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부스터샷을 맞아야할까요? 2차접종 후 200일 경과
안녕하세요. 김종훈 의사 / 약사입니다.부스터샷 접종대상은 11월 17일 기준으로 60세 이상 고령층, 18-59세 기저질환자, 요양병원 입원환자, 요양시설 입소자, 대학병원·종합병원 등 의료기관 종사자 등 경우에는 기본접종 완료 후 '4개월'로, 50대 연령층, 우선접종 직업군(군인, 경찰 등) 등을 대상으로 한 추가접종은 기본접종 완료 후 '5개월' 뒤의 접종자를 대상으로 진행중입니다. 또한 얀센 백신 접종자와 면역 저하자 등은 기본접종 완료 후 2개월입니다.본인이 상기 기준에 해당되시는지 https://ncvr2.kdca.go.kr/ 에 방문하셔서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Q. 머크 코로나치료제 효능 왜 하향조정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훈 의사 / 약사입니다.중간발표와 최종발표의 결과가 달랐기 때문입니다.머크의 코로나 경구치료제인 몰누피나비르는 처음 중간임상 결과에서는 입원과 사망 위험 억제 48% 였습니.다. 중간 임상에서 위약을 복용한 그룹은 377명 중 53명, 14.1%가 중증화하거나 사망한 반면 몰누피라비르를 복용한 그룹은 385명 중 28명, 7.3%가 병원에 입원한 것으로 나타났었습니다. 중간결과에서는 몰누피라비르를 복용한 환자 중에는 사망자가 나오지 않았습니다.그러나 최종 임상 결과 몰누피라비르는 입원과 사망 위험을 30% 감소시킨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가짜약(위약)을 받은 환자 699명 중 9.7%인 68명이 입원하거나 사망한 것으로 나타난 반면, 몰누피라비르를 복용한 환자 706명 중 6.8%인 48명이 입원하거나 사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위약군에서는 9명이 사망했고, 몰누피라비르를 복용한 환자 중에서도 1명이 사망했습니다.
Q. 코로나 오미크론 변이가 무섭다고 난리들인데 왜 그런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김종훈 의사 / 약사입니다.WHO는 28일(현지시간) 성명을 통해 누변이(오미크론)의 전염력과 중증 위험도 등이 아직 뚜렷하게 파악되지 않았다고 밝혔습니다.다만 현재까지의 정보로는 오미크론은 기존 델타 변이보다 전염력이 더 강력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오미크론에 감염된 사람의 감염재생산지수는 2로, 확진자 1명이 주위 2명을 감염시킬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11월 3주 기준 국내 전국 주간 감염재생산지수는 1.10인 것을 미뤄보았을 때 2배정도 감염력이 강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일부 전문가에 따르면 현재 대략 추정치로만 보았을때 오미크론의 전파력은 최초 유형보다 6배, 델타 대비 2배까지 높을 수 있고 오미크론의 치사율은 기존 대비 8배까지 높다고 보고 있습니다.오미크론에 대한 정보는 언제든지 바뀔 수 있기 때문에, 일단 상황을 지켜보시는게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