신다면 의료기관에 내원하시길 권장드립니다.
내과
2022년 1월 16일 작성 됨
Q.
코로나 먹는약 한국 도입관련 질문사항
안녕하세요. 김바른 치과의사입니다.현재 나온 코로나 치료제의 원리는 리보뉴클레오사이드 유사체로 바이러스이 염기 서열에 끼어들어가게 되어 폴리머레이즈가 해당 바이러스 염기서열을 번역하지 못하게 만드는 원리입니다. 그렇게 되면 바이러스 염기 서열의 단백질이 만들어지지 못하며 제 기능을 하지 못하고 사멸하게 되는 기전입니다.증상에 따라 결정되며 환자가 임의로 결정할수없습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2년 1월 16일 작성 됨
Q.
백신 2차접종 후 3차는 언제 부터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김바른 치과의사입니다.코로나 19 바이러스 감염증 백신 3차 접종의 경우, 2차 백신 접종 이후 최소 3개월이 지난 시점부터 최대 6개월이 지나기 전 시점까지는 맞으셔야 적절한 항체농도를 유지하실 수 있습니다.답변되셨길 바랍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2년 1월 16일 작성 됨
Q.
헌혈후 당일날 코로나 백신접종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김바른 치과의사입니다.코로나 19 바이러스 감염증에 대한 백신 접종 전후 1주일간은 헌혈을 자제해주시는게 좋겠습니다.궁금증에 대한 답변되셨길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2년 1월 16일 작성 됨
Q.
노바백신과 기존 백신(4종)의 차이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바른 치과의사입니다.노바백스 백신의 경우, 기존에 나온 mRNA 방식의 코로나19 바이러스 백신과는 달리 단백질재조합 백신입니다.단백질 재조합 백신의 경우 예전부터 이용되어오던 백신 형태입니다.화이자나 모더나 백신 같이 mRNA를 이용한 방식의 경우에 드물게 알레르기, 또는 심근염이나 심낭염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하지만,단백질 재조합 방식의 노바백스 백신의 경우 이러한 부작용은 낮을거라 봅니다.
내과
2022년 1월 16일 작성 됨
Q.
팍스로비드 복용시 주의사항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바른 치과의사입니다.현재 나온 코로나 치료제의 원리는 리보뉴클레오사이드 유사체로 바이러스이 염기 서열에 끼어들어가게 되어 폴리머레이즈가 해당 바이러스 염기서열을 번역하지 못하게 만드는 원리입니다. 그렇게 되면 바이러스 염기 서열의 단백질이 만들어지지 못하며 제 기능을 하지 못하고 사멸하게 되는 기전입니다.치료제에 대한 정보는 아직까지 알려지지 않는 부분이 많습니다.
신경과·신경외과
2022년 1월 16일 작성 됨
Q.
아는지인이백신부작용때문에입원인데요?
안녕하세요. 김바른 치과의사입니다.증상에 따라 다릅니다. 증상이 개선되고 몸이 회복되는 것의 경과를 지켜본 후에 퇴원일정이 잡히므로 정확하게 상태를 파악하지 않고서는 알 수 없습니다.
476
477
478
479
48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