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영민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영민 전문가입니다.
김영민 전문가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경제
주식·가상화폐
2023년 3월 27일 작성 됨
Q.
미국 경제시장에 공포지수 라는게 있던데 이게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영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공포 탐욕 지수는 영어로는 Fear&Greed Index라고 하는데요.CNN머니가 매일 발표하는 월가를 대표하는 심리지표로 알려져 있습니다. 투자 심리를 반영하는 것으로 알려진 시장 모멘텀, 주가 강도, 주가의 폭, 풋·콜옵션 비율, 정크본드 수요, 시장 변동, 안전자산 수요 등 7가지 수치를 동일 가중으로 조합해 산출하고 있습니다.
경제용어
2023년 2월 16일 작성 됨
Q.
실효환율이란 용어는 무슨 의미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영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실효환율이란 세계 많은 나라 물가와 교역비중을 고려하여 각 나라 통화의 실질적 가치를 나타내는 것 입니다.
예금·적금
2023년 2월 9일 작성 됨
Q.
유튜브에서 풍차돌리기식 적금 이라는 말이 있던데
안녕하세요. 김영민 쉽게 설명해 1년만기 적금을 매달 새로 가입해 차곡차곡 쌓아 만기에 이자가 합쳐진 금액을 돌려받는 운용 방식입니다.즉, 적금을 쪼개 수익을 노리는 방식으로 은행이나 저축은행에서 1년 만기 적금 통장을 개설한 뒤 매달 적금 하나씩 통장을 늘려나가면 됩니다. 1년이 지난 뒤부터 첫 달 가입한 적금 만기가 돌아오는 것을 시작으로 매달 만기된 적금을 이자와 함께 받을 수 있습니다.
예금·적금
2023년 2월 8일 작성 됨
Q.
요즘 금리가 계속 떨어지는데 금리 전망에 대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영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얼마전 파월에서 언급하길 예를 들어 지표가 계속해서 예상보다 강하고, 이미 시장에 반영된 수치나 연준의 전망치 이상으로 금리를 올릴 필요가 있다고 판단할 경우 우리는 분명히 금리를 올릴 수 있다. 전망하였습니다. 디스플레이션이 물가하락에서는 보였으나 주택 및 서비스 시장은 아직 하락이 시작하지 않은것으로 보아 여러 상황을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경제동향
2023년 1월 26일 작성 됨
Q.
경제에서 말하는 낙수효과란 뭘 말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영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대기업 및 부유층의 소득이 증대되면 더 많은 투자가 이루어져 경기가 부양되고, 전체 GDP가 증가하면 저소득층에게도 혜택이 돌아가 소득의 양극화가 해소된다는 논리이며이 이론은 국부의 증대에 초점이 맞추어진 것으로 분배보다는 성장을, 형평성보다는 효율성에 우선을 두는 것 입니다. 낙수효과의 가장 큰 부작용은 양극화라고 할 수 있습니다.
주식·가상화폐
2023년 1월 26일 작성 됨
Q.
숏스퀴즈라는 이야기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영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숏스퀴즈는 주가가 상승할 때 매도를 했던 투자자들이 숏 포지션을 커버하기 위함 또는 손실을 줄이려 해당 주식을 매수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된다면 주식가격은 기존 매수세에 공매도를 했던 투자자의 매수 물량까지 흡수해 급등을 하는 것 입니다.
주식·가상화폐
2023년 1월 11일 작성 됨
Q.
보유중인 주식이 상폐되면 어떻게 하죠?
안녕하세요. 김영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보유하신 주식이 상장 폐지가 된다면 장외주식에서 거래 여부에 따라 장외주식 시장에서 매매가 가능하십니다.단, 보유 하신 주식의 금액은 평소 가격보다 90%이상 하락한 가격일 수 있습니다.
경제용어
2022년 12월 12일 작성 됨
Q.
인플레이션 이후, 물가가 잡히면 금리를 내리게 되는데 경기침체가 오는 과정 설명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김영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연준이 금리를 올리면, 사람들은 이자 갚느라 쓸 돈이 줄어들어 소비를 안 합니다. 그러면 기업은 재고가 쌓이고, 상인들은 장사가 안 됩니다. 이렇게 된다면 경기침체와 덤핑현상으로 가격이 하락하고 물가가 잡히게 됩니다.
경제동향
2022년 12월 2일 작성 됨
Q.
한국에 경제 어떤가요 다시 괜찮아질까요
안녕하세요. 김영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먼저 한국경제를 알기존 거시적으로 세계 경제를 보아야합니다. 현재 여러 악재들이 존재하고 있습니다. 또한 킹달러 라고 하죠 미국의 달러강세로 한국의 외화 보유고의 외화보유액이 3개월 감소중에 있지만 97년과는 많이 다릅니다. 요약하자면 한국 뿐 아니라 전 세계가 현재 많이 침체되는 시기에서 한국의 빠른 판단과 거시적 경제 읽기가 필요한 시기입니다.
1
2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