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글쓰기를 좋아하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글쓰기를 좋아하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김종호 전문가
열린동해문학
역사
역사 이미지
Q.  가장 오래동안 제국을 유지했었던 나라는 어디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세계적으로 가장 긴 왕조 중에서 신라를 꼽을 수 있다고 합니다. 신라는 기원전 57년~935년까지 발해와 같이 남북국 시대를 구성하고 고구려와 신라와 같이, 고대 한반도의 삼국시대를 이끌었던 국가로 세계적으로 가장 길게 계승된 왕조들 가운데 하나로 뽑히고 있습니다. 그리고 동로마 제국이 476년 경부터 ~ 1453년까지 1,000년의 역사를 지닌 대표적인 왕조라고 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조선 시대의 사교육인 서원에서는 어떤 교육을 받았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 서원은 어떤 교육을 담당했는지가 궁금한 것 같습니다. 본받을 만한 옛 유학자들을 사당에 모신 뒤 제사를 지내고 학생들을 모아 유학을 가르쳤습니다. 신유학인 성리학을 치국이념으로 표방하고 등장한 조선시대 사대부 계층이 성리학을 차츰 자신의 것으로 정착시키며 만들어낸 조선 중기의 시대적 산물이라고 합니다. 조선 후기에는 붕당의 근거지가 되면서 수가 늘어나 나라 재정에 부담이 되었고, 흥선 대원군 때 일부를 제외한 대부분의 서원이 폐쇄되었다고 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독도는 우리나라 역사에서 언제부터 기록되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독도의 역사가 궁금한 것 같습니다. 독도는 512년 신라가 우산국을 복속시킨 이후 줄곧 역사적으로 우리나라의 영토였다고 합니다. 독도가 처음 우리나라의 문헌에 등장한 시기는 고려시대 김부식이 편찬한 《삼국사기》로, 이 자료에 의하면 울릉도와 우산도(독도)라는 두 개의 섬이 우산국이라는 하나의 독립국을 형성하고 있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조선시대에는 쓰레기를 어떻게 처리햇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 가장 큰 쓰레기는 재, 분뇨등을 포함한 오물이었는데 조선은 길거리에 무단으로 버리는 오물에 대한 규제 조항은 있었으나 버린 오물을 치우는 개념은 거의 없었습니다. 오물이 처리가 되고 순환이 되려면 궁궐 밖으로 내보내야 하는데 사람이 많은 낮 시간에는 한계가 있었고 밤에는 성문을 닫아 원활한 처리가 불가능한 시스템이었습니다. 궁궐 안의 청소를 담당하는 상제라는 환관을 두었을 뿐 오물처리를 맡는 직책이 따로 없었기에 백성들은 오물을 마당에 말려 퇴비로 파는 등의 행위들로 이를 처리했습니다. 그리고 재활용도 물자나 자원이 풍부하지 못했기 때문에 근검과 절약을 실천했다고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신문고는 울리면 왕이 직접 심문 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이 신문고라는 제도는 조선에서 백성의 목소리가 임금에게 닿게하는 제도 중 대표적인 것이었으나 임금은 한 나라의 지존하신 분이었기때문에 당연히 신문고를 울려 상소하는 데에도 제한이 있었으며 오직 종사에 관계된 억울한 사정이나 목숨에 관계되는 범죄, 누명 및 자기에게 관계된 억울함을 고발하는 자에 한해 상소 내용을 접수하여 해결해 주었습니다. 이 절차가 보통 복잡한 것이 아니라서 소요시간이 대략 1년은 걸렸는데 무려 다섯 단계를 거쳐 신문고를 두들기면 보고가 조정에 들어가게 된다고합니다. 그러면 왕이 금부도사를 의금부로 파견해서 사정을 듣게 하였다고합니다.
33633733833934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