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종훈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훈 전문가입니다.
김종훈 전문가
경희대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2021년 11월 30일 작성 됨
Q.
코로나 변이 바이러스는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훈 의사 / 약사입니다.현재 뉴스에서 보도되는 코로나 변이 바이러스인 오미크론은 50개 이상의 유전자 돌연변이가 생긴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그중 32개가 스파이크 단백질이 몰려있습니다.(스파이크 단백질은 코로나19 바이러스 표면에 있는 것으로, 몸속 세포 수용체와 결합하는 부위입니다.)이처럼 오미크론은 스파이크 단백질에 16개 변이가 일어난 델타보다도 2배 더 많은 변이가 일어났고, 기존의 주요 변이(알파·베타·델타·감마)를 모두 갖고 있습니다.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가 재감염을 거듭하면서 기존에 있던 변이를 모두 공유하는 방향으로 진화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오미크론 변이의 면역 회피 정도와 재감염·돌파감염에 관한 분석은 2주 정도 시간이 더 걸릴 전망이라고 합니다. 일단 상황을 잘 지켜보고 있어야겠습니다.
2021년 11월 30일 작성 됨
Q.
화이자 2차접종완료자 인데 부스터샷 겁나네요
안녕하세요. 김종훈 의사 / 약사입니다.미국질병통제예방센터(CDC) 에 따르면 부스터샷 부작용에 대해 부작용의 빈도와 유형은 2차 접종 후 나타나는 것과 비슷했으며, 대부분 경미하거나 오래가지 않았다”고 합니다. 우리나라도 접종 후 문자 전송을 통한 건강상태 모니터링 결과, 3일차를 기준으로 기본접종보다 추가접종의 이상증상 응답률이 낮은 것으로 보았을 때 너무 걱정할 정도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2021년 11월 30일 작성 됨
Q.
화이자백신 맞으면 혈액암 걸릴 가능성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훈 의사 / 약사입니다.급성골수성백혈병의 발생 원인은 ▲유전적 소인 ▲벤젠 등 발암물질 ▲항암제 등 독성물질 등으로 알려져 있지만 원인을 알 수 없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원인과 발생기간에 대해 잘 알려진 항암제의 경우 항암제 노출 수 년 이후 급성골수성백혈병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코로나19 백신 접종 후 수일에서 수개월 이후 급성골수성백혈병이 발생한다는 것은 이론적으로 맞지 않습니다.출처 : 의협신문(http://www.doctorsnews.co.kr)
2021년 11월 30일 작성 됨
Q.
1차 아스트라제네카 2차 모더나 맞아도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훈 의사 / 약사입니다.네 가능합니다.아스트라제네카는 국내 생산공급계약이 종료되어 올해 12월 말까지만 시행한다고 합니다. 다만 남은 물량이 얼마 없어 가능하면 모더나와 같은 mRNA 백신으로 교차 접종하도록 하고 있습니다.교차접종의 경우 예방효과도 우수하고, 부작용도 크게 증가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부스터샷까지 맞으셔도 상관없습니다.
2021년 11월 30일 작성 됨
Q.
누바이러스는 어떻게 생겨났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훈 의사 / 약사입니다.오미크론(누변이)은 50개 이상의 유전자 돌연변이가 생긴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그중 32개가 스파이크 단백질이 몰려있습니다. (스파이크 단백질은 코로나19 바이러스 표면에 있는 것으로, 몸속 세포 수용체와 결합하는 부위입니다.)이처럼 오미크론은 스파이크 단백질에 16개 변이가 일어난 델타보다도 2배 더 많은 변이가 일어났고, 기존의 주요 변이(알파·베타·델타·감마)를 모두 갖고 있습니다.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가 재감염을 거듭하면서 기존에 있던 변이를 모두 공유하는 방향으로 진화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156
157
158
159
16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