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김바른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바른 전문가입니다.

김바른 전문가
치과
치과 이미지
Q.  교정치료 후 부작용으로 치아가 많이 약해지나요?
안녕하세요. 김바른 치과의사입니다.교정치료시 과도한 교정력이 가해지거나 체질적으로 치아뿌리가 약한 몇몇분들을 제외한다면, 일반적으로 교정치료 후 잇몸이 나빠진다는 것은 낭설에 불과합니다.
치과
치과 이미지
Q.  송곳니 깨진 후 관리를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바른 치과의사입니다.레진이라는 재료는 원래 마모가 되는 재료입니다.송곳니의 경우 앞니 부위이기때문에 잘보이는 곳이라 인위적인 금속성 보철물을 제작하지 않고 구강내에서 직접적으로 수복할 수 있으며 심미성이 뛰어난 레진을 사용하는 것이 옳습니다.그러나 아시다시피 레진은 마모가 잘되므로 그러한 특성을 잘 이해하시고 주의해서 사용하시는게 옳겠으며, 과도하게 마모된다면 재치료를 받으시는게 맞습니다.
치과
치과 이미지
Q.  커피마시고 바로 양치해도되나요?
안녕하세요. 김바른 치과의사입니다.커피마시고 양치질을 바로 하셔도 되며, 오히려 늦게 하는 것보다 좋습니다.커피 안에는 당성분이 포함되어있고, 3분이 지나게 되면 당성분을 에너지로 삼는 구강 세균들에 의해 치아우식증이 진행됩니다.
치과
치과 이미지
Q.  어금니에 음식물이 끼어서 치과에 다녀왔는데
안녕하세요. 김바른 치과의사입니다.나이가 듦에 따라 잇몸뼈는 변화하고 점차 소실됩니다. 그에 따라 잇몸도 내려갑니다. 그로인해 음식물이 치아 사이공간에 점차 낄 수 있으며 이는 자연적인 것입니다. 보철물이나 기타 다른 치료를 통해 치아 사이에 음식물이 끼는 것을 억지로 막는다면 해당 공간에 칫솔이나 치실이 들어갈 수 없게되며 그로 인해 세균이 번식해서 오히려 잇몸이 나빠집니다.따라서 공간은 확실하게 열어주고 음식물이 끼더라도 추후 치실이나 양치질을 통해 뺄 수 있게 만들어주는 것이 치료의 원칙입니다.답변되셨길 바랍니다.
치아 관리
치아 관리 이미지
Q.  잠들기전 자일리톨을 씹어도 괜찮을가요?
안녕하세요. 김바른 치과의사입니다.자일리톨 성분 자체는 치아우식증 예방에 도움이 되지만, 만약 다른 정제당 성분을 포함한 자일리톨 껌이라면 도움이 안될 가능성이 있습니다.자일리톨 껌을 씹어서 충치를 예방하겠다는 마음가짐보다는 하루 3번 식후 3분이내 양치질을 꼼꼼히 하는 습관을 들이시는게 더 좋겠습니다.
치과
치과 이미지
Q.  치과 치료에 사용 되는 레진(Resin) 은 무언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바른 치과의사입니다.충치 치료를 통해 치질을 제거한 이후 레진이나 인레이와 같은 방식으로 충전하지 않을 경우 그 곳을 통해 다시 감염되거나, 심할 경우 치아가 부러집니다.레진은 합성수지의 일종으로 주로 광중합형으로 사용합니다.
치과
치과 이미지
Q.  치통이 심한데 잇몸때문일까요?
안녕하세요. 김바른 치과의사입니다.뜨거운 음식에 증상이 재현되는 것으로 보아선, 비가역성 치수염의 가능성이 의심됩니다.정확한 진단은 치과에 내원하셔서 받으셔야겠지만 비가역성 치수염이 맞다면 신경치료 및 크라운 치료가 필요합니다.
치과
치과 이미지
Q.  스케일링과 염증치료 치료비용과 치료방법문의.
안녕하세요. 김바른 치과의사입니다.스케일링과 잇몸치료의 경우 의료보험이 적용가능한 치료 항목입니다.다만 스케일링의 경우 연 1회 보험 적용이며, 잇몸치료의 경우 90일 단위로 보험적용이 가능합니다.스케일링은 잇몸라인 상방의 치석을 제거하는 것이며, 잇몸치료는 잇몸라인 하방의 깊은 부위의 치석을 제거하는 것입니다.
치과
치과 이미지
Q.  사랑니 매복 꼭 빼야할까요?
안녕하세요. 김바른 치과의사입니다.잇몸 위로 노출되지 않은 사랑니의 경우 구강내 미생물의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발치하지 않으셔도 괜찮습니다.그러나 치아가 누워서 자라고 있고 잇몸밖으로 노출된 경우 정상적으로 맹출되어 대합치와 교합되기 어려우므로 치아우식증이나 치관주위염과 같은 질환을 발생시키기 이전에 예방적으로 발치할 것을 권해드립니다.
치과
치과 이미지
Q.  신경치료한 치아는 꼭 씌워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바른 치과의사입니다.치아에 염증이 생겨서 신경치료를 하신 것 같습니다. 신경치료 후에는 크라운을 씌우지 않을 경우 치아의 파절 위험성이 증가되고 외부로부터의 세균에 의한 재감염확률이 높아져서 신경치료한 부위의 실패가 잦아집니다. 따라서 신경치료 후에는 반드시 크라운으로 씌우시는게 맞습니다.
53153253353453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