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글쓰기를 좋아하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글쓰기를 좋아하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김종호 전문가
열린동해문학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미술
2024년 2월 16일 작성 됨
Q.
고흐는 정신질환를 앓은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네 고흐는 정신병으로 힘든 생활을 했다고 합니다. 1888년 가을, 아를르에서 고갱과의 공동생활중 병의 발작에 의해서 자기의 왼쪽 귀를 자르는 사건을 일으켜 정신병원에 입원, 계속되는 생 레미 시대에도 입퇴원의 생활을 되풀이합니다. 1890년 봄 파리 근교의 오베르 쉬르 우아즈에 정착했으나 같은 해 7월 권총으로 자살을 했다고 합니다.
역사
2024년 2월 16일 작성 됨
Q.
조선시대 노비는 현재 가치로 얼마에 거래됐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 노비의 몸값은 말보다 더 싼 가격에 거래된 것으로 보입니다. 1398년 7월6일 태조에게 올린 형조의 보고를 보면 “무릇 노비의 값은 비싸봐야 오승포 150필에 지나지 않는데 말 값은 4,5백 필에 이르고 있습니다. 이것은 가축을 중히 여기고 사람을 가벼이 여기는 것이므로 도리에 어긋나는 일입니다. 원컨대, 지금부터는 무릇 노비의 값을 남녀를 논할 것 없이 나이 15세에서 40살까지는 4백필로 하고 14살 이하와 41살 이상인 자는 3백필로 하여 매매를 정해야 할 것입니다.' 라는 기록이 있다고 합니다.
역사
2024년 2월 16일 작성 됨
Q.
남한에도 고구려 고분이 남아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구려벽화가 그려진 고구려 석실고분이 있습니다. 고구려의 대표적인 무덤 양식인 석실고분은 돌로 만든 방과 복도로 구성된 무덤이며 다행히 우리가 쉽게 찾아갈 수 있는 석실고분이 남아있는데 바로 강원도 춘천시 서면 신매리 석실고분이라고합니다.
미술
2024년 2월 16일 작성 됨
Q.
우리나라의 금속공예가 발달한 사유?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는 돌, 나무 등을 주로 사용하던 신석기시대에 이어 구리가 인류 최초의 금속으로 등장하면서 금속공예는 시작되었습니다. 그리고 청동기시대부터 금속을 주조해 전쟁의 무기나 농기구를 만들어 사용했습니다. 시간이 흘러 화려한 금관과 장신구 등이 만들어지기도했고 인류와함께 발전한 금속공예는 삼국시대를 걸쳐 고려시대에 이르게 되면서 불교의 융성과 함께 아름답고 정교한 공예품을 만들게 되었습니다. 금속을 다루는 기술의 발전은 통일신라 시대를 맞아 한국종이라고 불리는 우리나라만의 독자적인 범종으로 이어지게 되면서 우리나라는 금속공예가 더욱 발달하게 되었다고합니다.
역사
2024년 2월 16일 작성 됨
Q.
과거 언제 남자들은 상투를 묶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보통 상투는 성인 남자가 결혼을 하거나 관례를 치른 뒤 꾸몄다고 합니다. 여러가지 사정으로 결혼하지 않아도 상투를 트는 경우가 있었는데 나이가 어려도 일찍 결혼을 하여 상투를 틀면 어른 대접을 해주었으며 미혼인데도 어른 대접을 받기윟 상투를 틀기도했다고합니다. 그리고 보부상처럼 여기저기 돌아다니는 사람들이 얕보이지 않기 위해 하기도 했다고 합니다. 또한 관직으로 진출하거나 무과에 급제할 경우, 부하들에게 어리다고 무시당하지 않기 위해서 하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역사
2024년 2월 16일 작성 됨
Q.
조선시대 군인들도 월급을 받았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 군인들의 복무기간은 무려 44년이나 되었으며 16-60세 양인 남자는 모두 군역의무를 이행해야 했습니다. 이들의 경우 복무 기간 내내 훈련소에 있지는 않았고 1년 중 2-6개월가량 근무해 실제 복무 기간은 약 7년 정도였다고하며 나라를 위해 목숨을 걸고 싸웠던 이들의 월급은 없었다고 합니다. 조선 전기에는 군역 자체가 백성들이 나라에 내야 할 세금처럼 의무적인 개념이었다 보니 월급을 주지 않았다고 합니다.
역사
2024년 2월 16일 작성 됨
Q.
숙종의 왕권이 굉장히 강했던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숙종은 재위 기간동안 왕권강화를 위해 다양한 정책들을 펼쳤고 왕을 대신하여 행정을 수행하는 관료집단의 권력을 제한하며 왕의 권력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이루어갔기때문이었습니다. 또한 숙종은 아버지 현종과의 정치적 갈등을 겪으며 왕위에 올랐기에 그 이후로 왕권을 강화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1674년에서 1720년까지 왕위에 있으면서 이 기간동안 왕권이 강했습니다.
역사
2024년 2월 16일 작성 됨
Q.
경혜공주의 남편은 왜 능지처참형에 처해졌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유배생활 중이던 정종은 불교에 빠져있었고 외출과 외부인 접촉이 금지된 상태에서 승려와 몰래 만남을 가졌고 그 승려와 함께 반역을 꾸몄다는 대역죄로 능지처참형을 받게 되었습니다.
역사
2024년 2월 16일 작성 됨
Q.
문종의 아내인 휘빈 김씨를 폐위하게 된 결정적인 사건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문종의 첫 번째 부인인 휘빈 김씨는 압승술이라는 주술에 집착해서 궁에서 쫓겨나게 되었습니다.
역사
2024년 2월 16일 작성 됨
Q.
경혜공주는 옹주가 아닌 왜 공주라고 부르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문종의 첫번째부인 휘빈김씨는 압승술이라는 주술에 집착해서 궁에서 쫓겨났고 두 번째 순빈 봉씨는 동성애 스캔들을 일으켜 폐위됩니다. 세번째 며느리 선택에 고심이었던 세종 눈에 띈 후궁 중 한명이 권씨였고 세종은 권씨를 세자빈의 자리에 올립니다. 세종실록에도 권씨는 이미 딸을 낳았으니 그러므로 의리상 마땅히 세자빈으로 세워야 될 것이다라고 기록되어있습니다. 경혜공주의 탄생이 바로 후궁 권씨를 후궁에서 세자빈으로 만든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고 후궁 권씨는 아들 단종을 낳고 산후병으로 사망합니다. 경혜공주는 정종과 혼인을 하고 한 달도 채 안된 시점에 할아버지 세종이 세상을 떠납니다. 그 뒤를 이어 세자였던 아버지 문종이 왕위에 오르고 이후 경혜공주는 정식으로 공주가 됩니다. 우리가 알고있는 경혜공주라는 이름을 이때 붙여지게 된 것입니다.
181
182
183
184
18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