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김종훈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훈 전문가입니다.

김종훈 전문가
경희대학교
Q.  코로나 증상에 대하여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훈 의사 / 약사입니다.코로나와 일반적인 감기는 증상만으로는 크게 구별이 되지 않습니다. 코로나19와 일반적인 감기의 공통된 증상으로는 인후통, 피로, 두통이 있습니다. 기침의 경우 코로나19로 인한 기침이 더 건조한 경향이 있습니다.코로나19의 특징적인 증상으로는 ‘호흡곤란’, ‘후각 또는 미각 상실’이 있습니다. 일부 심한 감기 환자의 경우 코막힘으로 인해 후각이나 미각을 잃을 수 있지만, 코막힘 이전에 발생하는 경우 코로나19에 감염됐을 가능성이 높다고 합니다.
Q.  코로나 예방접종 맞기 너무 무서워요..
안녕하세요. 김종훈 의사 / 약사입니다.11월25일 중앙방역대책본부 발표에 따르면 예방접종 피해조사 중 평가 상정된 총 3,658건(사망 1,003건, 중증 1,240건, 아나필락시스 1,415건) 중 509건(사망 2건, 중증 5건, 아나필락시스 502건)이 인과성 인정되었고, 62건(사망 6건, 중증 56건)이 근거 불충분한 사례*로 평가되었다고 합니다.신규 사망 신고사례 36례의 평균 연령은 56.9세(범위 23~90세)였고, 이 중 31례(86.1%)에서 기저질환*이 있었으며, 접종한 백신은 아스트라제네카(15건), 화이자(11건), 얀센(1건) 및 모더나(9건)이었고 합니다. *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뇌혈관질환 등참고되시면 좋겠습니다.출처: 접종간격 단축에 따른 고위험군 추가접종 적극 참여 당부(11.25., 정례브리핑) (중앙방역대책본부 보도대응팀)
Q.  소아청소년(12~17세) 백신접종과 관련하여 질의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훈 의사 / 약사입니다.1. 12~17세FDA는 12세 이상 소아청소년에서 EUA 승인을 위해 미국에서 진행 중인 임상시험에 등록된 12~15세 참가자 2260명의 안전성 데이터를 검토했습니다. 이 중 1131명이 백신을 맞았고, 나머지는 식염수 위약을 받았습니다. 참가자의 절반 이상에서 두 번째 투여 후 최소 2개월 동안 안전성이 추적됐습니다.화이자 백신 접종을 받은 청소년들 중 심각한 부작용 사례는 없었으며, 2차 접종을 마치고 일주일 이상이 경과한 후에도 코로나19에 감염된 이가 나오지 않아 예방률은 100%에 달했습니다.청소년 임상시험 참가자에서 가장 흔히 보고된 부작용은 주사 부위 통증, 피로, 두통, 오한, 근육통, 발열 및 관절통이었습니다. 주사 부위 통증을 제외한 나머지는 1차보다 2차 접종 후 이러한 부작용을 보고한 청소년이 더 많았습니다. 청소년의 부작용은 16세 이상 임상시험 참가자에서 보고된 것과 일치했습니다. 2. 5~12세11/9 NEJM에 실린 화이자 소아 대상 2/3상 결과를 보면 심각한 부작용이 관찰되지는 않았습니다.1. 화이자 코로나19 백신의 5~12세 미만에서의 효과는 90.7% 였습니다.2. 부작용은 주로 경증중등증 정도로 약하게 나타났으며, 주사부위통증 70%정도, 발적 15~19%정도, 피로감 및 두통은 20~30%정도 되었습니다.3. 2차 접종 후 발열을 보인 아이는 약 7% 정도였습니다. 특히 40도의 고열을 보인 아이가 2차 접종 후 2일 후에 1명 있었는데, 해열제를 사용하고 다음날 바로 회복하였다고 합니다. 출처: https://www.nejm.org/doi/10.1056/NEJMoa2116298
Q.  부스터샷 효과도 2주 정도 후에 발생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훈 의사 / 약사입니다.미국 식품의약국(FDA) 등의 얀센 부스터 샷 허가 근거 자료 등에 따르면, 얀센 백신은 교차 접종을 할 때 15일 이내에 모더나는 중화항체가 최대 76배 증가하고, 화이자는 부스터 샷을 접종했을 때 중화항체가 35배 증가한다고 합니다.따라서 부스터샷 접종 후 2주 정도 경과해야 효과가 있다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Q.  화이자 2차 접종까지완료 되었는데 부스트샷이 필요합니까?
안녕하세요. 김종훈 의사 / 약사입니다.필수는 아니고 선택접종이지만 접종하시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현재까지의 결과를 보면 모든 백신이 2차까지 접종을 마치더라도 대략 6개월정도 지나면 항체생성률이 떨어져서 부스터샷이 필요합니다. 예방효과를 높이고 감염되더라도 중증으로의 줄이는 차원에서 3차 부스터샷이 필요합니다.현재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미국 MSD가 개발한 몰누피라비르에 대한 긴급 승인을 검토 중인데, 연내 승인을 받으면 국내서도 임상시험 결과에 기초해 안전성 및 유효성 심사를 거쳐 식품의약품안전처가 허가할 계획입니다. 이르면 내년 2월부터 순차적으로 국내에 도입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18118218318418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