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김재훈 전문가
SFTL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전기·전자
24일 전 작성 됨
Q.
우리가 눈에 보이는 색은 가시광선이 물체에 흡수되지 않고 반사되는 파장이 모여서 보여지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우리가 보는 색은 가시광선 중 특정 파장이 물체에 흡수되지 않고 반사되어 눈에 들어오기 때문에 보입니다. 물체는 각기 다른 분자 구조와 성질에 따라 특정 파장의 빛을 흡수하고 나머지를 반사하거나 투과하게 되며 이 반사된 빛의 파장이 색으로 인식됩니다. 따라서 색은 빛의 반사 특성과 눈의 인식 능력이 결합된 결과입니다.
전기·전자
24일 전 작성 됨
Q.
전자기기들에 붙이는 보호필름의 경우 만져보면 접착제 같은게 안붙어 있는거 같은데 어떻게 전자기기등에 붙어서 덜어지지않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전자기기에 붙이는 보호필름은 접착제가 아닌 정전기 또는 실리콘 점착층을 이용해 부착됩니다. 이 방식은 눈에 보이지 않지만 표면 간의 미세한 분자 간 힘이나 정전기력으로 밀착되어 떨어지지 않게 됩니다. 덕분에 자국 없이 깔끔하게 제거가 가능하며 재사용도 가능한 경우가 많습니다.
전기·전자
24일 전 작성 됨
Q.
전기차 아직도 불안한가요?? 아니면 안정적인데 사고나는것만 영상에서 보여줘서 불안하게 느끼는건가요?? 전기차 배터리나 전기차에 관점에서 설명해주세요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전기차는 기술적으로 상당히 안정화되었으며 배터리 관리 시스템 충돌 감지 냉각 기술 등 안전장치가 정교하게 설계되어 실제 사고율은 낮은 편입니다. 다만 고온 충격 제조 불량 등 특정 조건에서 리튬이온 배터리가 폭발하거나 화재 위험이 있어 드물게 발생하는 사고가 영상으로 확산되며 불안감을 증폭시키는 경향이 있습니다. 즉 전기차는 이미 안전 기준을 충분히 충족하고 있지만 배터리 특성상 고장 시 리스크가 크기 때문에 관리와 제조 품질이 핵심입니다.
전기·전자
24일 전 작성 됨
Q.
신호등에서 빨간불의 남은 시간을 표시하는 방법이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신호등의 잔여 시간 표시 장치는 일반적으로 RGB LED 또는 듀얼컬러 LED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여 하나의 화면에서 빨간불과 초록불 모두를 색상 전환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초기에는 초록불만 표시하던 것을 개선하면서 기존 틀을 유지한 채 내부 디스플레이나 컨트롤러만 교체하거나 펌웨어를 업데이트하는 방식으로 빨간불 잔여 시간까지 표시가 가능해진 것입니다. 즉 셀로판지를 덮는 방식이 아닌 LED 자체가 색을 표현하며 교체 없이도 다색 표현이 가능한 구조로 발전했기 때문에 전체 신호등을 교체하지 않아도 확장된 기능이 구현된 것입니다.
전기·전자
24일 전 작성 됨
Q.
모든 단자에 전기가 흐르면 그걸로 전자기기 충전 할수 있나요?? 아니면 특정 단자만 충전이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모든 단자에 전기가 흐른다고 해서 전자기기 충전이 가능한 것은 아니며 충전은 정해진 전압·전류와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특정 단자를 통해서만 가능합니다. 단자마다 전기 신호의 형태나 전력 규격 통신 방식이 달라 기기에 맞지 않는 단자로 충전하면 작동하지 않거나 손상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전자기기는 자신에게 맞는 전용 단자와 충전 규격을 통해서만 안전하게 충전할 수 있습니다.
36
37
38
39
4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