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선민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선민 전문가입니다.
김선민 전문가
충청북도 청주교육지원청 중앙초등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육아
유아교육
2025년 5월 29일 작성 됨
Q.
초1 한글 다 못 뗀 아이. 고민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아이마다 발달 속도는 다르니 너무 걱정하지 마세요. 치료 중인 상황에서 스트레스 줄이고 아이의 자존감을 높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책을 좋아하고 가족이 함꼐 읽어주는 환경은 큰 힘이 됩니다. 학원도 아이가 좋아하는 활동 위주로 균형있게 보내시는게 좋고, 아이속도에 맞춰 천천히 응원해 주세요
기타 육아상담
2025년 5월 29일 작성 됨
Q.
어린이집 관련 문의요!!~~~~~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선 넘는 농담처럼 느껴질수 있습니다. 불펴했다면 자연스럽게 '그 말에 조금 당황했습니다'라고 조심스럽게 표현하는 것도 괜찮습니다. 마음이 불편했다면 무시하지 말고 이야기해보시기 바랍니다.
유아교육
2025년 5월 29일 작성 됨
Q.
아이들의 인성을 키우기 위해서 집에서 할수 있는것으로는 어떤것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아이의 인성을 키우기 위해서 집에서는 칭찬과 공감을 자주 표현하고, 가족 간의 예절과 배려를 일상에서실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책임감을 기를 수 있도록 작은 집안일을 함께 하거나, 감사 일기 쓰기 등도 좋은 방법입니다
양육·훈육
2025년 5월 29일 작성 됨
Q.
학교 수업에 잘적응하는 아이들은 어떤 아이들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학교 수업에 잘 적응하는 아이들은 규칙을 이해하고 따르며, 집중려고가 자기 조절력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호기심이 많고 질문을 잘하는 아이도 교과 참여도가 높습니다. 집에서 규칙적인 생활과 감정 조절 연습이 큰 도움이 됩니다
유아교육
2025년 5월 29일 작성 됨
Q.
원어민 선생님과의 수업이 실제 회화에 도움이 될까요?!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원어민 수업은 실제 회화 감각과 발음, 자연스러운 표현 익히기에 효과적입니다. 단, 쉬운 표현만 반복하면 한계가 있으니, 다양한 주제로 대화하고 틀린 부분은 바로 피드백 받는 방식으로 수업을 구성하면 실력 향상에 더 도움이 됩니다
유아교육
2025년 5월 29일 작성 됨
Q.
일상의 지루함을 이겨내는데 공부도 도움이 될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네 공부는 일상의 지루함을 이겨내는데 확실히 도움이 될수 있습니다. 새로운 것을 배우는 과정은 뇌에 자극을 주고 성취감을 주며, 반복되는 일상에 활력을 불어넣습니다. 특히 아이를 키우는 상황처럼 외부 활동이 제한적일 때는 온라인 강의나 책 읽기처럼 틈틈히 할 수 있는 공부가 좋습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5년 5월 29일 작성 됨
Q.
7세 아이 자꾸 이미 한 일을 기억 못해요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7세 아이는 아직 시간 개념과 기억력 발달이 진행중이라 과거 사건이나 계절 변화, 일정 등을 혼동하는 경우가 흔합니다. 특히 관심이 크지 않거나 감정적 흥분이 덜한 일은 더 쉽게 잊을 수 있습니다. 걱정된다면 반복적으로 같은 패턴의 기억 장애가 있는지, 일상생활에 지장이 있는지 지켜보세요
유아교육
2025년 5월 28일 작성 됨
Q.
수능을 앞둔 5개월 어떤 전략으로 준비하는게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남은 5개월은 약점 보완과 실전 훈련에 집중할 시기입니다. 월별, 주별 계획을 세워 영역별 취약점을 체계적으로 보완하세요. 주1회 이상 실전처럼 모의고사를 풀고 오답 분석을 통해 실수를 줄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체력과 멘탈 관리도 병행하세요
유아교육
2025년 5월 28일 작성 됨
Q.
친구와 노는게 좋은 6세!! 학원을 잠시 쉬는게 맞는걸까여!??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친구와 노는게좋은6세라면 학원을 잠시 쉬는게 좋을듯 합니다 학원을 잠시 쉬다가 아이가 흥미를 다시 느낄때 보내는게 괜찮을거같습니다 아이가 어느정도 흥미를 느꼈을때 학원을 다니는게 아이도 스트레스를 받지않고 즐겁게 다닐수있을겁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5년 5월 28일 작성 됨
Q.
2025년에는 로봇 친구와 진짜 친구처럼 지낼 수 있을까?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2025년엔 로봇 친구와 간단한 대화나 놀이를 즐기는 것이 어느정도 가능해졌지만, 진짜 친구처럼 감정을 완전히 이해하고 공감하는 숮누까지는 아직 어렵습니다. 그래도 외로울 떄 말벗이 되어죽, 좋아하는 이야기나 취미를 함꼐 나누는 재미있는 친구가 될수 있습니다.
166
167
168
169
17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