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글쓰기를 좋아하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글쓰기를 좋아하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김종호 전문가
열린동해문학
문학
문학 이미지
Q.  우리나라에서 홀수보다 짝수를 불길한 숫자로 생각하는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의 전통에서는 홀수를 양수, 짝수를 음수라고 했습니다. 따라서 탑을 쌓을 때에도 홀수로 쌓았다고 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척춘경이 우리나라 최고의 무장이 맞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104년(숙종 9)부터 1109년까지 윤관, 오연총, 왕자지 등과 함께 함경도에 침입한 여진족을 몰아내고 동북 9성을 쌓는데 기여하였습니다. 뛰어난 용맹으로 여진족 정벌에 종군하여 많은 공을 세웠으나, 이자겸과 함께 전횡을 일삼아 나라를 어지럽게 만들었다고 합니다. 고려를 넘어 한국사 전체에서도 손에 꼽히는 맹장으로 하급 남반 관리 출신으로 숙종 명효왕 대에 무관이 됐고 예종 시기 여진 정벌에 참여해 큰 공을 세웠다고 합니다. 고려 초기의 유금필과 양규, 그리고 후기의 최영, 이성계와 함께 고려 시대를 대표하는 무인이라고 봐도 무방할 정도로 여진 정벌기 내내 독보적인 전공을 쌓았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국보, 보물, 사적 지정의 기준은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보물은 가치가 높아 보존해야 할 우리나라 유산들 중에 유형문화재에 해당되는 문화재입니다. 국보는 보물에 해당하는 문화재 중 인류문화의 관점에서 볼 때 그 가치가 크고 유례가 드문 것을 국보로 지정한다고 합니다. 보물보다 한 단계 더 높은 등급의 문화재라 할 수 있겠습니다. 사적은 보통 장소나 유적과 관련된 문화재로 역사적으로 중요한 인물이나 사건의 자취가 남겨진 유적지에 지정하는 문화재입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조선시대에는 화장실 이용 후 뒷처리를 어쩧게 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 뒤처리 방법이 궁금한 것 같습니다. 볏짚, 풀, 나뭇잎, 흙, 모래, 해초, 조개껍질, 물을 사용했다고 합니다. 왕의 경우 비단을 이용해서 뒤처리를 하기도 했다고 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우리나라 역사상 최초로 사업자등록된 기업명은 어디인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 최초 기업이 무엇인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두산그룹 박용만 회장의 할아버지로 1896년'박승직 상점'이란 이름으로 창업한 두산이라고 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광화문은 어떤 역할을 했던 문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광화문은 서울특별시 종로구의 조선왕조 법궁인 경복궁의 남쪽에 있는 정문으로, "임금의 큰 덕(德)이 온 나라를 비춘다"는 의미라고 합니다. 콘크리트 광화문 시기에는 조선총독부 정문 자리에 세워져 중앙청 정문 역할도 했고 통행량이 많은 세종로에 있다보니 국가적으로 중요한 일이 있을 때마다 기념 현수막이 여러 차례 걸리기도 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국회의원은 국무총리로 겸직이 가능한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국회의원의 국무위원 겸직 제도가 있어서 가능하다고 합니다. 현직 국회의원은 국무총리를 겸직할 수 있어 의원직을 사임할 필요가 없다고 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조상님들이 농사지을때 사용하던 풍구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풍구가 어떤 농기구였는지가 궁금한 것 같습니다.벼 ·보리 ·팥 ·콩 ·밀 등 곡물의 쭉정이 ·겨 ·먼지 등을 가려내는 농기구입니다. 곡물에 섞인 쭉정이, 겨, 먼지 따위를 바람에 날려서 없애는 농기구입니다.한쪽에 큰 바람 구멍이 잇고 큰 북 모양의 통 내부에 있는 여러 개의 넓은 깃이 달린 바퀴를 돌려서 낟알과 잡물을 분리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옛날에 쓰던 플무란 어떤 물건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옛날에 사용하던 풀무가 어떤 물건인지가 궁금한 것 같습니다. 불씨를 다른 곳에 옮기게 할 때 부채를 사용하거나 입김을 불던 장면이 떠오를 것입니다. 풀무의 용도가 이런 곳에 쓰입니다. 풀무는 쇠를 달구거나, 쇳물을 녹여 땜질 등을 하는 데, 부엌의 불을 지피는 데 이용되는 기구입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듣보잡 이라는 말의 어원 유래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듣보잡의 어원이 궁금한 것 같습니다. “듣도보도 못한 대학”을 듣보잡의 어원이라고 하나, 정확한 어원은 “듣도보도 못한 잡훌”에서 출발했다고 합니다. 듣보잡은 다음 카페인 훌리건천국이라는 곳에서부터 시작되었다고 합니다.
262728293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